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전라남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_담양 향교

기리여원 2021. 11. 9. 13:58
반응형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 _ 담양향교 (潭陽鄕校), 

 

수량/면적 : 일곽

지정일 : 1986.11.01

소 재 지 : 전남 담양군 담양읍 향교길 19 (향교리)

시 대 : 태조 7년(1398)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담양향교가 세워진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고려 충혜왕(재위1330∼1331, 1339∼1344) 때 지어졌다는 설이 있으나 본격적으로 건물이 지어진 것은 태조 7년(1398)에 대성전이 세워지면서부터라고 전한다. 숙종 원년(1674)에 다시 짓고, 영조 23년(1747)에 고쳤으며, 순조(재위 1800∼1834) 때 수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동무·서무·명륜당 등이 있다.

 

향교는 경사진 곳에 위치하며 앞쪽에는 학생들이 공부하던 명륜당을 중심으로 배움의 공간을 두고 있다. 뒤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여러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을 두고 있어, 향교의 일반적 배치형태인 전학후묘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노비·책·토지 등을 지급 받아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에는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 2차례에 걸쳐 제사만 지내고 있다.

 

담양향교 표지판

 

 

담양향교 (潭陽鄕校) 외삼문(外三門)

 

 

강학공간인 담양향교 (潭陽鄕校) 명륜당(明倫堂)

 

 

담양향교 (潭陽鄕校) 명륜당(明倫堂) 후면

 

 

재실 및 관리사

 

 

담양향교 (潭陽鄕校) 동재(東齋)

 

 

담양향교 (潭陽鄕校) 서재(西齋)

 

 

담양향교 (潭陽鄕校) 내삼문(內三門)

 

 

담양향교 (潭陽鄕校) 내삼문(內三門)

 

 

담양향교 (潭陽鄕校) 내삼문(內三門)

 

 

담양향교 (潭陽鄕校) 동무(東廡)

 

 

담양향교 (潭陽鄕校) 동무(東廡)

 

 

담양향교 (潭陽鄕校)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에는 5(五聖), 송조2(宋朝二賢) 및 우리 나라 18(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건축형태는 앞쪽에 명륜당을 중심으로 한 학당부를 두고, 후면에는 대성전을 중심으로 한 문묘부를 배치한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식이다.

 

 대성전(大成殿) 현판

 

 

담양향교 (潭陽鄕校) 대성전(大成殿)

 

대성전(大成殿)의 건물규모는 전면 3칸 옆면 3칸으로 지붕은 맞배지붕의 목조건축물입니다.

 

담양향교 (潭陽鄕校) 대성전(大成殿)

 

 

담양향교 (潭陽鄕校) 대성전(大成殿) 정면

 

2021.11.07,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 담양향교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0 눌러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