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시도민속문화재 58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31호_조경묘출토유의일괄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31호 _ 조경묘출토유의일괄 (趙儆墓出土遺衣一括), 조경묘 철릭, 복제품 수 량 : 일괄(26건 31점) 지정일 : 2002.08.16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 2-1번지 서울역사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 趙儆(1541~1609)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권율과 함께 幸州 山城에서 大捷을 거두어 한양 탈환의 계기를 만든 인물이다. 壬亂 이후로는 漢城府 右尹과 漢城府 判尹을 역임하였고, 선조 37년(1604)에는 임진왜란 당시의 공적을 인정받아 宣武功臣 3等에 책록되고 풍양군(豊壤君)에 봉하여진 바 있다. 趙儆의 분묘에서 출토된 本 遺衣들은 墓主의 생몰 연대가 임진왜란 전후인 바 전반적으로 조선 전기와 후기의 과도기적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그러한 양상..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7호_태안 상옥리 가영현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7호 _ 태안 상옥리 가영현가옥 (泰安 上玉里 가영현家屋) 수량/면적 : 1곽 지정일 : 2001.06.30 소재지 : 충청남도 태안군 속말1길 109-7 (태안읍) 시 대 : 조선시대 목조 초가민가로 약 200여년 전 건립된 전형적인 전통가옥이며, 가씨 종중에서 1930년대 가옥을 인수 후 현재까지 거주 및 관리하고 있다. 가옥 형태는 안채(78㎡), 사랑채(32㎡), 문간채(59㎡)등으로, ㅁ자형으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기구의 기법도 민간의 간이석 덧붙이기 방식을 따랐으며, 지붕 연목도 평연재로 되어있고 마루난간은 亜자형으로 특이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태안 상옥리 가영현가옥 표지판 마당을 중심으로 건물이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안채에는 초가집에 널리 쓰이지 않는 다듬..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4호_괴산 홍범식 고가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4호 _ 괴산 홍범식 고가 (槐山 洪範植 古家), 안채 수 량 : 1곽(13동) 지정일 : 2002.12.20 소재지 : 충북 괴산군 괴산읍 임꺽정로 16 (동부리) 시 대 : 1730년경 건축 추정 충북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에 있는 이 고가는 역사소설 『임꺽정(林巨正)』의 작가 벽초(碧初) 홍명희(洪命憙, 1888∼1968)의 생가이다. 정남향으로 지어진 건물의 안채 구조는 전체적으로 정면 5칸·측면 6칸의 ‘ㄷ’자형으로 ‘一’자형 광채를 맞물리게 하여, 광채를 합한 안채는 ‘ㅁ’자형이다. 사랑채는 좌측에 위치해 있으며, 전체적으로 뒷산의 자연경관을 집안으로 끌어들여 조화시키며 오밀조밀한 내부공간을 연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좌우대칭의 평면구조를 갖는 중부지방의 살림집의 특..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7호_괴산 이창훈 고가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7호 _ 괴산 이창훈 고가 (槐山 李昌勳 古家) 수량/면적 : 6동, 225.66㎡ 지정일 : 2007.06.08 소재지 :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오창리 47 시 대 : 2007.06.08 이 가옥은 1908년 현 소유주 이창훈(78세)의 조부인 이달승에 의하여 건축되었다고 하나 정확한 건축연도의 확인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이전에 가옥이 있었던 것을 1924년 중수된 것으로 추정되며, 안채, 사랑채, 사당, 광채, 외양간, 대문 등으로 구성되어 전통적인 고가의 형식을 띠고 있다. 남북방향의 장방형 대지 위에 가옥의 전체적인 배치는 튼ㅁ자 형식을 이루고 있다. 문간채와 대문을 지나 행랑채와 사랑채가 서로 문으로 연결되어 곱은자로 꺾이고 一字形의 광채가 있다. 안채는 ㅡ字形으로..

