문화재/서원

일두 정여창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서원!, 사적 제499호_함양 남계서원 (2018.03.18.일요일)

기리여원 2018. 3. 22. 08:22

 


사적 제499호 _ 함양 남계서원 (咸陽 灆溪書院)  

                              

지정일 : 2009.05.26

시   대 : 조선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수동면 남계서원길 8-11, 일원 (원평리)

 

 

정여창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위하여 조선 명종 7년(1552)에 지었다.

명종 21년(1566)에 나라에서 ‘남계’라는 사액을 내려 공인과 경제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 정유재란(1597)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선조 36년(1603)에 나촌으로 옮겨 지었다가, 광해군 4년(1612) 옛 터인 지금의 위치에 다시 지었다. 숙종 때 강익과 정온을 더하여 모셨다. 따로 사당을 짓고 유호인과 정홍서를 모셨다가, 고종 5년(1868)에 이는 훼철되었다. 앞쪽 낮은 곳에는 공부하는 강학공간을 두었고 뒤쪽 높은 곳에는 사당을 두어 제향공간을 이룬 전학후문에 배치를 하였다.

누문인 봉수루를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그 앞쪽 양 옆으로 유생들의 생활공간인 양정재와 보인재가 있다. 재 앞에 각각 연못과 애련헌·영매헌이 있다. 내삼문 안쪽으로 사당이 있어 위패가 모셔져 있다. 이 밖에 전사청과 고직사·묘정비각 등이 있으며, 서원 입구에는 홍살문과 하마비(下馬碑)가 있다.

지금은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의 기능만 남아있으며, 『어정오경백편』·『고려사』 등의 책을 소장하고 있다.

정여창을 모신 서원은 전국적으로 9곳에 이르며, 그중 주된 곳이 남계서원이다. 소수서원에 이어 두 번째로 세워진 남계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출처 문화재청

 

 

 

 

 

 

 

 

 

 

                                                                 문헌공 일두 정여창선생추모비(文獻公  一蠹  鄭汝昌先生 追慕碑)

 

 

                                                                      홍살문에서 바라본 청계서원의 전경

 

 

                                                                                 홍살문과 하마비

 

 

 

 

                                                                          사적 제499호 _ 함양 남계서원 (咸陽 灆溪書院)                                


조선 명종7년(1552)에 개암 강익이 문헌공 일두 정여창 선생 기리기 위하여 창건하고 남계서원이라 칭하였으며 명종21년(1566)에 사액서원이 되었다.
중종때의 학자로서 서원 창시자인 주세붕이 중종38년(1543)에 문성공 안향을 위해 창건한 백운동서원(일명 소수서원)이 최초의 서원이고, 그 다음이 남계서원이다.
정유재란때 소실되어 그 후 나촌(九羅)에 세워져 광해군4년(1612)에 옛터인 현재의 자리에 중건하였다.
그 후 숙종3년(1677)에 문간공 동계 정온 선생을 서편에 배향하고 숙종15년(1689)에 개암 강익 선생을 동편에 배향하였다.
또 별사에는 뇌계 유호인과 송탄 정홍서을 배향하였다가 고종5년(1868)에 별사를 훼철하였다.
이 서원에는 유생들을 수도케 한 어정오경등 서적이 장판각에 보관되어 있다. 건물 구성은 제향공간으로 사당, 동무, 내삼문이 있고 강학공간으로 강당, 동재, 서재, 장판각, 풍영루 등이 있으며, 배치형식은 급한 경사지에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일축선 배치를 하고 있다.

양재는 경사지에 배치되어 1칸은 방, 1칸은 누마루형식의 대청으로 하였으며 동재를 양정재, 애연헌, 서재를 보인재, 영매헌이라 하며 전면에 현판이 걸려있다.
동재앞에는 연못이 있고 서재앞에는 신도비와 맞배지붕의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강당의 측면에 정면 2칸, 측면 1칸의 판장벽과 판장문으로 된 우진각 지붕의 장판각이 배치되어 있다.
이 서원의 출입구인 풍영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5량구조 팔작지붕 겹처마이고 하부기둥은 8각형의 장대석 석주로 하였고 2층 누마루에 계자난간을 설치 하였다. 



