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보

국보 제151-6호_조선왕조실록 낙질 및 산엽본

기리여원 2020. 7. 26. 06:40

국보 제151-6호 _선왕조실록 낙질 및 산엽본 (朝鮮王朝實錄 落帙 및 散葉本)

 

수   량 : 99책(낙질본:69책, 산엽본:30책)

지정일 : 1973.12.31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신림동, 서울대학교)

시   대 : 조선 전기 및 후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조선 태조(太祖)에서부터 조선 철종(哲宗) 때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편년(編年)으로 정리한 책이다. ‘성종대왕실록(成宗大王實錄)’처럼 왕의 묘호(廟號)를 붙인 서명으로 간행되었으므로, 일반적으로 ‘조선왕조실록’ 이라고 통칭한다. 완질은 1,717권에 이르는 방대한 기록이다. 완성된 실록은 재난에 대비하고자 춘추관사고(春秋館史庫; 서울), 정족산사고(鼎足山史庫; 강화), 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 봉화),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 평창),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 무주)의 전국 5대 사고(史庫)에 보관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시대의 정치ㆍ문화․사회ㆍ외교ㆍ경제ㆍ군사ㆍ법률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이 망라되어 있으며, 국왕도 마음대로 열람하지 못했을 정도로 진실성과 신빙성이 매우 높은 사료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1973년 12월 31일 국보 제151호로 정족산사고본 1,181책(제151-1호), 태백산사고본 848책(제151-2호), 오대산사고본 27책(제151-3호)과 함께 기타산엽본 21책(제151-4호)이 지정되었다.

2019년 6월 26일에는 기타산엽본 21책(낙질본: 2책, 산엽본: 19책)에 정족산사고본, 태백산사고본, 오대산사고본 등에 속하지 않는 낙질(落帙) 성격의 또 다른 실록과 더불어 산엽본이 추가로 지정되어 총 99책(낙질본: 69책, 산엽본: 30책)이 되었다. 낙질본은 실록의 중간본(重刊本)이 다수이고 산엽본은 정족산사고본 실록의 낙장(落張)을 모아놓은 것이다. 따라서 낙질 및 산엽본 모두 실록 중간본의 오류 수정과 간행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추가 지정과 함께 지정번호 및 명칭이 국보 제151-4호 ‘조선왕조실록 기타산엽본’에서 제151-6호 ‘조선왕조실록 낙질 및 산엽본’로 변경되었다.

 

국보 제151-6호 _선왕조실록 낙질 및 산엽본 (朝鮮王朝實錄 落帙 및 散葉本), 성종실록

 

 

국보 제151-6호 _선왕조실록 낙질 및 산엽본 (朝鮮王朝實錄 落帙 및 散葉本), 광해군일기

 

 

국보 제151-6호 _선왕조실록 낙질 및 산엽본 (朝鮮王朝實錄 落帙 및 散葉本) , 세종실록

 

글 문화재청

'청허(淸허)'

 

▼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