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비지정문화재

세계 3점 뿐인 나전칠기, '나전 대모 칠 국화 넝쿨무늬 합'

기리여원 2021. 12. 22. 09:50
반응형

나전 대모 칠 국화 넝쿨무늬 합(螺鈿玳瑁漆菊唐草文盒) _ 고려 12세기, 높이 3.2cm, 너비10.0cm, 국립중앙박물관

 

고려 시대 나저칠기 제작 기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합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나전칠기 합은 전 세계에 단 3점만이 온전한 형태로 전한다. 나무를 얇게 가공하여 미세한 칼집을 일정하게 낸 후 꺽어 돌려 감아 부드러운 곡선형 몸체를 완성하고, 온습도에 쉽게 수축 · 팽창되는 나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직물을 덧바른 뒤 옷칠을 하여 형태를 단단히 고정시켰다. 나전 장식은 0.5mm 내외로 가공한 얇은 자개를 손으로 집기 어려울 정도의 일전한 크기로 오려 정교한 국화와 넝쿨무늬를 표현했다.

테두리와 넝쿨줄기에는 금속선을 둘러 뒤틀림방지를 보강하면서 무늬에 질서를 부여하는 두 가지 효과를 잡았다. 여기에 군데군데 안쪽 면을 화려하게 덧칠한 대모(玳瑁)를 사용하여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색감에 한층 생기를 더했다. 딱딱한 나무라고는 믿기지 않는 부드러운 형태와 정밀한 나전 장식의 조화가 돋보이는, 고려시대 나전칠공예 기술이 집약된 뛰어난 작품이다.

 

나전 대모 칠 국화 넝쿨무늬 합

 

 

나전 대모 칠 국화 넝쿨무늬 합

 

 

나전 대모 칠 국화 넝쿨무늬 합

 

 

나전 대모 칠 국화 넝쿨무늬 합

 

 

나전 대모 칠 국화 넝쿨무늬 합

 

 

나전 대모 칠 국화 넝쿨무늬 합

 

2021.12.21.국립중앙박물관_漆, 아시아를 칠하다.

글 전시안내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문화재 > 비지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씨원류용화사적 권2  (0) 2021.12.23
남장사 십육나한도(南長寺 十六羅漢圖)  (0) 2021.12.23
금란계회도(金蘭契會圖)  (0) 2021.12.18
신겸 진영(信謙 眞影)  (0) 2021.12.17
영취사 영산회상도  (0) 2021.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