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비지정문화재

수도산 봉은사 일주문

기리여원 2021. 7. 15. 10:38
반응형

수도산 봉은사(修道山奉恩寺) 일주문

 

봉은사(奉恩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교구에 속한다. 이 절의 기원은 794년에 연회국사가 창건한 견성사이다. 그뒤 1498년에 정현왕후가 성종의 능인 선릉을 위해 이 절을 중창하고 봉은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1562년 보우선사가 중종의 능인 정릉을 선릉의 곁으로 옮기고 이 절을 현재의 위치로 이건했다. 임진왜란·병자호란 때 소실된 것을 1637년에 중건했으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중건·중수했다. 1912년에 31본산 중의 하나가 되었으며, 1939년 화재로 주요전각들이 소실된 것을 1941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대웅전·판전·명부전·법왕루·심검당·북극전 등이 남아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고려청동누은향로(보물 제321)가 있고, 화엄경소·금강경·한산시·유마경등 많은 목판본이 보존되어 있다

 

글 다음백과

 

수도산 봉은사(修道山奉恩寺) 일주문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어 일주(一柱)라고 불리며 '모든 진리가 하나'임을 나타낸다. 봉은사를 떠나 35년간 영평 사나사, 오봉산 석굴암을 거쳐 2020년 5월 본래 자리로 돌아와 봉은사를 찾는 사람들을 맞이하고 있다

 

수도산 봉은사(修道山奉恩寺) 일주문

 

새로 세워진 일주문은 최근까지 양주 오봉산 석굴암의 일주문으로 서있던 것을 해체해서 옮겨와 제자리에 복원한 것입니다.

 

봉은사 일주문에서 바라본 진여문

 

 

수도산 봉은사(修道山奉恩寺) 일주문 편액

 

일주문의 전면 편액은 경북 예천 출신으로 일중 김충현 선생과 여초 김응현 선생 문하에서 수학한 서예가 초정(艸丁) 권창륜(權昌倫, 1943 ~  ) 선생의 글씨이며, 후 면에는 "大韓佛敎曺溪宗,"이란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수도산 봉은사(修道山奉恩寺) 일주문 천정

 

 

수도산 봉은사(修道山奉恩寺) 일주문 후면

 

 

일주문 후면에 걸려 있는  "大韓佛敎曺溪宗," 현판

 

 

수도산 봉은사(修道山奉恩寺) 일주문 후면 

 

2021.07.04. 삼성동 봉은사 일주문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