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상북도 보호수 제46호 _ 압각수
압각수
수 량 : 2주
지정일 : 1982.10.26
소재지 :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98
수령 1200년, 높이 30m, 밑둥치 줄레 6m
은행나무잎이 오리발처럼 생겼다고 해서 압각수라고 부른다. 충신수라고 하는 이 나무가 유명한 것은, 순흥과 흥망성쇠를 함께 한 경이로운 이력 때문이다.
"순흥이 죽으면 이 나무도 죽고, 이 나무가 살아나면 순흥도 살아나네." 언제부터인가 순흥사람들이 부른 참요이다. 금성대군의 단종복위운동(1456년)이 실패되고 순흥도호부가 초토화 되면서 이 나무도 불에 타 죽어버린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밑둥치만 남아있는 나무에 새로운 가지와 잎이 돋아나더니 노래처럼 순흥부도, 다시 설치(1682) 되었다고 한다. 그 후 순흥부가 명예를 회복하여 금성단이 설치되고, 그때 희생된 선비들을 모시게 되었는데, 압각수는 아직도 순흥의 옛 영화를 그리며 금성단을 묵묵히 지키고 있다.
압각수 표지판
경상북도 보호수 제46호 _ 압각수
경상북도 보호수 제46호 _ 압각수
경상북도 보호수 제46호 _ 압각수
경상북도 보호수 제46호 _ 압각수
경상북도 보호수 제46호 _ 압각수
경상북도 보호수 제46호 _ 압각수
경상북도 보호수 제46호 _ 압각수
영주 순흥면 내죽리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문화재 > 보호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오는 날, 예산 상중리 배맨나무 (18) | 2023.12.17 |
---|---|
1000년이 넘은 예산 상중리 배맨나무 (40) | 2023.11.09 |
천년이 넘는 예산 상중리 배맨나무(2022.11.02) (0) | 2022.11.02 |
장수군 보호수 제9-9-2호_은행나무 (0) | 2021.11.11 |
당진시 보호수_ 회화나무 (0) | 2018.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