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경기도 104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6호_양주 회암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6호 _ 양주 회암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물 수량/면적 : 일괄 지정일 : 2007.09.03 소재지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8-1 시 대 : 조선시대 제작 연대가 확실하고 만든 스님의 이름까지 알 수 있는 조선 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중소형 나무 불상이다. 불상 바닥에사각형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속에서 불교 경전과 다라니경, 후렴통(候鈴筒 : 복장물을 넣는 원통형 용기) 등의 복장물(腹藏物 : 불상을 만들거나 칠을 새로 하면서 가슴 안쪽에 넣은 보석과 서책 등)이 나왔다. 이 가운데 불상을 만든 사연을 기록한 발원문(發願文 : 바라고 원하는 것을 적은 글)에 따르면 "1755년 3월 청평(전라남도 담양) 용흥사(龍興寺) 상선암에 모시기 위해 상정(尙淨), 유순(有淳), 칭숙(稱..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4호_추사 김정희 서신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4호 _ 추사 김정희 서신 (秋史 金正喜 書信) 수 량 : 3종 23통 지정일 : 2010.09.08. 소재지 : 과천시 중앙동 1-3 과천시청 문화관광과 전레되는 많은 수의 간찰들의 봉피(封皮)를 잃어 수신자와 연대를 알 수 없는데 비하여 추사 김정희 서신은 봉피(封皮)와 함께 전래되어 연대나 수신자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 인정 추사 김정희 서신 _ 추사가 이상적에게 보낸 편지 추사가 이상적에게 보낸 편지 표지판 추사 김정희 서신 _ 추사가 이상적에게 보낸 편지 ▼추사 김정희 서신 _ 추사가 민태호에게 보낸 편지입니다. 추사 김정희 서신 _ 추사가 민태호에게 보낸 편지 추사가 민태호에게 보낸 편지(秋史書簡 '閔苔鎬') 표지판 추사가 민태호에게 보낸 편지(秋史書簡 '閔苔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88호_의왕 청계사 청계사사적기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88호 _ 의왕청계사 청계사사적기비 (義王淸溪寺 淸溪寺事蹟記碑) 수 량 : 1기 지정일 : 2014.05.09 소재지 : 경기도 의왕사 청계동 12번지 의왕 청계사는 청계산 기슭에 자리 잡은 사찰로 창건 시기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고려 충렬왕 때 유력한 귀족이었던 조인규(趙仁規, 1237~1308)의 발원으로 크게 중창되었으며, 조선 시대 들어와 억불정책이 추진되었을 때에도 훼손되지 않았다. 현재 청계사 사적기비는 사찰 입구에 조인규의 사당을 만들게 된 경위를 담은 사당기비(祠堂記碑, 1341년) 등과 함께 세워져 있다. 비신은 정연하게 다듬어 글자를 새겼는데 오랜 세월로 마모가 진행되었지만, 비의 건립 시기를 비롯하여 청계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 개석은 처..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0호_양평 지평리 삼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0호 _ 양평 지평리 삼층석탑 (楊平 砥平理 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2002.04.08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지평면 지평의병로 107 (지평리) 이 탑은 원래 지평리 야산에 있었다고 전하나 원위치는 확인할 수 없고, 1945년 현위치인 지평초등학교로 옮겨져 2001년에 복원되었다.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2002년 4월 8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0호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251㎝이며, 탑신부는 옥개석의 체감률이 잘 맞고, 각 부의 치석 수법이 상통하고 있다. 1층 탑신석은 각 면 좌우측에 우주를 세우고 그 안에 각 면마다 여래상을 부조 형태로 조각한 사면불(四面佛)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면의 여래상들은 동일한 조각기법을 보이고 있으나 수인(手印..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3호_화성 용주사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3호 _ 화성 용주사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 (華城 龍珠寺 地藏殿木造地藏菩薩坐像과 十王像一括) 수 량 : 1점 지정일 : 2009.05.21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188 지장전에 봉안된 이 목조각상 일괄은 원래 1894년 萬儀寺 지장전이 낡고 무너져서 이 곳용주사로 移安해 온 상들로서 이 중 목동자상 10구는 현재 용주사 효행박물관 전시실과 수장고에 나뉘어 소장되어 있다. 조선후기 목조각상의 아름다움을 잘 드러낸 작품들로서 명부세계의 존상 일괄을 잘 보존하고 있는 상들로서 의의가 있다. 