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전북특별자치도 75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44호_경기전 일월오봉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44호 _ 경기전 일월오봉도 수 량 : 1 지정일 : 2017.03.31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풍남동3가, 경기전 경내 어진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 경기전 일월오봉도는 조선태조어진(국보 제317호)이 새로 모사되던 1872년에 함께 제작되었다. 일월오봉도는 병풍에 그려진 그림으로서 조선 태조의 어진을 봉안한 당가 내부에 어진과 함께 배치되었다. 이 그림은은 1872년에 어진과 함께 제작되었음이 문헌으로 뒷받침되어 제작시기와 용도를 알 수 있는 현존 유일의 일월오봉도로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경기전 일월오봉도 전주 경기전 어진박물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호_조경묘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호 _ 조경묘 (肇慶廟) 수 량 : 1동 지정일 : 1973.06.23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풍남동3가, 전주사고) 이 사당은 전주 이씨의 시조인 이한(李翰)과 그 부인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이한은 신라 때 「사공(司公)」이라는 높은 벼슬을 지냈고, 그 부인은 경주 김씨이다.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는 이한으로부터 21대 후손이다. 조경묘는 조선 영조 47년(1771)에 세워, 영조가 세손(정조)으로 하여금 쓰도록 한 시조 내외의 위패를 봉안했다. 철종 5년(1854)에 경기전과 함께 보수해 오늘날의 모습을 갖췄다. 조경묘는 경기전과 함께, 전주가 조선왕조의 발원지임을 상징하는 곳이다. 조경묘 (肇慶廟) 표지판 조경묘 (肇慶廟) 전경 조경묘 (肇慶廟)..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2호_조경묘 가마와 의식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2호 _ 조경묘 가마와 의식구 (肇慶廟 가마와 儀式具), 향정(香亭) 수 량 : 5점 지정일 : 2020.07.31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풍남동3가, 어진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 조경묘는 전주이씨 시조인 이한(李翰)과 시조비 경주김씨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전주 조경묘 가마와 의식구는 1771년 조경묘에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사용된 신연, 향정, 채여와 조경묘 내에 배치되었던 운선 2개로서 전체 5점이다. 전주 조경묘 가마는 조선시대 왕실 가마가 온전하게 남아있는 사례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귀중한 가치가 있으며 의식구는 조선왕조의 어진과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실제로 사용되었던 의장으로서 조선 시대 왕실 의식의 이해를 위한 자료가 된다. 조경묘 가마..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1호_경기전 가마와 의식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1호 _ 경기전 가마와 의식구 (慶基殿 가마와 儀式具), 향정(香亭) 수 량 : 8점 지정일 : 2020.07.31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풍남동3가, 어진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 조선왕조에서 어진은 곧 국왕으로 인식되었기 어진의 이안은 정해진 예법에 따라 엄격한 의례절차를 행하도록 하였다. 경기전 가마와 의식구는 1872년 조선 태조 어진을 경기전에 봉안하기 위해 사용된 신연, 향정, 용선, 봉선과 어진을 보관하거나 이안할 때 사용된 흑장궤와 흑장통으로서 전체 8점이이다. 경기전 가마와 의식구는 조선왕실의 어진봉안과 위패를 모실 때 사용한 유물로서 역사적인 가치가 높다. 관련 문헌기록과 의궤도를 통해 제작시기와 기능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며, 어진 봉..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2호_전주 경기전 하마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2호 _ 전주 경기전 하마비 (全州 慶基殿 下馬碑) 수 량 : 1기 지정일 : 2013.11.15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풍남동3가, 전주사고) 경기전 하마비(慶基殿 下馬碑)는 임진왜란 후 경기전이 중건되던 1614년(광해군 6)에 처음 세워졌으며, 1856년(철종 7)에 중각(重刻)되었다. 비석에는 ‘지차개하마 잡인무득입(至此皆下馬 雜人毋得入)’이라고 새겨 계급의 높고 낮음, 신분의 귀천을 떠나 모두 말에서 내리고, 잡인들의 출입을 금한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경기전 하마비는 여느 하마비와는 다르게 판석위에 비를 올리고 그 판석을 두 마리의 사자(혹은 해태)가 등으로 받치고 있는 특이한 형태로, 단지 하마(下馬)의 의미로서만이 아닌 경기전 수호의 의미..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무량수각(無量壽閣)

