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칠곡 천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漆谷 天柱寺 目造阿彌陀如來坐像) _ 조선 1482년, 높이 57.3cn, 국립중앙박물관
다밀지 정수사에서 조성한 아미타불상
1482년 오늘날 경상도 지역으로 추정되는 다밀지(多密地) 정수사(正水寺)에서 조성한 불상으로, 1910년 경상북도 칠곡 천주사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좁은 어깨와 긴 허리, 머리에 솟아오른 육계와 그 위에 볼록한 구슬 모양 계주는 15세기 왕실 발원으로 조성한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1458)과 유사합니다. 조선 전기 왕실 불사(佛事)에서는 그림을 그리는 관청인 도화서(圖畵署) 소속 화원(畵員)과 관아 소속 장인들이 함께 참여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들은 고려 후기 조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중국 명나라와 교류하며 새로운 양식을 받아들였습니다. 비록 왕실 발원 기록이나 제작자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조선 전기 불상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작품입니다.
칠곡 천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칠곡 천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칠곡 천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2021.12.07.국립중앙박물관_조선의 승려 장인
글 전시안내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문화재 > 비지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겸 진영(信謙 眞影) (0) | 2021.12.17 |
---|---|
영취사 영산회상도 (0) | 2021.12.14 |
부여 충혼사(忠魂祠) (0) | 2021.12.07 |
훌륭하신 환경대통령, 유영규 (0) | 2021.10.07 |
ㄷ자형 은입사 자물쇠 (0) | 2021.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