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충청남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_무량사 동종(2015.09.29)

기리여원 2019. 4. 6. 16:23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_ 무량사동종 (無量寺銅鐘)


수   량 1기

지정일 : 2002.01.10

시   대 : 고려시대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무량사


이 종은 1636년(조선 인조 14년)에 만든 종이다. 동종 정상에는 한 마리의 용이 입에 여의주(如意珠)를  물고 있고 다리는 활짝 핀 연꽃모양이 장식된 종의 몸체를 감고 있다. 눈을 부릅뜬 무서운 얼굴과  날까로운 등지느러미가 인상적인 용의 자세는 역동감이 넘치며 만개한 연꽃과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동종은 주석과 청동의 합금 비율이 적절하며 균형잡힌 모양은 풍부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준다. 조선 중기 전통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종에 새겨진 문양과 베치를 통해 다라니(陀羅尼) 신앙 또는  밀교적(密敎的) 신앙 등 당시 신앙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_ 무량사동종 (無量寺銅鐘)



글 문화재청, 무량사 표지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