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물/경기도

경기도 기념물 제89호_한음 이덕형선생 묘 및 신도비

기리여원 2022. 1. 5. 15:22

경기도 기념물 제89호 _ 한음 이덕형선생 묘 및 신도비 (漢陰 李德馨先生 墓 및 神道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5.09.20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82번지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 1561∼1613) 선생은 임진왜란 때 정주까지 왕을 호종했고, 청원사(請援使)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파병을 성사시켰다. 광해군 때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삼사(三司)에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을 들고 나오자, 이항복과 함께 이를 적극 반대했다. 이에 삼사가 모두 이덕형을 모함하며 처형을 주장했으나, 광해군이 관직을 삭탈해 이를 수습하였다. 이덕형선생 묘는 부인 한산이씨(韓山李氏)와 합장(合葬) 단분(單墳)이다. 봉분 앞에 원수방부(圓首方趺; 둥근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의 묘표, 혼유석, 석상, 향로석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그 좌우로 동자석, 문인석, 망주석 등이 건립되어 있다.

 

묘역 입구에 있는 이수방부(螭首方趺; 용이 조각된 비석 머리와 네모난 비석 받침) 형태의 신도비는 조경(趙絅)이 비문을 지었으며, 외증손 오시복(吳始復)이 글씨를 쓰고, 외증손 정규상(鄭奎祥)이 전자(篆字)를 썼다. 건립한 시기는 비석의 측면에 새겨져 있는데 마모가 심해 알아보기 힘들다. 다만 비문의 글씨를 쓴 오시복의 벼슬이 행(行) 이조판서로 기록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오시복이 이조판서로 재직하던 1692~1693년 사이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음 이덕형선생 묘 및 신도비 표지판

 

 

 한음 이덕형선생 묘 및 신도비 표지석

 

 

한음 이덕형 신도비 전경

 

 

 

 한음 이덕형선생 신도비각

 

 

한음 이덕형선생 신도비

 

신도비(神道碑)는 묘역 아래 300m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장방형의 화강암 기대(基臺)에 비신(碑身)을 세우고 이수(螭首)를 올린 것으로 이수의 조각이 매우 생동감 있게 표현되었다.

비문은 조경(趙絅)이 글을 짓고 오시구(吳始口)가 글씨를 썼으며, 정규상(鄭奎祥)이 전액(篆額)을 하여 1653(효종 4)에 건립한 것이다.

 

 한음 이덕형선생 신도비

 

 

▼ 한음 이덕형 영정각인 쌍송재(雙松齋)로 갑니다.

 

쌍송재 전경

 

 

홍살문은 한산이씨 '정려문(旌閭門)'입니다.

 

 

쌍송재 삼문인 한원문(漢原門)

 

 

한음 이덕형 선생 재실 표지판

 

 

쌍송재 

 

 

 한음 이덕형선생의 영정을 모신 재실인 "쌍송재(雙松齋)

 

 

 한음 이덕형선생 영정(影幀)

 

 

▼한음 이덕형선생 묘로 갑니다.

 

쌍송재 좌측으로 올라가면 한음 이덕형선생묘를 만날 수 있습니다.

 

 

한음 이덕형선생 묘로 가는 길

 

 

한음 이덕형선생 묘

 

한음 이덕형선생 묘는 부인 한산이씨(韓山李氏)와 합장(合葬) 단분(單墳)이다.

이덕형선생 묘 앞에는 묘표, 혼유석 · 상석(床石) · 향로석이 있으며, 묘표 좌우에는 망주석(望柱石)이 있고, 상석좌우에는 문인석과 동자상이 1쌍씩 배치되었다. 장명등은 보이지 않는다.

 

.한음 이덕형선생 묘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 1561~1613)

 

이덕형(李德馨, 1561~1613)의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호는 한음(漢陰)이며,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의 사위이다. 1580(선조 13) 문과에 급제하였고, 임진왜란 때 예조참판으로서 선조를 호종하였다. 이후 우의정에 올랐다가 1602(선조 35) 영의정에 올랐다. 광해군 때에 영창대군(永昌大君) 처형과 인목대비(仁穆大妃) 폐위를 반대하다가 사직하고 양근(楊根)으로 낙향하여 그곳에서 죽었다.

 

한음 이덕형선생 묘표

 

영의정문익공한음이선생덕형지묘(嶺議政文翼公漢陰李先生德馨之墓)

증정경부인한산이씨부좌(贈貞敬夫人韓山李氏祔左)

묘비문은 이항복(李恒福)이 지었다.

 

한음 이덕형선생 묘 앞 혼유석 · 상석 · 향로석

 

 

한음 이덕형선생 묘 앞 우측 문인석

 

 

한음 이덕형선생 묘 앞 좌측 문인석

 

 

우측 동자석

 

 

좌측 동자석

 

 

한음 이덕형선생의 묘 위에 있는 부친 묘로 올라갑니다.

 

 

제일 위에 자리한 한음상공 부친이신 지중추부사공(知中樞府事公) 증 영의정(贈 嶺議政) 민성(民聖)과 문화유씨 묘

 

 

우) 한음상공의 아들인 팔결사공(判決事公) 여규(如圭)와 숙부인 안동권씨의 묘

중앙) 한음상공의 손자(孫子)인 의금부도사공(義禁府都事公) 상건(象乾)과 문화유씨의 묘

좌) 한음상공의 증손자(曾孫子)인 빙고별검공(氷庫別檢公) 윤원(允元)과 여산송씨의 묘

 

 

9대손(九代孫)인 판중추부사공(判中樞府事公) 의익(宜翼)과 진주이씨의 묘

 

 

이덕형 묘에서 내려가면서 본 영정각 전경

 

 

한음 이덕형선생 기념관

 

2022.01.02.일요일,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한음 이덕형선생 묘 및 신도비

글 문화재청, 한국문화백과대사전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