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ㄷ자형 은입사 자물쇠 _ 조선후기, 18~19세기, 12×6cm, 청허(淸虛)소장
자물쇠 표면에 정으로 쪼며 은선을 박아 넣는 은상감가법을 사용하여 글귀나 문양을 새겨넣어 장식한 자물쇠이다.
쌍희(雙喜), 부귀(副貴) , 다남(多南) 등 기복을 구하는 길상어문(吉祥語紋)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보아 부분적으로는 '부적'의 역할을 대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ㄷ자형 은입사 자물쇠 전면
ㄷ자형 은입사 자물쇠 전면중앙에 은입한 학은 천년을 산다하여 장수를 상징하는 동물로 영원한 사랑을 의미하며 복을 가져다 준다는 의미로 새겨 넣었다.
그리고 양쪽에 은입한 백수백복(百壽百福)은 긴 수명과 온갖 복을 지니라는 의미로 새겨져 있으며, 수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게문이나 두껍닫이 자물쇠에 사용하였다.
ㄷ자형 은입사 자물쇠
ㄷ자형 은입사 자물쇠 후면
열쇠 _ 15.5×1.8cm
ㄷ자형 은입사 자물쇠 내부 뭉치
2021.08.20. '청허(淸虛)' 소장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문화재 > 비지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 충혼사(忠魂祠) (0) | 2021.12.07 |
---|---|
훌륭하신 환경대통령, 유영규 (0) | 2021.10.07 |
원주 학성동 철조석가여래좌상 (0) | 2021.08.07 |
수도산 봉은사 일주문 (0) | 2021.07.15 |
예산 헌종대왕 태실, 헌종 태봉도 (0)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