총 31구는 지장삼존상3구, 시왕상10구, 귀왕상2구, 판관상2구, 사자상2구, 녹사상2구, 동자상10구이며 동자상을 제외한 나머지 21상은 지장전에 동자상은 용주사효행박물관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_용주사 상량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 _ 용주사상량문 (龍珠寺 上樑文) 수 량 : 1축 지정일 : 1972.05.04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용주로 136 (송산동) 정조 14년(1790) 용주사를 건립할 때 정조의 명으로 채제공(1720∼1799)이 직접 짓고 글씨를 쓴 것이다. 정조 13년(1789)에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 무덤을 양주 배봉산(지금의 서울 청량리 일대)에서 화성의 화산으로 옮겨 현륭원이라 이름짓고 사도세자를 장헌세자로 높혔다. 그리고 그 이듬해 용주사를 건립하여 아버지의 명복을 빌도록 하였다. 이 상량문은 중국의 소주지방에서 생산된 공단(두꺼운 비단 일종)에 쓰였는데 공단은 200년이 지난 지금까지 퇴색하지 않고 원래 모습 그대로 남아있다. 상량문의 내용은 용주사의 건립 내력과 공사날짜 등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4호_전적수사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4호 _ 전적수사본 (典籍手寫本) 수 량 : 2책 지정일 : 1972.05.04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용주로 136 (송산동) 조선 정조 19년(1795)에 왕이 내린 불교식 가사(歌辭)로, 손으로 옮겨 적은 본이다. 원래의 명칭은 『어제화산용주사봉불기복게』인데, 화산의 용주사에 부처를 모시고 복을 기원하는 글이라는 뜻이다. 정조 13년(1789)에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양주 배봉산(지금의 서울 청량리 일대)에서 화성의 화산으로 옮겨 현륭원(顯隆園)이라 이름짓고 용주사를 건립하여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도록 하였다. 이 책은 바로 이때 용주사에 내린 것이다. 책은 전체 4부분으로 나뉘어 첫머리에 정조의 서문이 실려 있고, 초서 ·정종 ·결게 세부분에 불교 가사가 서술되어 있..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호_청동향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호 _ 청동향로 (靑銅香爐) 수 량 : 1개 지정일 : 1972.05.04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용주로 136 (송산동) 조선 정조(재위 1776∼1800)가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창건한 용주사에 금동향로(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호)와 함께 하사한 청동향로이다. 몸체는 8각형으로 각 면마다 꽃모양의 창을 만들고 그 안에 산과 물, 나무들을 도드라지게 새겨 넣었다. 면과 면이 이어진 모서리에는 소용돌이 문양이 있는 판을 따로 만들어 붙여, 경계를 이루고 있다. 목부분은 안으로 조금 들어 갔으며, 좁은 면사이에 ‘만세악’이란 글자를 새기고 덩굴로 장식하였다. 용모양이 조각된 반원모양의 손잡이가 2개 달려있다. 짧은 4개의 다리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으며, 밖으로 벌어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호_금동향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호 _ 금동향로 (金銅香爐) 수 량 : 2개 지정일 : 1972.05.04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용주로 136 (송산동) 조선 정조(재위 1776∼1800)가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창건한 용주사에 내려준 향로이다. 4면으로 된 몸체의 각 면에는 순금으로 덩굴무늬를 만들어 부쳤고, 사각으로 된 뚜껑에도 금 장식을 하였다. 뚜껑 꼭지 부분의 순금 장식물은 없어지고, 붙였던 흔적만 남아있다. 향로는 4개의 높다란 다리가 받치고 있으며 용모양이 조각되 있다. 형태나 조각수법으로 미루어 명나라에서 만들어 진 것으로 추측된다 금동향로 (金銅香爐) 용주사 주문왕정(龍珠寺 周文王鼎) _ 중국 청, 용주사 효행박물관 정조(正祖) 때 왕실 내사품으로 알려진 주문왕정은 고대 중국..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9호_화성 용주사 전답양안2건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9호 _ 화성 용주사 전답양안2건 (龍珠寺田畓量案2件) 수 량 : 2건 지정일 : 2012.03.26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용주로 136 , 용주사 일반적인 양안과는 달리 초록색 마포에 무쇠로 장정을 한 것은 이 양안이 일반적이지 않고 용주사의 토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 해당 지역의 사회경제사 연구 및 조선후기 사원전의 운영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가치인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9호 _ 화성 용주사 전답양안2건 (龍珠寺田畓量案2件) 『용주사 전답양안(龍珠寺 田畓量案) 』은 용주사가 소유한 전답에 대한 가록이 적혀 있는 재산 문서이다. 토지의 면적, 위치, 등급, 토지 소유자, 토지 경작자 등의 내용이 상세하게 작성되어 있다. 조선 후기 용주사에서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