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2/16 4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17호 _ 서산 문수사 소조나한상 일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17호 _  서산 문수사 소조나한상 일괄 (瑞山 文殊寺 塑造 羅漢像 一括) 수    량 : 20점지정일 : 2011.07.20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문수골길 201 (운산면, 문수사) 문수사 극락보전의 오른쪽(향)에는 높은 단을 마련하여 여래좌상 1구, 보살상 1구, 보살상 2구, 16나한상, 제석천 2구를 안치하하고 있음. 그러나 여래상과 마치 본존불 처럼 중앙에 놓여 있는 보살좌상은 다른 상들과 양식 상 구별되는 점에서 함께 제작된 작품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원래의 본존불인 석가여래상은 현재 없어졌음두 구의 보살상은 두 손의 위치만 바뀌었을 뿐 보관을 쓰고 변형편단우견에 편삼을 입은 착의법으로 거의 비슷함. 두 손의 위치에서 원래 좌 우협시상으로 판단되며 16나한..

안톤 콜리히의 <소년과 큐피드>

_ 안톤 콜리히(1886~1950, 오스트리아), 1911년, 캔버스에 유화, 레오폴트미술관 안톤 콜리히는 신예술가 그룹에서 활동하며 젊은 예술가들 사이에서 새로운 예술의 흐름을 이끌었다. 콜리히는 이 작품을 시작으로 예술의 흐름을 이끌었다. 콜리히는 이 작품을 시작으로 평생 인체를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했으며, 특히 남성 누드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벽을 등지고 선 소년은 이미 어른에 가까운 큰 발과 건장한 몸을 보여 주지만 다소 부끄럽고 어색한 모습이다. 옆에 있는 사랑의 신 큐피드는 소년이 사랑을 알게 되는 사춘기에서 청년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_ 안톤 콜리히(1886~1950, 오스트리아) 2025.02.07, 국립중앙박물관_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전시자료 ▼보..

정종미(鄭鐘美)의 <보자기 부인>

<보자기 부인> _ 정종미(鄭鐘美, 1957 ~     ), 2007, 닥종이, 천, 안료염료,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정종미(鄭鐘美, 1957 ~     )는 전통 한지의 제작술을 직접 입히고, 안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르 통해 한국화의 뿌리를 찾으려고 노력해 온 작가이다. 작가는 1999년부터 여기에 한국 여성의 이미지를 결합한 '종이부인'을 완성시켜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였고, 최근까지 그의 작업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1993년 2년간 미국에서 생활하며 전 세계의 온갖 종이를 접한 것이 오히려 전통 한지의 특성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은 여성의 얼굴에 종이와 천을 여러 겹 겹치고 장신구를 붙여 콜라주한 작품으로, 어린 시절 종이옷 입히기 놀이를 재현한 듯하다. 바탕을 조각보처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