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107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5호_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2018.121.27.목요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5호 _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司僕寺箭串牧場圖) 지정일 : 2010.02.11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90 서울시립대박물관 사복시는 조선시대 병조에 소속된 기관으로 말 사육 및 전국의 목장, 왕의 가마 등을 관장하는 기구로서, 이 지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6호_기성병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6호 _ 기성도병 (箕城圖屛) 수 량 : 병풍한틀(8帖) 지정일 : 2003.12.30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19세기후반 8첩 병풍에 평양성(平壤城)과 대동강(大洞江)의 전경 및 평양감사(平壤監司)의 대동강(大洞江)에서의 선유(船遊)광경을 가로로 길게 담은 성읍풍속도(城邑風俗圖)이다. 제 1첩은 평양성 밖, 제 2-5첩은 내성(內城), 제 6첩은 중성(中城), 제 7-8첩은 외성(外城)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각종 지형과 시설물, 공해(公廨,관청)등에는 묵서(墨書)로 해당 명칭을 표기하였는데 매우 상세한 편이다. 평양성의 우측에서 비스듬하게 내려다본 시점이 일관되어 평행 사선 방향으로 늘어선 건물들의 모습과 지세의 원근(遠近)및 고저(高低)도 자연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0호_전이한철필 어해도병(2018.12.23.일요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70호 _ 전이한철필 어해도병 (傳李漢喆筆 魚蟹圖屛) 지정일 : 2003.09.05 시 대 : 조선 시대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 괴석(怪石)과 함께 잉어, 쏘가리, 붕어, 메기, 가자미, 게, 새우 등의 어해류(魚蟹類)가 정교한 필치와 짙고 옅은 먹의 뛰어난 농담효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09호_금동석장 머리장식(2018.12.09)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09호 _ 금동석장 머리장식 (金銅錫杖頭) 지정일 : 2006.05.11 시 대 : 고려시대 소재지 : 서울 관악구 호림박물관 비구가 지니는 석장(錫杖:Khakkhara)의 머리 부분으로, 금동으로 되어 있으며 조성연대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석장의 머리 부분은 여의두 모양의 커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9호_혼천의 (渾天儀) (2018.09.22.토요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9호 _ 혼천의 (渾天儀) 지정일 : 2005.05.26 시 대 : 조선시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9호 _ 혼천의 (渾天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9호 _ 혼천의 (渾天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9호 _ 혼천의 (渾天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9호 _ 혼천의 (渾天儀) 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6호_수선전도(2018.08.17.금요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6호 _ 수선전도 (首善全圖) 지정일 : 2010.02.11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연세대학교 박물관 김정호의 수선전도를 기초로 펜으로 필사한 지도로, 1892년 경에 제작되었으며 미국인 선교사들이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전하는 한글본 한양지도가 희소하고, 구..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2호_백자청화 칠보화훼문 사각병(2018.07.16)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2호 _ 백자청화 칠보화훼문 사각병 (白磁靑畵七寶花卉文四角甁) 지정일 : 2017.04.13 시 대 : 조선시대 조선 후기 관요에서 제작된 사각 병으로, 판을 성형하여 각 면을 균형있게 접합하고 윗면 중앙에 중근 주구를 부착한 병으로 조선후기 관요에서 제작된 병이다. 유약을 닦아 낸 바닥면에는 가는 모래가 묻어 있으며, 바닥면 중앙에 '무신 경슈궁 三'의 몀문이 있어 왕실 소용의 고급품으로 제작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경수궁(慶壽宮)은 정조의 두번째 후궁인 화빈(和嬪) 윤씨(尹氏, 1765~1824)의 궁으로, 1780년 화빈 책봉과 함께 궁호가 내려졌다. 무신(戊申)'의 간지 및 병의 양식적인 특징으로 미루어 제작 시기는 1848년으로 추정된다. 소나무 껍질이 벗겨진 것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1호_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1호 _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白磁陽刻在銘梅竹文扇形筆洗筆架) 수 량 : 1점 지정일 : 2017.04.13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 몸체의 반은 물이 고이는 필세로, 반은 붓을 꽂을 수 있는 필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필세와 필가를 함께 구성한 것은 매우 드문 형식이다. 윗면에 적힌 '含英咀華'(고전의 진한 향기 속에 흠뻑 몸을 적시고 꽃술을 입에 머금고 씹으며 음미한다)는 중국 당나라 때 시인 한유(韓愈, 768~824)가 쓴 의 일부이다. 정면의 글귀인 '水不在深有龍測靈(물이란 깊다고 하여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용이 살아야 신령스러운 것이다.) 역시 중국 당나라 때 시인 유..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1호_김홍도 필 매해피행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1호 _ 김홍도 필 매해피행도(賣醢婆行圖) 이 작품의 제목인 매해파행(賣醢婆行)이란 '길가는 젓갈 따는 할미"라는 뜻이며, 그림의 상단에 붙어있는 표암 강세황의 화평을 통해 이 작품이 김홍도가 경기도 안산에서 강세황의 지도를 받으며 그림을 배울 때 익숙히 보던 풍경을 풍속화로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김홍도의 풍속화 중 30대의 정교한 묘사력이 잘 드러난 걸작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21호로 지정되었다. 그림 속에는 바닷가를 지나는 한 무리의 젊고 늙은 여인네들의 다양한 모습이 묘사되었는데, 특히 맨 뒤편으로 무거운 광주리를 머리에 인 채 아기의 손을 꼭 잡고 있는 엄마의 모습은 가슴 뭉클한 감동을 전해준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1호 _ 김홍도 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3호_경국사 신중도(2018.01.21.일요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3호 _ 경국사 신중도 (慶國寺 神衆圖) 지정일 : 2008.05.01 시 대 : 조선시대 이 불화는 1887년에 혜산 축연과 허곡 긍순이 함께 조성한 신중도로서 상궁들의 시주로 조성되었다. 천부중과 천룡팔부를 한 폭에 묘사한 형식이라든가 산신과 조왕신이 위태천의 협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