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서원

사적 제166호_정읍 무성서원 (2018.04.01.일요일)

기리여원 2018. 4. 10. 07:50

                                   선비문화의 중심

                                                                                                           武城書院

 

                                                                                              사적 제166호 _ 정읍 무성서원 (井邑 武城書院)     

                           

 

지정일 : 1968.12.19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전북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번지 무성리 500번지

 

 

신라후기의 학자였던 최치원(857∼?)과 조선 중종(재위 1506∼1544)때 관리였던 신잠(申潛)을 모시고 제사지내는 서원으로, 교육기능과 제사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원래는 태산서원이라 하던 것을 숙종 22년(1696)에 임금으로 부터 이름을 받아 무성서원이라 하게 되었다. 앞에는 공부하는 공간을 두고, 뒤에는 제사 지내는 사당을 배치한 전학후묘의 형식이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사당, 현가루, 동·서재, 비각, 명륜당 등이 있다.
사당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로 성종 15년(1484)에 세웠고, 문루인 현가루는 앞면 3칸·옆면 2칸의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강당인 명륜당은 앞면 2칸·옆면 2칸의 팔작지붕 집이다.
이곳에는 성종 17년(1486) 이후의 봉심안, 강안, 심원록, 원규 등의 귀중한 서원자료가 보존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남아있던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무성서원의 입구


무성서원(武城書院)의 역사


무성서원은 신라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선생이 태산태수(泰山太守)로 부임하여 8년동안 선정을 베풀고 많은 치적을 남기고 이임하여 떠나자 주민들이 생사당(生祠堂)을 세우고 태산사(泰山祠)라고 한데서 유래되었다.


이 후 1544년(중종39) 태인현감으로 부임한 신잠(申潛)선생이 6년에 걸처 선정을 베풀다가 강원도 간성(杆城)군수로 전임되어 떠나자 주민들이 역시 생사당을 세워 배향하다가 고운 선생의 태산사와 합하였다.


그 후 1615년(광해군) 고을 유림들이 서원을 세웠는데 1696년(숙종22) '무성서원(武城書院)'이란 사액(賜額)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으며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 눌암(訥菴) 송세림(宋世琳), 묵재(默齋) 정언충(鄭彦忠), 성재(成齋) 김약묵(金若默), 명천(鳴明) 김관(金灌) 선생을 추가로 배향하였다.


앞에는 개울물이 흐르며 뒤에는 성황산(城隍山)을 등지고 자리한 무성서원은 1868년 정부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毁撤)되지 아니한 전국 47개 서원 중 전북도내 유일의 서원으로 을사늑약(乙巳勒約)이 체결된 이듬해인 1906년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과 둔헌(遯軒) 임병찬(林炳璨)선생이 일제의 침략에 항거하기 위해 호남의병을 창의한 역사적 현장이기도 하다

 

 

 

 

 

 

 

 

 

 

 

 

                                                                                       현가루(鉉歌樓)


무성서원에는 외삼문 대신 1891년 건립된 전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인 현가루가 들어서 있다.

현가루는 논어의 현가불철(炫歌不輟)에서 따온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려움을 당하고 힘든 상황이 되어도 학문을 계속 한다는 의미이다

 

 

                                                                                 현가루(鉉歌樓) 편액

 

 

                                                                                현가루(鉉歌樓)


입지환경


무성서원이 자리잡은 정읍시 칩보면 무설리는 서남쪽에 솟은 칠보산에 기대어 형성된 마을이다.

마을의 전면과 좌우에 넓은 들이 있고 들 가운데로 칠보천이 흘러 마을 북편의 동진강에 합수된다.

성황산을 배굥으로 전형적인 배산임수형 마을형국을 이루는 이곳의 중심부에 무성서원이 있다. 무성서원은 서원의 일반적인 입지조건과는 달리 향촌내, 그것도 마을 중심부에 자리한 매우 이례적인 사례로 향촌민과 함께 하면서 지역문화를 선도하며 지식인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감당하려는 의미를 이곳에서 읽을 수 있다.



