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수도(山水圖)> _ 전(傳)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 조선 19세기 후반, 비단에 엷은 색, 2018년 손창근 기증
산세는 몽글몽글하게, 바위와 언덕 표면 그리고 나뭇잎은 가로로 긴 선으로 표현한 산수화다. 이러한 표현 방식을 이해하는 데 그림 오른쪽 위에 적힌 "원나라 화가 왕몽이 남송의 미불의 필의를 본받아 그린 그림을 다시 본받았다"는 글이 도움이 된다. 미불은 안개 낀 산수를 붓을 뉘어 찍어서 표현했고, 왕몽은 빽빽하게 채운 산수를 그렸는데 두 화가의 특징이 그림에 잘 섞여 있다. 그림오른쪽 아래에 '장승업인(張承業印', '오원(吾園)'인장이 찍혀 있는데, 장승업의 그림이 중국 회화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산수도(山水圖)> _ 전(傳)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
2022.09.12. 국립중앙박물관
전사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간찰(簡札) > (0) | 2022.11.27 |
---|---|
운보(雲甫) 김기창(金基昶)의 <춘향시리즈> (1) | 2022.11.26 |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의 <기승(奇勝)> (0) | 2022.11.24 |
이건희컬렉션, 이중섭의 <물고기와 게와 아이들> (0) | 2022.11.24 |
임직순(任直淳)의 <외설악이 보이는 풍경> (0) | 2022.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