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2호 _ 연동 합호서원 (燕東 合湖書院)
수 량 : 1동/ 63.6㎡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합강리 104
안향의 뜻을 기리기 위한 서원이다.
안향(1243∼1306)은 고려시대의 이름난 학자로 호는 회헌이다. 고려 원종 1년(1260)에 문과에 급제하였고, 충렬왕 12년(1286) 원나라의 주자학을 전해준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이다.
합호서원은 조선 숙종 42년(1716)에 세웠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때(재위 1863∼1907)에 폐쇄되었다가 1927년 다시 세웠다.
사당에는 회헌 안향의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있으며, 해마다 음력 9월 12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연동 합호서원 표지판
연동 합호서원 입구 삼거리
좌측으로 가면 합호서원을 만날 수 있습니다.
연동 합호서원 전경
합호서원 앞 소나무 두그루
연동 합호서원 전경
연동 합호서원 전경
연동 합호서원 외삼문(外三門)인 흥학문(興學門)
외삼문(外三門) 흥학문(興學門)
순흥안씨(順興安氏) 세장비(世庄碑)
망향가 표지석
합호서원의 현판을 달은 내삼문
일반적으로 서원의 현판은 명륜당 처마에 다는 것데 합호서원은 명륜당이 없어 내삼문에 달았습니다.
연동 합호서원 내삼문 내부
합호서원묘정비(合湖書院廟庭碑)
연동 합호서원 성의재(誠意齋)
여견문(如見門)과 성의재(誠意齋)
합호서원 좌측면에 쪽문인 여견문(如見門)
안향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합호사(合湖祠)
회헌(晦軒) 안향(安珦, 1243∼1306)
안향선생은 고려 시대 문신으로, 고려 말기 유학 진흥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원종 원년(1260)에 문과에 급제한 후 충렬왕을 따라 원나라에 갔다가 「주자전서(朱子全書) 」를 가지고 돌아와 연구한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이다.
영주 소수박물관에 전시된 국보 제111호 _ 안향 초상 (安珦 肖像)
고려 중기 문신인 회헌 안향(1243∼1306) 선생의 초상화로 가로 29㎝, 세로 37㎝의 반신상이다. 안향은 고려 원종 1년(126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 원나라에 다녀오면서 주자학을 우리나라에 보급한 인물로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림의 화면은 상하로 2등분되어 위에는 글이 쓰여 있고 아래에는 선생의 인물상이 그려져 있다. 머리에 평정건(平頂巾)을 쓰고 왼쪽을 바라보며 붉은 선으로 얼굴의 윤곽을 나타내었다. 옷주름은 선을 이용하여 명암없이 간략하게 처리하였다. 시선의 방향과 어깨선에서 선생의 강직한 인상이 보인다.
소수서원에 있는 이 초상화는 선생이 세상을 떠난지 12년 후인 고려 충숙왕 5년(1318) 공자의 사당에 그의 초상화를 함께 모실 때, 1본을 더 옮겨 그려 향교에 모셨다가 조선 중기 백운동서원(후에 소수서원이 됨)을 건립하면서 이곳에 옮겨놓은 것이다. 선생의 초상화는 현재 전해지는 초상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초상화로, 고려시대 초상화 화풍을 알 수 있어 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귀중한 작품이다.
합호사(合湖祠)
조선 숙종 42년(1716)에 후손들이 선생의 영정을 봉안한 영당을 세웠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9년(1869)에 헐렸다. 현재의 서원은 1939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연호사의 건물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의 목조건축물이다.
합호사(合湖祠) 후면
연동 합호서원 전경
연동 합호서원 앞의 은행나무
바닥에 은행이 많이 떨어져 있습니다.
가을에는 노란게 물든 은행나무를 볼 수 있습니다.
* 이 곳은 LH에서 택지개발을 할려고 펜스를 쳐서 찾아가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합호서원만이라도 찾아갈수 있도록 별도로 대안을 마련헸으면 좋겠습니다.
2022.03.09. 연동 합호서원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문화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문신 최한정 위패를 모신 사당,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9호_금남 모인당 (0) | 2022.03.14 |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4호_고양 흥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0) | 2022.03.14 |
남이웅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당,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7호_금남 남산영당 (0) | 2022.03.10 |
성삼문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1호_금남 문절사 (0) | 2022.03.10 |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4호_연동 송용리 마애여래입상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