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형문화재/전라남도 92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6호_백련사 대웅전 (2017.10.06.금요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_ 백련사대웅전 (白蓮寺大雄殿) 지정일 : 1986.02.07 소재지 : 전남 강진군 도암면 백련사길 145 (만덕리) 만덕산에 위치하는 백련사는 만덕사라고도 하며, 통일신라 문성왕 1년(839)에 지은 절이다. 백련사 대웅전은 신라시대에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안에는 석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_ 도갑사수미왕사진영(2017.10.05.목요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_ 도갑사수미왕사진영 (道岬寺守眉王師眞影) 지정일 : 1990.12.05 소재지 :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도갑리) 조선 세조 대의 승려인 수미왕사의 초상화이다. 수미는 세조의 왕사(王師)이며 15세기 중엽에 도갑사를 크게 중창한 승려로서, 당시 선종판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_ 도갑사도선국사진영(2017.10.05.목요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_ 도갑사도선국사진영 (道岬寺道詵國師眞影) 지정일 : 1990.12.05 소재지 :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도갑리)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인 도선국사(827∼898)의 초상화이다. 도선은 주로 통일신라말·고려초에 활약했으며 비기(秘記:신기한 기록)나 풍수지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_도갑사수미왕사비(2017.10.05.목요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_ 도갑사수미왕사비 (道岬寺守眉王師碑) 지정일 : 1987.06.01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6번지 도갑사 경내에 서 있는 비로, 영암 출신 수미왕사의 활동과 내력을 기록하고 있다. 수미는 조선시대 승려로 13세에 출가하였고, 불교를 숭..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6호_순천 송광사 보조국사감로탑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6호 _ 순천송광사보조국사감로탑 (順天松廣寺普照國師甘露塔) 지정일 : 2001.09.27 시 대 : 고려시대 송광사 설법전 오른쪽, 지금의 관음전 뒷뜰 언덕에 있는 불일 보조국사 지눌(1158∼1210)의 감로탑이다. 보조국사는 고려시대 송광사 16국사 가운데 제1세로 정혜결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7호_송광사 진영당(2017.04.23.일요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7호 _ 송광사진영당 (松廣寺眞影堂) 지정일 : 1982.10.15 조계산 송광사는 삼보사찰의 하나인 승보사찰(僧寶寺刹)로 매우 유서 깊은 삼국시대의 절이다. 국사전 바로 왼쪽에 위치한 진영각은 풍암스님의 문하 큰 스님들의 영정을 모신 건물이다. 풍암은 숙종 14년(1688)..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호_능견난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호 _ 능견난사 (能見難思) 수 량 : 1착 지정일 : 1972.01.29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신평리) 송광사에서 음식을 담는데 사용하던 그릇이다. 송광사 제6대 원감국사가 중국 원나라에 다녀오면서 가져왔다고 전해지며, 만든 기법이 특이하여 위로 포개도 맞고 아래로 맞춰도 그 크기가 딱 들어 맞는다고 한다. 조선 숙종이 그것과 똑같이 만들어 보도록 명했지만 도저히 똑같이 만들어 낼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눈으로 볼 수는 있지만 만들기는 어렵다.”란 뜻에서 능견난사(能見難思)라는 이름까지 생겨나게 되었다. 현재 송광사 박물관에 29점이 소장되어 있다. 능견난사 (能見難思) 2017.04.03. 송광사성보박물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