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 1013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6호_보령 선림사 목조석가여래좌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6호 _ 보령 선림사 목조석가여래좌상 (保寧 禪林寺 木造釋迦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1.07.20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산 5-1 시 대 : 조선후기 ○ 선림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제작시기와 조각승은 알 수 없지만 상호 표현과 신체 비례, 안정감 있는 자세 등에서 조선 후기의 조형감이 반영된 작품임. ○ 왼쪽어깨의 맞주름, 높은 무릎과 부챗살로 퍼지는 옷자락과 오른쪽 발아래의 삼각형 옷자락 등에서 조선 후기 불상의 세부표현이 잘 드러나 있어 시대성과 예술성이 뛰어난 불상임 보령 선림사 목조석가여래좌상 표지판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선림사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5호_보령 선림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5호 _ 보령 선림사 목조관음보살좌상 (保寧 禪林寺木造觀音菩薩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1.07.20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산 5-1 시 대 ; 조선후기 ○ 선림사는 신라 진평왕대 창건된 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사찰 주불전인 원통전에는 근대에 조성된 석조여래좌상, 조선 후기에 조성된 목조석가여래좌상과 목조관음보살좌상이 불단 위에 모셔져 있다. ○ 선림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조성시기와 불상을 만든 조각승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상호와 신체, 자세 등에서 조선 후기의 불상 양식이 잘 나타나고 있는 작품으로, 특히 무릎 밑의 갑대 는 조선 후기 보살상에서도 드물게 나타나는 표현으로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보이는 특징이다. ○ 선림사 목조관음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0호_충청수영 내삼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0호 _ 충청수영 내삼문 (忠淸水營 內三門) 수량/면적 : 35 지정일 : 2010.12.30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596 충청수영의 북동측에 있는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3칸 중 가운데 한칸을 높여 솟을지붕형태로 건축되었다. 작은 규모의 건축물임에 비해 기둥과 보, 도리 등이 모두 견실한 부재로 건축되어 건물의 품격이 당당하고 육중해 수영성내 중요한 영사(營舍)의 출입문이었던 듯 하다. 충청수영 내삼문 표지판 충청수영 내삼문 전경 충청수영 내삼문 공해관 삼문 건물은 원래 수사의 집무실이었던 공해관의 출입문 역할을 하던 내삼문이다. 현재 공해관은 없어지고, 삼문만 남아오고 있다. 삼문 뒤의 객사 건물과 함께 오천고등학교 자리에서 옮겨져서 현판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9호_보령 유격장군청덕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9호 _ 보령 유격장군청덕비 (保寧遊擊將軍淸德碑) 수 량 : 1기 지정일 : 2000.09.20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661-12번지 ◦ 1598년 4월에 세운 유격장군(遊擊將軍) 계금(季金)의 청덕비로, 유격장군 계금은 중국 명나라 절강성(浙江省) 수군장으로 임진왜란 때 3000명의 수군을 이끌고 이곳 오천(충청 수영)으로 상륙하고 전라도로 이동하여 왜군을 토벌하였음. ◦ 비문은 장군의 덕(德)을 칭소하고 왜적을 빨리 무찌르기를 기원하였으며, 장군의 위엄을 빌려 바다에서의 안녕을 기도(祈禱)하자는 내용으로 임진왜란 대 명나라 수군이 상륙한 지점을 알려주고, 당시의 민속을 엿볼 수 있는 비로써, 비문은 안대진(安大進)이 지었음. 보령 유격장군청덕비 표지판 보령 유..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4호_김두량 필 삽살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4호 _ 김두량 필 삽살개 (金斗樑 筆 犬圖) 수 량 : 1점 지정일 : 2019.05.29 소재지 : 부산광역시 수영구 이 작품은 金斗樑이 1743년에 그린 삽살개 그림과 영조대왕이 쓴 화제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당대에 제작된 의 머릿그림이었으나 근간에 따로 떼어 족자로 장황하였고 보존상 보호 액자로 이중 표구되어 있다. 김두량은 화원으로서 別提에 발탁되었고, 영조의 총애를 받아 南里라는 호를 직접 하사받았던 것으로 보아 화원으로서의 평가가 대단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림의 구도는 삽살개가 고개를 들고 입을 벌려 짖는 자세를 측면으로 화면에 꽉 차게 구성했으며, 약간의 경사를 두어 담묵의 태 점으로 지면을 나타냈다. 활달하면서도 卯方이 넘치는 필치의 이 그림은 개의 표정..