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고 Ⅰ> _ 내화(乃和) 이화자(李和子, 1943~ ), 1968, 종이에 색,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내화(乃和) 이화자(李和子, 1943~ )는 박색광, 천경자의 화맥을 이어 한국 전통 채색화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스스로 평생의 화두가 '한국화란 무엇인가.', '어떤 것이 한국성을 갖고 그 한국성을 어떻게 현대적으로 표현할 것인가.'에 매달렸다고 말할 만큼 '한국 채색화'를 위해 끊임없이 탐구하여 왔다.
1960년대는 국가 주도의 문화예술 정책이 펼쳐지면서 민족의식과 민족문화, 민족미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시기였다. <회고 Ⅰ >은 불교, 무속적 주제나 민간 공예품을 모티프로 하여 한국적 소재를 탐구하던 시기의 특징이 잘 드
<회고 Ⅰ> _ 내화(乃和) 이화자(李和子, 1943~ )
2025.02.01,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_수묵별미 : 한 · 중 근현대 회화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동(山童) 오태학(吳泰鶴)의 <전우> (0) | 2025.02.10 |
---|---|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의 <애련미인도> (0) | 2025.02.07 |
묵로(墨鷺 ) 이용우(李用雨)의 <점우청소> (1) | 2025.02.07 |
남농(南農) 허건(許楗)의 <목포교외> (0) | 2025.02.07 |
남농(南農) 허건(許楗)의 <풍속도>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