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 _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조선 18세기, 비단에 수묵담채, 김홍도미술관 소장. 복제품
조선 18세기에 정조의 신임을 받으며 당대 최고의 화가로 활동했던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가 비단에 그린 그림이다.
현재 같은 병풍에서 분리된 것으로 추정되는 두 점의 그림이 남아 있다. 하나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답상출시도(踏霜出市圖)>와 김홍도 미술관소장의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이다. 이 세 그림은 화면 상단에 강세황의 발문이 별도로 붙여있는 공통된 형식을 보여주며, 작품의 크기와 화풍 또한 매우 유사하다. <매해파행도>와 함께 소개하는 <공원춘효도>는 조선 후기 과거시험장의 모습을 보여주는 유일한 시각 자료이다.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 _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복제품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 _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복제품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이화 창립 136주년 기념 소장품 특별전_명품직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하(白下) 윤순(尹淳)의 <백하진묵> (0) | 2022.08.07 |
---|---|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난정서설> (0) | 2022.08.07 |
별제(別提) 안호(安祜)의 <장원서전별도> (0) | 2022.08.07 |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전법(篆法)> (0) | 2022.08.06 |
이건희컬렉션, 방혜자의 <하늘과 땅> (0) | 2022.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