서낭신에게 제사하기 위한 제단,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3호_괴산 문당리 서낭단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3호 _ 괴산 문당리 서낭단 (槐山 文塘里 서낭壇) 수량/면적 : 1곽(廓) 지정일 : 2002.07.12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안면 문당리 산96번지 소유자(소유단체) : 오리목마을회 성황단은 토지와 마을을 수호하는 신인 서낭신에게 제사하기 위한 제단으로, ‘서낭단’이라고도 한다. 주로 마을 입구나 고갯마루에 작은 돌을 무더기로 쌓아놓고 가까이에 나무가 있다. 문당리 성황단은 오리목 마을 입구에 있는데, 제단부와 좌우 돌탑 등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이 성황단은 비교적 정연한 형태로 쌓은 제단부를 중심으로 좌우에 2기의 원추형 돌단을 쌓아 남성 성기형의 적석단을 이루고 있다. 산에서 사룡(蛇龍)이 마을을 향하여 긴 꼬리를 하고 내려오는 형상의 돌무지 성황단으로 양쪽에 남성 ..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22호_괴산 송덕리 동제장, 오층석탑, 삼층석탑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22호 _ 괴산 송덕리 동제장 (槐山 松德里 洞祭場) 수 량 : 1원, 2기 지정일 : 2013.08.02 소재지 : 충청북도 괴산군 미선로 185 (장연면) 괴산 송덕리 동제는 마을 입구에 있는 당숲에 있는 느티나무를 신목으로 삼아 서낭제를 오층석탑과 삼층석탑에서 동제를 지내고 있는 마을 공동체의 민속신앙이다.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오층석탑은 풍수신앙과 탑 숭배 신앙이 함께 나타나고 있으며 음력 정월 초하룻밤에 동제를 지내고 있다 괴산 송덕리 동제장 표지판 괴산 송덕리 동제는 마을 입구 당숲에 있는 느티나무를 신목으로 삼아 서낭제를, 오층석탑과 삼층석탑에서 탑제를 함께 지내고 있는 마을공동체 민속신앙이다. 동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 밤에 당숲, 오층석탑, 삼층석탑 순으로..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1호_전용일 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1호 _ 전용일 가옥 (田溶一 家屋) 수량/면적 : 3동(388㎡) 지정일 : 1985.12.31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로 79 (갈산면) 시 대 : 조선 후기 안채, 사랑채, 헛간채를 가지고 있는 19세기 후반의 가옥으로, 전체적으로 트인 ㅁ자형 배치를 보인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가운데의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부엌과 안방, 오른쪽에 건넌방이 배치된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평면구성이다. 안채의 남쪽에 一자형으로 자리잡은 사랑채는 왼쪽에 대문과 문간방을 두고 오른쪽에 대청과 사랑방을 두어 행랑채를 겸하고 있다. 조선 후기 세련된 건축기술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주택이다 전용일 가옥 표지판 전용일 가옥 표지석 전용일 가옥 전경 이 주택은 19세기 중반에 세워진 양반집이다. 처음..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0호_김우열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0호 _ 김우열가옥 (金宇烈家屋) 수 량 : 3동(388㎡) 지정일 : 1985.12.31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로 79 (갈산면) 시 대 : 조선 후기 안채, 사랑채, 헛간채를 가지고 있는 19세기 후반의 가옥으로, 전체적으로 트인 ㅁ자형 배치를 보인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가운데의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부엌과 안방, 오른쪽에 건넌방이 배치된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평면구성이다. 안채의 남쪽에 一자형으로 자리잡은 사랑채는 왼쪽에 대문과 문간방을 두고 오른쪽에 대청과 사랑방을 두어 행랑채를 겸하고 있다. 조선 후기 세련된 건축기술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주택이다. 김우열가옥 표지판 김우열가옥 표지석 김우열가옥 사랑채 안채의 남쪽에 一자형으로 자리잡은 사랑채는 왼쪽에 대문과 문..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8호_박기종 대례복 일괄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8호 _ 박기종 대례복 일괄 (朴琪淙 大禮服 一括) 수 량 : 대례복 상의, 예모, 예도1점 등 지정일 : 2012.05.17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대례복은 박기종이 문관 칙임관(정1품~종2품 관료) 시절에 착용하였던 것으로, 1900년(광무 4)에 제정된「문관복장규칙」의 칙임관 2등에 해당하는 복장이다. 문관 대례복은 산형(山形)의 모자, 연미복 형태의 상의, 조끼, 바지, 패검으로 구성되나, 박기종의 대례복은 대례복 상의와 예도, 예도 띠, 대례모, 대례복 함 및 대례모 함만 남아 있고 조끼와 바지는 남아 있지 않다. 이 대례복은 박기종이 1900년 중추원 의관(議官) 주임관 4등급 등 다양한 관직에 임명되었던 것으로 볼 때..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33호_홍성 전세진 유품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33호 _ 홍성 전세진 유품 수 량 : 19점 지정일 : 2015.12.21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아문길 20 (홍성읍, 홍주성역사관) 전세진 유품은 총19점으로 송덕산(만인산), 사명기, 용머리 가자, 함꿰와 전세진과 관련된 홍패 등 고문서 15점으로, 만인산(萬人傘)은 “예전에 고을 백성들이 비단을 일산 모양으로 만들어서 가장자리에 여러 비단 조각을 늘어뜨려 유지들의 이름을 기록하여 만든 물건”을 가리킴. 만인의 이름을 수 놓아 산개(傘盖) 형태로 만들어 수를 놓았다고 하여 수산(繡傘)이라고 하거나, 수를 놓은 고을 사람들의 숫자를 따서 ‘천인산(千人傘)’ 혹은 ‘만인산’이라고 부르거나, 산(傘)을 받는 사람의 공덕을 우러른다고 하여 송덕산(頌德傘)이라고도 부름. 전세진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