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_ 구례향교 (求禮鄕校)
수 량 : 일곽
지정일 : 1985.02.25
소재지 : 전남 구례군 구례읍 봉서리 1472번지
시 대 : 조선시대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정확히 지어진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연산군 5년(1499)에 향교를 없애고 중종 13년(1518)에 백련동에 향교를 지었다. 그러나 매년 제사 때마다 호랑이가 나타나서 숙종 30년(1704)에 봉성산 아래인 현 위치로 옮겼다. 1825년에 명륜당을 수리하였고, 그 뒤에도 여러 차례 수리가 있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 ·동무·서무 ·외삼문 등이 있다.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어서 앞쪽 낮은 곳에는 배움의 공간은 명륜당과 동재·서재가 있고, 뒤쪽 높은 곳에는 제사공간인 대성전과 동무·서무가 있다. 향교의 일반적 배치형태인 전학후묘를 따르고 있다. 특히 외삼문 밖에는 연못과 붉은색 문, 그리고 이곳을 지날때는 누구든지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하마비가 있어 옛스러운 맛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노비·책 등을 지급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에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제사만 지낸다. 이곳에 보관하고 있는 책 중 『유학안』은 각 면마다 유학자들의 이름이 쓰여져 있어 이 지방 향토사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구례 향교 표지판
수령이 250년 된 느티나무
수령이 250년 된 느티나무 후면
연못과 홍살문
하마비(下馬碑)
구례 향교 외삼문(求禮鄕校 外三門)
향교 입구 우측 향나무
구례 향교와 관련된 비석군
구례 향교 명륜당(求禮鄕校 明倫堂)
구례 향교 명륜당(求禮鄕校 明倫堂)
전면 보수 공사중입니다.
구례 향교 동재
구례 향교 동재
구례 향교 서재
구례 향교 서재
구례 향교 내삼문(求禮鄕校 內三門)
구례 향교 대성전(求禮鄕校 大成殿)
내부도 보수공사중입니다.
구례 향교 대성전(求禮鄕校 大成殿) 현판
내삼문에서 바라 본 명륜당
강수당(講脩堂)
강수당(講脩堂) 현판
연못과 홍살문
홍살문 프레임안에 보이는 수령이 250년 된 느티나무
2020.03.25, 구례 향교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유형문화재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29호_곡성 수도암 목조 관음보살좌상과 복장유물(2020.03.25) (0) | 2020.03.28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1호-곡성도림사보광전아미타삼존불상(2020.03.25) (0) | 2020.03.28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0호_구례 사성암 마애여래입상(2020.03.25) (0) | 2020.03.26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3호_구례사도리석불좌상(2020.03.18) (0) | 2020.03.22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호_구례사도리삼층석탑(2020.03.18) (0) | 2020.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