함양군 문화관광

 

                                                                                      풍영루(風詠樓)


풍영루는 유생들이 공부를 하거나 손님이 오면 학문을 토론하고 정담을 나누기도 한 누각으로, 창건 당시 '준도문遵道門'이라고 하는 출입 삼문이었으나 후에 다락집을 올려 현재에 이르고 있다.

논어의 내용 중"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에서 바람을 쏘이고 노래하며 돌아오겠다.'라는 증점曾鮎의 뜻을 바로 여기서 느낄 수 있다하여 풍영루라 이름 지었다. "기수"와 '무우"는 춘추시대의 전설 속에 나오는 곳이다.

출입은 사당의 내삼문과 함께 동쪽으로 들어가고 서쪽으로 나가는 형태로 기문은 정여창선생의 후손인 조선 말기 문장가 오담五潭 정환필鄭煥弼이 지었다.


 

 

 

 

 

 

                                                                                                       풍영루(風詠樓)


 정면 3칸, 측면 2칸의 5량구조 팔작지붕 겹처마이고 하부기둥은 8각형의 장대석 석주로 하였고 2층 누마루에 계자난간을 설치 하였다. 

 

 

 

 

 

 

 

 

 

 

                                                                                                   풍영루기(風詠樓企)

 

 

 

 

 

풍영루에서 바라 본 강당 

 

 

 

 

 

 

                                                                                 풍영루(風詠樓) 후면


창건 당시에는 준도문(遵道門)이었으나 후에 풍영루라 부르게 되었다.

 

 

 

 

 

                                                                                         묘정비

 

남계서원에 일두 정여창, 동계 정온, 개암 강익 선생 세 분을 모시고 향사를 올리고 있음에도 이를 찬양하는 송덕비가 없어 안타까워하다가 남계서원 건립 200여 년이 지난 1779년에 묘정비를 세우면서 글을 새겼다.

비문은 조선 후기 정조 때 문관 김종후가 지었다

 

 

 

 

                                                                          동재(東齋)인 양정재(養正齋)


 

                                                                          서재(西齋)인 보인재(補仁齋)

 

                                                                         강당(講堂)인  명성당(明誠堂)


강당은 경敬과 논論을 연구하고 학습하는 곳으로 명성당(明誠堂)이라고 하며, 중용의 '참된 것을 밝히는 것을 가르침이라 하니, 찹되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참되게 된다'라는 뜻이다. 강학영역을 구성하는 중심 건물롤 1559년에 완성되었으며,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2칸은 대청마루이고, 양쪽 각1칸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다. 오른쪽방은 '거경居敬'이라 하며 '거居에서 이理를 깊이 연구한다'는 뜻이고, 동쪽 방은 '집의集義'라고 하며 '호연지기는 도道와 짝이 되는 의義를  축적해야 생기는 것이다.'라는 뜻이다

 

 

                                                                            반계서원(灆溪書院)  편액

 

 

 

 

 

 

 

 

 

 

 

 

 

 

                                                                     오른쪽 방인 거경재(居敬齋)

사당의 오른쪽방은 '거경居敬'이라 하며 '거居에서 이理를 깊이 연구한다'는 뜻이다

 

 

                                                                                                   왼쪽 방인 집의재(集義齋)


동쪽 방은 '집의集義'라고 하며 '호연지기는 도道와 짝이 되는 의義를  축적해야 생기는 것이다.'라는 뜻이다

 

 

 

 

 

 

 

 

                                                                                                          경판고

 

 

                                                                                                              내삼문

 

 

                                                                                                              내삼문

 

 

                                                                                                        내삼문의 측면

 

 

                                                                                                                사당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곳이다. 사당은 정면3칸, 측면 한 칸 반으로 이루어진 아담한 맞배지붕의 건물이다.

주벽은 조선 5현의 한 분인 일두 정여창선생을 모셨고, 서쪽은 1675년에 동계 정온선생을. 동쪽 1689년에  남계서원 건립을 주도한 개암 강익선생을 모셨다. 강익선생은 정온선생의 외삼촌이다.

 

                                                                                                                사당

 

 

                                                                                                                사당

 

 

                                                                                                            전사청

 

 

 

 

 

 

 

 

 

 

 

 

 

 

 

 

 

 

 

 

 

 

 

 바로 옆 청계서원으로 답사갑니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