무량수각(無量壽閣) _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조선 19세기, 수덕사 근역성보관 글씨의 새로운 경지에 오른다. 김정희(金正喜, 1786~1856)가 제주도 유배 중에 김정희 집안의 원찰(願刹)인 예산 화암사(華巖寺) 중창(中創)에 맞춰 보낸 글씨이다. 글씨의 이상향으로 여기는 전한(前漢)시대 거울에 있는 글자를 기본으로 한 예서(隸書)의 골격에 전서(篆書)와 해서(楷書)의 필치를 더하였다. 해남 대흥사 백설당에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가 쓴 '무량수각(无量壽閣)' 편액 2015.08.04, 해남 대흥사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9호_서외리 당간지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9호 _ 서외리 당간지주 (西外里 幢竿支柱) 수 량 : 1기 지정일 : 1974.09.27 소재지 : 전북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298-2번지 시 대 ; 조선 현종 12년(1671)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는 당이라는 깃발을 걸어둔다. 이 깃발을 꽂아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의 양 쪽에 서서 이를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드물게 당간이 남아있으나, 대개는 두 지주만 남아있다. 이 당간지주는 당간과 당간지주가 모두 남아 있는 경우로 네모난 받침돌 위에 당간지주를 세웠고, 그 사이에 놓인 당간은 몇 토막의 돌기둥을 철띠로 연결시킨 특이한 형태이다. 높이가 7.45m에 이르나 정상에 끊긴 흔적이 있어 원래는 훨씬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55호_내소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55호 _ 내소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수 량 : 3 지정일 : 2018.03.09 소재지 : 전북 부안군, 내소사 시 대 : 조선시대 내소사은 화재이후 대대적인 중창이 진행되었을 18세기에 조각승 상정과 계초에 의해 조각된 것으로 추정되며, 상정과 계초는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조각승으로 함께 조각한 불상은 아직 없고, 조각승 계초의 경우 현재까지 단 2구 뿐으로 내소사의 삼존상은 계초의 불상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글 문화재청 내소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부안 내소사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9호_내장사조선동종, 내장사 대웅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9호 _ 내장사조선동종 (內藏寺朝鮮銅鐘) 수 량 : 1구 지정일 : 1974.09.27 소재지 : 전북 정읍시 내장산로 1253 (내장동) 총 높이 80㎝, 몸체 길이 60㎝, 입 지름 50㎝로, 소형이나 명문이 확실한 조선 후기 범종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입 주변에는 한개의 덩굴무늬 띠를 둘렀으며, 어깨 부위에는 덩굴무늬 띠와 물결무늬 띠가 잇대어 배열되어 있다. 어깨 아래로는 2줄로 만든 작은 원 안에 범자를 도들새김 하였으며, 24개의 원을 배열하여 문양을 만들었다. 몸체 중앙에는 정사각형의 유곽을 4개 두고 안에는 9개의 유두를 도드라지게 새겼다. 유곽을 만든 띠는 덩굴무늬로 채웠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보살상을 양각하였다. 몸체의 맨 윗부분에는 꽃을 세워 장식한 듯..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2호_임실 용암리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2호 _ 임실 용암리사지 석조비로자나불상 (任實 龍岩里寺地 石造毘盧舍那佛像) 수 량 : 1기 지정일 : 1977.12.31 소재지 : 전북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76-1번지 시 대 : 통일신라시대 좌대란 불상을 세우는 받침을 이른다. 이 2기의 좌대는 1900년경 중기사터로부터 약 30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어 지금의 자리로 옮겨온 것이다. 좌대 중 하나는 아래·가운데·윗받침이 모두 8각을 이룬다. 아래받침의 각 면에는 무늬를 두었는데, 자세한 모습을 알 수 없을 만큼 희미하다. 가운데받침에는 안상(眼象)을 얕게 새긴 후 그 안에 합장한 좌상을 조각하였다. 다른 하나도 전체적으로 8각의 형태이나 각 경계가 분명하지 않다. 8각의 가운데받침은 4면에만 사각형으로 창의 형태를 움푹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