무성서원의 배치형태


무성서원은 완만한 구릉을 이루고 있는 곳에 남북방향으로 자리잡고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식 배치형태 서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건축물로만 이루어져 있다.

사당인 태산사와 강당, 동재, 외삼문에 해당하는 현가루, 그리고 내삼문과 고직사 등으로 서원의 기본적인 배치구조를 조성하고, 주변에 각종 비석과 비각이 놓여 있다.

서원 정면의 현가루에서 사당에 이르기까지 남북 중심축선을 두고 그 축선을 따라 뒤로 가면서 현가루, 강당, 내삼문, 사당을 배치한 후 주위를 담장으로 둘렀다.

 

 

 

 

 

 

 

 

                                                                                  고직사(庫直舍)


서원 관리인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서원의 향사시 필요한 제수품을 준비하고 서원의 살림을 맡아보는 기능을 하였다.

 

 

 

 

 

 

 

 

 

 

 

 

 

 

 

 

 

 

 

                                                                                   강당(講堂)

현가루 문을 들어서면 1828년(순조28) 중건된 정면5칸 측면2칸의 공학공간으로 사용되는 강당이 들어서 있는데 좌우에 방이 배치되어 있고 중앙 3칸의 마루는 앞뒤가 트여져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강당 전면에 걸려있는 현판을 보면 1696년(丙子22년) 사액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무성서원(武城書院) 편액

 

 

                                                                                   강당(講堂) 후면

 

 

 

 

 

 

 

 

 

 

 

 

 

 

 

 

 

                                                                                        내삼문

 

 

 

                                                                                        내삼문후면

 

 

                                                                                    태산사(泰山祠)


1484년(성종15) 창건하고 1844년(헌종10) 중수하였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로 고운 최치원을 중심으로 불우헌 정극인 등 7위를 모시고 있다.

 

 

                                                                                   태산사(泰山祠) 현판

 

 

 

 

                                                                        신용희 불망비(申瑢熙 不忘碑) 비각


1925년에 세운 것으로 비신(碑身)에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전비서감승(前秘書監承) 신영희(申瑢熙) 불망비(不忘碑)라 새겨져 있으며 규모는 높이 1.16m, 폭 0.45m, 두께 0.18m이다.

 

 

                                       통정대부 전비서감승 신영희 불망비 (通政大夫 前秘書監承 申瑢熙 不忘碑)  

 

 

 

 

 

                                                                        서호순 불망비(徐灝淳 不忘碑) 비각

강당 좌측에 1828년 강당을 중수한 태인현감 서호순의 공덕을 기리는 현감 서호순 불망비(徐灝淳 不忘碑)와 비각이 있다

 

 

 

 

 

 

 

                                                                    최영대 영세불망비(崔永大永世不忘碑) 비각

 

 

최영대 영세불망비(崔永大永世不忘碑)

 

 

                                                                      정문술 중수의조비(丁汶述重修義助碑) 비각

 

 

                                                                       정문술 중수의조비(丁汶述重修義助碑)

 

 

                                                                        병오창의 기적비(丙午倡義紀蹟碑)


1905년 일본에 의해 을사늑약(乙巳勒約)이 체결되자 이듬해인 1906년 6월 13일 면암 최익현, 둔헌 임병찬의 주도로 무성서원에서 호남 최초로 의병이 일어난 역사적 현장을 기념하기 위해 1992년 기적비를 세웠다

 

 

                                                                                   강수재(講修齋)


일반적으로 서원은 기숙사인 동서 양재가 있으나 무성서원은 동재인 강수재만 있다.

 

                                                                                     강수재(講修齋) 현

 

 

                                                                                   강수재(講修齋)

 

 

 

유네스코세계유산에 신청한 한국의 서원 9곳(소수서원, 도산서원,병산서원, 돈암서원, 옥산서원,도동서원, 남계서원, 필암서원, 무성서원)의 문화재답사를 마칩니다.

 

무성서원 자료,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