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장육사에 있는 문화재
1. 보물 제993호 _ 영덕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2.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_ 장육사 대웅전
3.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73호 _ 영덕 장육사 영신회상도
4.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74호 _ 영덕 장육사 지장보살도
나옹선사 창건성지
대한불교 조계종 운서산 장육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_ 장육사대웅전 (莊陸寺大雄殿)
지정일 : 1979.12.18
장륙사는 고려 공민왕(재위 1351∼1374) 때 나옹선사가 처음 세웠다고 전한다. 조선 세종(재위 1418∼1450) 때 산불로 인해 불에 타고 그 후 다시 절을 세웠으나 임진왜란(1592) 때 훼손되어 다시 절을 세웠다. 광무 4년(1900)에 수리하였다고 한다.
장륙사 대웅전은 태조 4년(1395)에 태조와 그의 부인 신덕왕후 강씨를 기리기 위하여 지방관리들이 중심이 되어 만들었고, 태종 7년(1407)에 다시 금을 입혔다. 또 숙종 3년(1677)에 수리하였다는 등 자세한 기록이 있어 유명하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모습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방식으로 건축되었다.
특히 안에 모셔진 삼존불중 오른쪽에 있는 관세음보살좌상은 종이로 만든 불상으로 지금까지 전해지는 불상 중에 종이로 만든 불상은 드문 예이며, 또한 불상을 만든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어 중요시되고 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_ 장육사대웅전 (莊陸寺大雄殿)
장육사는 1355년(고려 공민왕 4년) 영덕에서 태어난 나옹 혜근(1320~1376)스님이 운서산에 창건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세종 때 산불로 인하여 사찰 전체가 불탄 뒤 증건하였으나 암잔왜란 때 페허가 되었고, 얼마후 다시 중건하였다. 현재 장육사에는 대웅전, 영상회상도, 지장보살도의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3점과 건칠관음보살좌상의 보물이 모셔져 있다. 그 외에도 대웅전 내 칠성탱화와 신중탱화 및 문수보살, 보현보살, 주악비천도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현재 전각으로는 대웅전, 관음전, 산령각, 홍련암, 흥원루, 육화당, 범종각, 미유암, 탐진당, 나옹당, 삼륜당, 일주문이 있다.
특히 관음전에는 보물 제993호인 건칠관음보살좌상이 모셔져 있으며, 홍련암은 나옹스님이 직접 토굴을 짓고 공부하신 터에 지공, 나옹, 무학스님의 삼대화상 진영이 모셔져 있다.
또한 장육사는 동쪽에 칠보산, 등운산, 서쪽에 독경산, 남쪽에 형제봉 등 높은 산들이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홍련암 옆에는 대나무들이 은집해 있어 운치를 더해준다. 한편 범종각의 서편에는 장육사 중건 시에 기와를 구웠던 것으로 보이는 와요지가 일부 남아 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_ 장육사대웅전 (莊陸寺大雄殿)
태조 4년(1395)에 태조와 그의 부인 신덕왕후 강씨를 기리기 위하여 지방 관리들이 중심이 되어 만들었다. 숙종 3년(1677)에 수리하였다는 등 자세한 기록이 있어 유명하다. 앞면 3칸, 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하여 장식하여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하여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방식으로 건축되었다. 단청을 금단청으로 하여 화려하기 이를 데 없으면서도 색상이나 무늬가 장엄하고 거룩하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_ 장육사대웅전 (莊陸寺大雄殿)
앞면3칸, 측면3칸의 맞배지붕으로 주심포양식이다.
장육사 대웅전 편액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_ 장육사대웅전 (莊陸寺大雄殿)
'유형문화재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74호_영덕 장육사 지장보살도 (盈德 藏陸寺 地藏菩薩圖) (2017.01.30.월요일) (0) | 2017.02.17 |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73호_영덕 장육사 영산회상도 (盈德 藏陸寺 靈山會上圖) (2017.01.30.월요일) (0) | 2017.02.17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8호 _ 포항 보경사 서운암 부도군 (浦項 寶鏡寺 瑞雲庵 浮屠群) (2017.01.30.월) (0) | 2017.02.16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1호_ 포항보경사대웅전 (浦項寶鏡寺大雄殿) (2017.01.30.월요일) (0) | 2017.02.16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3호 _ 포항보경사오층석탑 (浦項寶鏡寺五層石塔) (2017.01.30.월) (0) | 2017.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