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등록문화재 81

국가등록문화재 제121호_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국가등록문화재 제121호 _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求禮 舊 放光國民學校 校舍) 수량/면적 : 1동, 1층, 건축면적 592㎡ 지정일 : 2004.12.31 소재지 : 전남 구례군 광의면 매천로 244 (수월리) 시 대 : 1947 1947년에 방광국민학교 교사로 건립되었으며, 전통한옥의 형태와 개량식 기법이 함께 나타나 전통건축이 사회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문화변용의 한 단면을 볼 수 있음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표지판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구례군에는 현재 국가등록문화재가 2곳이 있다. 1, 국가등록문화재 제120호_구례읍사무소 2. 국가등록문화재 제121호_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우측면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지리산학생수련장 호..

국가등록문화재 제120호_구례읍사무소

국가등록문화재 제120호 _ 구례읍사무소 (求禮邑事務所) 수량/면적 : 1동, 1층, 건축면적 284.3㎡ 지정일 : 2004.12.31 소재지 : 전남 구례군 구례읍 봉성산길 12 (봉동리) 시 대 : 1936 1936년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관공서 건물로, 벽돌구조에 우진각지붕 형식을 가지고 있다. 구례면사무소로 사용되다 1963년 구례면이 구례읍으로 승격되면서 구례읍사무소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 건물은 정면 중앙에 페디먼트를 가진 맞배지붕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형태의 전형적인 일제강점기 관공서 건물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구례읍사무소 표지판 구례읍사무소 주출입구 구례군에는 현재 국가등록문화재가 2곳이 있다. 1, 국가등록문화재 제120호_구례읍사무소 2. 국가등록문화재 제121호_구례 구 방광국민학..

국가등록문화재 제237호_ 서울 구 대법원 청사

국가등록문화재 제237호 _ 서울 구 대법원 청사 (서울 舊 大法院 廳舍) 수량/면적 : 전면현관 폭 14.6m, 두께 8.7m, 높이 5m, 전면벽체 폭60m, 두께 25cm, 높이 최저15.1m~최고16.1m 지정일 : ㅠ2006.03.02 소재지 : 서울 중구 서소문동 37번지 시 대 : 1928년 이 건물은 1928년에 경성재판소로 건립된 법원 건물로, 광복 후 대법원 청사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서울시립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 우리나라 침탈 기반 시설로서 일본이 지은 법원 건물로, 당시 총독이던 사이토 마코토의 글씨로 확인되는 “定礎 昭和二年十一月 朝鮮總督子爵齋藤實 齋藤實” 기록이 새겨진 정초석이 남아 일본이 자행했던 한국 침탈의 뼈아픈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서울시립미술관으로 기..

북미 교회양식과 한옥양식이 공존하는 세종 부강성당(국가등록문화재 제784호)

국가등록문화재 제784호 _ 세종 부강성당 수량/면적 : 3동(545㎡, 204㎡, 86㎡) 지정일 : 2020.06.24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4길 33 (부강면) 시 대 : 1930년대 세종 부강성당은 1962년 현재의 성당 건물이 건축되기 이전에 본당으로 사용되었던 한옥 건물이 함께 위치하고 있어 건축사적 측면에서의 희소성과 함께, 당시 지역사회의 천주교 선교와 관련한 시대적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어 종교사적 측면에서도 보존 가치가 높다 구 한옥성당 문간채 구 한옥성당 문간채 내부 구 한옥 성당 1934년 지어진 한옥 성당은 1957년부터 성당으로 사용됐으나 본당이 건립된 후 수녀원, 회합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 한옥 성당 구 한옥 성당 구 한옥 성당 정면 구 한옥 성당 측면 부강성당 부..

국가 등록문화재 제592호_고양 흥국사 대방

국가등록문화재 제592호 _ 고양 흥국사 대방 (高陽 興國寺 大房) 수량/면적 : 1동/ 330㎡ 지정일 : 2014.07.01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흥국사길 82 (지축동, 흥국사) 흥국사 대방은 정토 염불 사상이 크게 성행하던 근대기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염불 수행 공간과 누ㆍ승방ㆍ부엌 등의 부속 공간을 함께 갖추고 대웅전을 실제적ㆍ상징적 불단으로 삼아 염불 수행을 하도록 구성된 독특한 형식의 복합 법당이다. 기존의 전통적 방식을 벗어나 복합적이고 기능적인 근대적 건축의 성립을 보여주고 있는 등 역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독특한 건축 형식과 공간 구성 및 시대정신을 담고 있다. 고양 흥국사 대방 표지판 고양 흥국사 대방 전경 고양 흥국사 대방 대방(大房)은 전통사찰 흥국사에서 가장 큰 건축..

