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4호 _ 영암 부춘정 (靈巖 富春亭)
수량/면적 : 711
지정일 : 2005.06.13
소재지 : 영암읍 망호리 206
부춘정은 강진에서 영암으로 입향 한 진주강씨 문중에서 1618년(광해군 10)에 건립한 것으로 1672년경 등 몇 차례 중수하였다. 안쪽이 전부 방으로 구성된 구조로 보아 단순한 정자로서의 기능 보다는 서재와 학숙 기능도 함께 하였을 것으로 보이며, 주변풍광도 뛰어나 관련시문이 다수 전하고 있다. 특히, 건조물 구조의 희귀성 등 건축사적 가치가 있다.
부춘정은 평면 구성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전면(前面)을 벽 없는 마루로 하고 배면(背面)을 벽으로 막아 방을 만들어 전후(前後)가 대칭적으로 처리되어 있다. 건축구조적인 면에 있어서 전후병렬식 겹집이다. 내부 가구 구조가 쌍“시옷(人)”자 형으로 짜여있다. 가구구조는 주심도리, 중도리, 종도리가 있는 5량의 기본가구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마루와 방을 경계 짓는 내진주열에 주심도리에 상응하는 별도의 구조재를 추가 설치하여 이 부재를 중심으로 대청마루상부와 방의 상부구조가 각각 별도의 병렬조합식 3량 가구 구조형식을 취하는 특이한 구조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본 건물의 5량가구 구조의 중도리가 대청마루상보의 종도리가 되어 3량가구 구조의 형식을 취하고 인접한 방상부도 동일한 방식을 취하여 2중적 가구 수법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예는 한국의 전통건축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영암 부춘정
영암 부춘정 표지석
영암 부춘정 전경
영암 부춘정
조선시대의 정자 1동으로, 원래 강진에서 영암으로 입향한 진주강씨문중에서 1618년(광해군 10)경에 건립한 것이다. 이후 1672년(현종 13) 전후하여 몇 차례 중수를 거쳐 1865년(고종 2)경에도 중수한 것으로 보인다.
영암 부춘정
부춘정은 평면 구성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전면(前面)을 벽 없는 마루로 하고 배면(背面)을 벽으로 막아 방을 만들어 전후(前後)가 대칭적으로 처리되어 있다. 건축구조적인 면에 있어서 전후병렬식 겹집이다
영암 부춘정 후면과 우측면
영암 부춘정 좌측면
영암 부춘정 우측면
영암 부춘정
영암 부춘정 현판
부춘정기(富春亭記)
부춘정중수기(富春亭重修記)
청암강공유허비(淸庵姜公遺虛碑)
영암 부춘정 전경
2021.02.28. 영암읍 망호리 부춘정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유형문화재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_화엄사 구층암 석등 (0) | 2021.10.11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37호_영암 장암정 대동계 문서 (0) | 2021.03.18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6호_영암 학계리 석불입상 (0) | 2021.03.05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60호_나주 운흥사지 금동여래입상 (0) | 2021.03.03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1호_신안 읍리 삼층석탑 (0) | 2021.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