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7호_고창 선운사 영산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_ 고창 선운사 영산전 (高敞 禪雲寺 靈山殿) 수량/면적 : 1필지 1동 121.8㎡ 지정일 : 2021.04.09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삼인리) 시 대 : 조선후기 고창 선운사 영산전은 대웅전과 함께 선운사를 대표하는 불전으로서 1713년에 2층 각황전으로 창건, 1821년 단층으로 재건하는 등 연혁과 관련된 기록이 명확하다. 건축물의 형식은 19세기 초 부불전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1고주 7량가 양식을 적용하면서 다른 사찰의 영산전 건물과 다른 형식의 구조, 공포, 평면구성을 보여주고 있어 건축적 독창성과 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건물 내부 벽면에는 1821년 재건 당시의 벽화가 조성되어 있어 미술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는 등 건립 당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4호_문수사 부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4호 _ 문수사부도 (文殊寺浮屠) 수 량 : 2기 지정일 : 1997.07.18 소재지 : 전북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산190-1번지 시 대 : 조선시대 부도란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는 것으로, 시신을 화장한 후 그 유골이나 사리를 그 안에 모셔두는 것이다. 문수사 내에 자리하고 있는 이 2기의 부도는 절내에 마련된 두 군데의 부도밭 중 서쪽에 있는 부도밭에 놓여 있다. 이 곳에는 6기의 부도들이 나란히 자리잡고 있는데, 앞에서 보아 두번째와 세번째에 해당하는 것이 이들이다. 둘 다 같은 양식으로 각 부분이 8각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세부분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 위로, 탑신(塔身)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하였다. 조선시대에 세운 것으로, 제법 균형미가 느껴지며 만..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6호_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삼존상과 권속 및 복장유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6호 _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삼존상과 권속 및 복장유물 (高敞 禪雲寺 懺堂庵 石造地藏菩薩三尊像과 眷屬 및 腹藏遺物) 수 량 : 불상 21구, 복장유물 9건 지정일 : 2019.12.20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도솔길 194-77, 선운사 (삼인리) 시 대 : 조선시대 참당암 명부전 존상 21구는 모두 경주 동해변의 불석산(佛石山)에서 산출되는 불석(佛石 ,Zeolite)으로 제작되었다. 지장보살좌상에서 발견된 불상발원문은 1682년 조각승 승호가 경주 동면 천동에서 지장보살을 비롯하여 총 21구를 제작하여 바다를 통해 참당암에 봉안 하였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지장보살좌상, 도명존자상, 무독귀왕상, 시왕상(10구), 귀왕상(2구), 판관상 (2구), 사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1호_선운사 범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1호 _ 선운사 범종 (禪雲寺 梵鐘) 수 량 : 1구 지정일 : 1973.06.23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삼인리) 시 대 : 조선시대 순조18년(1818) 전라북도 고창 선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범종으로 높이 103㎝, 입 지름 93㎝이고,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를 포함한 전체 높이는 129㎝이다. 용뉴는 2마리 용으로 만들었다. 한국 범종의 특징인 소리의 울림을 도와 준다는 용통이 없는 대신, 종 윗면에 1개의 구멍을 뚫었고, 어깨부분에는 2줄의 선을 돌렸다. 선 안쪽으로 글씨를 새겼는데, 조선 순조 18년(1818)에 다시 만든 것임을 알려준다. 몸체 중앙에는 3개의 돌출된 선을 둘러 위와 아래로 구분해 놓았다. 윗부분에는 꽃과 덩굴로 장식한 4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7호_고창 선운사 도솔암 독성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7호 _ 고창 선운사 도솔암 독성도 (高敞 禪雲寺 兜率庵 獨聖圖) 수 량 : 1점 지정일 : 2022.07.29 소재지 : 전라북도 고창군 시 대 : 1896년 - 도솔암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독성도(獨聖圖)는 조성 기록인 화기(畵記)에 따르면 1896년 화승(畵僧) 봉화(奉華)가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탱화의 크기는 전체 가로 65.7㎝, 세로 118.5㎝(화면 59.2×109.3)로 면(綿)에 채색을 하였으며 나무 액자형으로 장황되어 있다. - 독성은 홀로 깨달음을 얻은 성자라는 의미이며, 화면에 독성의 머리에는 광배를 두었으며, 산을 배경으로 소나무 아래 긴 흰 눈썹을 한 노비구가붉은 가사를 걸치고 있는 전형적인 19세기 독성도의 도상을 갖추고 있다. 화면 아래에는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