국가등록문화재 제754호_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국가등록문화재 제754호 _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수량/면적 : 1동, 220㎡ 지정일 : 2019.06.05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 60-1 시 대 : 일제강점기 최초 산일제사공장의 건물로서 톱날형 지붕 구조는 북쪽에 창을 높게 설치하여 내부에 균일한 빛을 받기위한 것이며, 이는 초기 산업유산으로서 제사공장 건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한국전쟁 당시 조치원여자고등학교 임시교사로 사용되었던 장소로 지역적, 역사적 의미를 지닌 건물로 보존가치가 크다. * 제사공장(製絲工場) : 누에고치에서 실을 만드는 공장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표지판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너무 낡아서 무너질 것 같아 시급히 보수를 해야 되겠습니다.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톱날 모양의 지붕구조..

단아한 아름다움을 지닌 한옥성당, 국가등록문화재 제455호_고양 행주성당

국가등록문화재 제455호 _ 고양 행주성당 (高陽 幸州聖堂) 수량/면적 : 건물1동, 현황측량면적 173㎡ 지정일 : 2010.02.19 소재지 :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로144번길 50 (행주외동) 1910년에 지어진 한옥성당으로 1928년 현 위치로 이축하면서 상량 목부재를 포함하여 당시 사용하였던 기초 부재를 대부분 재활용하였고, 1949년 증축하면서 기록한 상량 묵서도 남아있어 변천과정 기록유지가 잘 되어 있으며, 건물 뼈대를 구성하는 목조가구의 경우 최초 건립 부분과 증축 부분이 잘 남아 있는 등 역사성을 잘 간직하고 있다. 고양 행주성당 표지판 고양 행주성당 고양 행주성당은 서울과 경기 북부 지역에서 명동성당과 악현성당 다음에 지어진 성당으로, 고양 지역에서 가장 오랜된 한옥 성당이다. ..

국가 등록문화재 제705호_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제대 및 세례대

국가등록문화재 제705호 _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제대 및 세례대 (大韓聖公會 江華聖堂 祭臺 및 洗禮臺) 수 량 : 2점 지정일 : 2017.12.05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관청길27번길 10 (강화읍, 대한성공회상화읍성당)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등록문화재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제대 및 세례대」는 사적 「대항성공회 강화성당」 안에 있는 핵심적인 의례물로 1900년 건축 당시 강화도 지역의 화강암을 재료로 제작되었으며 세례대에는 ‘修己洗心去惡作善(수기세심거악작선)’, ‘重生之泉(중생지천)’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어 개신교의 한국 토착화 사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한국의 성공회 교단에서 최초로 제작된 역사적 가치와 더불어 내부 구조물과 조화를 이루는 단순하고 소박한 형상은 경건한 종교적 분위기를..

국가등록문화재 제295호_남양주 구 팔당역

국가등록문화재 제295호 _ 남양주 구 팔당역 (南楊州 舊 八堂驛) 수량/면적 : 역사 1동, 광장 일곽, 철로 및 승강장(역사 좌우측 각 150m) 지정일 : 2006.12.04 소재지 :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98-1, 342 시 대 : 1939년 팔당역은 1동, 12층 규모로 건축면적 56.99㎡이다 팔당역은 중앙선로의 역사로 1939년 건립된 것으로 판단되며, 1939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가구는 목조양식으로 일자형의 장방형 평면 구성은 대합실, 사무실, 숙직실이 배치되었다. 간이역은 폐역되었으나, 내부에 전시물을 설치하여 개방할 예정이다. 남양주 구 팔당역 표지판 남양주 구 팔당역 2022.01.02.일요일, 남양주 와부읍 팔당리. 구 팔당역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양조장, 국가등록문화재 제594호_양평 지평양조장

국가등록문화재 제594호 _ 양평 지평양조장 (楊平 砥平釀造場) 수량/면적 : 1동/427.7㎡ 지정일 : 2014.07.01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지평리 551-2 지평양조장은 현재 3대에 걸쳐 가업을 이어 전통 제조 기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통주를 제조하고 있는 건물로 환기를 위해 높은 창을 두고, 보온을 위해 벽체와 천장에 왕겨를 채웠으며, 서까래 위에 산자대신 대자리형식으로 짠 것, 외벽의 일부에 흙벽돌을 사용한 것이 특징적이다. 일제 강점기 한식 목구조를 바탕으로 일식 목구조를 접합하여 대공간을 구성한 절충식 구조로 당시 탁주 생산 공장으로서 기능적 특성을 건축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양평 지평양조장 표지판 양평 지평양조장 정면 양평 지평양조장 양평 지평양조장 양평 지평양조장 박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