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경상남도 100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호_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묘응탑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호 _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묘응탑비 (密陽 瑩源寺址 寶鑑國師 妙應塔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2.02.12 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 112-3 영원사터에 남아 있는 보감국사의 탑비로, 주변에 흩어져 있던 여러 부재를 수습해 놓은 것이다. 보감국사(1251∼1322)는 고려 일연스님의 제자로, 충렬왕 때 대선사(大禪師)가 되었고 충숙왕 때 왕사(王師)가 되었다. 몇년 후 은퇴하여 영원사에 머무르다가 말년에 송림사로 옮겨 입적하였다. 국사로 추증되었고 ‘보감’은 그의 시호이며, 탑이름은 ‘묘응’이다. 비는 거북모양의 받침돌이 비몸을 잃어버린 채 머릿돌을 받치고 있다. 거북의 머리는 힘찬 형태로 매우 생동감 있게 표현되었으며,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다. 등에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호_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승탑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호 _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승탑 (密陽 瑩源寺址寶鑑國師 僧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72.02.12 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 112-3 영원사터라고 전하는 곳에 각 부분이 흩어져 있던 것을, 1974년 11월 현재의 자리로 옮겨 세운 것으로, 고려 시대 승려인 보감국사의 부도(사리탑)로 추정된다. 8각의 평면을 기본형으로 하고 있으며, 탑신(塔身)의 몸돌이 없어진 채, 기단(基壇)과 지붕돌만이 남아 있다. 기단은 안상(眼象), 소용돌이치는 구름무늬, 연꽃무늬를 새겨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지붕돌은 목조건축을 모방하여 기와골과 막새기와까지 표현해 놓았다. 전체적으로 화려하고 복잡한 장식을 하고 있으며, 통일신라 후기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90호_통영 안정사 목조 지장시왕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90호 _ 통영 안정사 목조 지장시왕상 (統營 安靜寺 木造 地藏十王像) 수 량 : 20구 지정일 : 2009.08.06 소재지 : 경남 통영시 광도면 안정1길 363 (안정리) 시 대 : 1655년 안정사 명부전에는 목조 지장상을 비롯해 모두 20구의 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지장보살좌상을 중심으로 우측에 무독귀왕상(좌측 도면존자상은 도난) 1구, 시왕상과 동자상, 귀왕상, 판관상, 사자상, 역사상이 좌우로 각가 1구씩 배치되어 있다. 명부전 내 제상(諸像)은 모두 복장공이 마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제4대왕 오관대왕과 지장보살상에서 복장발원문을 비롯해 후령통, 경전의 일부가 확인되었다. 지장보살상의 복장발원문은 조성연대와 봉안처 등에 대한 기록 일부는 훼손되었으나 지장보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71호_통영 안정사 가섭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71호 _ 통영 안정사 가섭암 (統營 安靜寺 迦葉庵) 수 량 : 1동 지정일 : 2008.02.05 소재지 : 경상남도 통영시 안정1길 336 (광도면, 가섭암) 시 대 : 18세기 전반 안정사 가섭암은 신리 문무왕 9년(669)에 원효대사 제자 봉진비구에 의해 처음 건립되고,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이후 여러 차례의 중건·중수됨. 인조(仁祖)때 벽봉(碧峰)화상이 중건하였다고 전한다. 벽봉화상은 인조19년(1641년) 강원도 영은사 팔상전을 창건하였다고 전하는데, 인법당 용마루 막새기와의 명문은 순치 4년 (인조 25년, 1647)으로 비슷한 연대로 가섭암의 중건 연대를 1647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여러 차례의 중수에 걸쳐 현재에 이른 것으로 판단. 통영 안정사 가섭암 (統營 安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_통영 안정사 대웅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 _ 통영 안정사 대웅전 (統營 安靜寺 大雄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74.02.16 소재지 : 경남 통영시 광도면 안정1길 363 (안정리) 시 대 : 조선시대 벽방산 기슭에 위치한 안정사는 신라 무열왕 1년(654)에 원효대사가 처음 지었다고 한다.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조선 영조 27년(1751)에 다시 지었고, 대웅전도 이 때에 다시 지은 것이다. 그 후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안정사 대웅전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로,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며, 기둥 사이에는 각각 2구의 포를 배치하였다. 단청으로 채색한 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호_함안 주리사지 사자석탑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호 _ 함안 주리사지 사자석탑 (咸安 主吏寺址 獅子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72.02.12 소재지 : 경남 함안군 함안면 함안대로 105-2 (북촌리) 시 대 ; 통일신라시대 함성중학교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원래 여항면 주서리 주리사터에 있던 것을 일제시대 때 면사무소로 이전하였다가, 광복 후 다시 이 곳으로 옮겨온 것이다. 기단(基壇)에 네 마리의 사자를 배치한 것이 일반 석탑과는 다른 독특한 모습이어서, 바닥돌 위에 얹힌 지붕모양의 돌 위로 네 마리의 사자를 올리고 그 위로 5층으로 보이는 탑신(塔身)을 쌓았는데, 탑신의 몸돌 하나가 없는 상태이다. 3층 혹은 5층일 것으로 추정되는 이 탑의 정확한 모습은 알 수 없으나, 구례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 회양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4호_의령 성황리 삼층석탑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_ 의령 성황리 삼층석탑 (宜寧 城隍里 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74.12.28 소재지 : 경남 의령군 정곡면 성황리 693-5 번지 시 대 : 통일신라시대 추측 ‘탑골(塔谷)’이라 불리는 마을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절터의 이름이나 역사에 관해 알려진 바는 없으며, 마을에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신라시대에 세운 절이 있었으나 언젠가 불에 타 사라졌다고 한다. 탑은 2층 기단(基壇)을 쌓아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나, 탑신의 3층 몸돌은 없어졌다. 아래층 기단은 한돌로 간단하게 만들고, 위층 기단은 여러 장의 편평한 돌을 짜 맞춘 후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조각 하였다. 기단에 비해 폭이 크게 줄은 탑신부는 각층 몸돌마다 모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9호_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9호 _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 (道田里磨崖佛像群) 수 량 : 29구 지정일 : 1982.08.02 소재지 : 경남 산청군 생비량면 도전리 경상남도 산청군 생비량면 도전리 부처덤이라 불리우는 구릉 남쪽의 자연석 암벽에 새겨진 것으로 현재 약 29구가 남아 있다. 이들은 절벽에 4층으로 줄을 지어 새겨졌는데 1층 14구, 2층 9구, 3층 3구, 4층 3구 등으로 배치되었고 크기는 30㎝ 내외이다. 대개 연꽃이 새겨진 대좌(臺座)위에 앉아 있고 얼굴은 둥글며 단아하지만 눈·코 ·입의 마멸이 심하다. 몸은 사각형이면서도 단정하고, 양 어깨를 가리며 입은 옷은 밀집되게 나타내어 신라말 고려초 특히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이 강하게 엿보인다. 대개는 비슷한 모습으로 새겨졌으나 옷모양, 손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