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경기도 104

경기도 기념물 제154호_양평 신복리 강맹경묘역

경기도 기념물 제154호 _ 양평 신복리 강맹경묘역 (楊平 新福里 姜孟卿墓域) 수 량 : 1기 지정일 : 1994.12.24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옥천면 신복리 산301번지 조선 전기의 문신 강맹경(姜孟卿, 1410~1461)의 묘역이다. 강맹경은 본관이 진주(晉州)다. 1453년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왔으며, 1455년 단종의 선위(禪位; 왕위를 넘김)로 세조가 등극할 때 협력한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 2등에 책정되고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에 봉해졌다. 강맹경 묘역은 위쪽에 강맹경 묘, 아래쪽에는 그 아들 강윤범(姜允範)의 묘가 있다. 강맹경 묘는 부인 영천군부인(榮川郡夫人) 파평윤씨(坡平尹氏)와 쌍분(雙墳)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각 봉분 앞에는 석상과 현대에 건립한 묘표가 있다. 그 앞에 4..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7호_이천 중리 삼층석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6호 _ 이천중리삼층석탑 (利川中里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1.07.16 소재지 : 경기 이천시 중리동 187번지 안흥사에 소속된 암자에서 건립한 탑으로 추정된다. 무너진 채로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72년 8월 6일에 현재의 자리로 옮겨 복원했다. 이 석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하층기단은 4매의 석재로 구성되었는데, 갑석만 지면에 노출되어 있고 나머지 부재는 훼손됐다. 하층기단 갑석 상면에는 2단의 괴임을 두었다. 상층기단 면석은 4매의 판석을 이용해 구성하고, 모서리에 우주를 모각했다. 탑신부는 1층을 제외한 2·3층 부재는 탑을 옮길 때 새로이 보강한 것으로,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우주를 모각했다. 낙수면 경사가 완만..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7호_이천 어석리 석불입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7호 _ 이천 어석리석불입상 (利川 於石里石佛立像) 수 량 : 1좌 지정일 : 1981.07.16 소재지 : 경기 이천시 장호원읍 어석리 564-1번지 이천 어석 2리 마을 한 가운데 주택 사이에 위치한 높이 약 5미터의 석불상이다. 고려 전기 충청도와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유행한 커다란 석조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직육면체 형의 평평한 돌기둥 같은 신체에, 머리에는 팔각의 보개(寶蓋; 인도에서 귀인의 외출시에 사용하던 양산을 불상의 머리 위에 갓처럼 씌운 것)를 얹었다. 아래쪽이 둥근 얼굴에는 커다란 눈썹 아래 긴 눈, 그리고 둥근 콧망울을 가진 귀여운 코와 극도로 작은 입을 표현하였고 그 아래 둥근 선을 새겨 이중 턱을 표현하였다. 귓불에 구멍이 뚫린 두툼한 귀는 어..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9호_소고리 마애여래좌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9호 _ 소고리 마애여래좌상 (所古里 磨崖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84.09.12 소재지 : 경기 이천시 모가면 소고리 91-9번지 시 대 : 고려 전기 추정 마옥산(磨玉山) 기슭의 커다란 바위 정면에 넓게 자리하고 앉은 4.7m 높이의 마애불이다. 불상의 머리 뒤에는 여섯 겹의 둥그런 두광(頭光 ; 붓다의 머리에서 나오는 성스러운 빛을 형상화한 것)을 표현하였고, 몸 주위에는 두 겹의 신광(身光 ; 붓다의 머리에서 나오는 성스러운 빛을 형상화한 것)을 표현하였다. 민머리 위에는 큼직한 육계(肉髻; 상투 모양으로 솟은 붓다의 정수리, 지혜를 상징)가 솟아 있고, 넓적한 얼굴에는 눈꼬리가 긴 눈과 콧망울이 두드러진 코, 굳게 다문 입 등이 묘사되었으며, 좌우의 귀가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4호_양평 상원사 동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4호 _ 양평 상원사 동종 (楊平 上院寺 銅鐘) 수 량 : 1구 지정일 : 2021.09.02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상원사길 292 (용문면, 상원사) 시 대 : 조선시대 한국과 중국 및 일본의 혼합 양식을 보여주는 범종으로서 한국 종의 미감이 도드라지며 전반적인 문양의 구성과 종신에 표현된 주악비천상은 고려전반기(11~12세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제작방식의 측면에서 한국 장인의 중국교류 및 영향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종에서 신라 종으로 변화과정을 보여주는 국내 유일의 범종으로 진품이며 제작연대는 7세기말로 신라 종의 근원이 되는 매우 귀중하고 우수한 작품이라는 견해와 범종 성분에 의하면 통일신라시대 범종의 구성성분과 같으며 특히 에밀레종(서기 780년 주조)..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1호_쌍계사 목조여래좌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1호 _ 쌍계사 목조여래좌상 (雙溪寺 木造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02.09.16 소재지 : 경기 안산시 단원구 대부황금로 1171 (대부북동) 목조여래좌상은 좁은 어깨에 머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에는 소라모양의 나발(螺髮)이 촘촘하고, 지혜를 상징 하는 육계(肉髻)가 높이 솟아 있으며, 이마 위쪽에 타원형의 중앙계주(中央髻珠)와 정수리에 원통형의 정상계주((頂上髻珠)가 있다. 타원형의 얼굴에 이마가 넓고, 귀가 어깨 위까지 내려 올 정도로 길게 늘어져 있으며, 눈두덩이와 양미간이 각이져 있는데, 이는 조선후기 제작된 불상의 전형적인 얼굴 형태이다. 대좌는 연꽃이 위를 향한 앙연(仰蓮)의 연화좌(蓮華座)와 삼단(三段)을 이룬 팔각대좌(八角臺座)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0호_박동량 호성신교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0호 _ 박동량 호성공신교서 (朴東亮 扈聖功臣敎書) 수 량 : 1권 지정일 : 2011.303.08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조선시대 1604년 문신 박동량을 호성공신 2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선조는 1604년(선조 37) 6월에 임진왜란 때 공헌이 있는 신하에게 호성공신(扈聖功臣)·선무공신·청난공신 등 세 종류의 공신을 녹훈하고, 같은 해 10월에 이르러 공신으로 녹훈된 이들에게 교서를 발급하였다. 이 중 호성공신은 임진왜란 당시 선조가 피난 갈 때 임금과 세자를 호종한 신하에게 내린 칭호이며, 이들에게 공훈에 따라 등급한 사실을 문건으로 내린 것이 교서이다. 호성공신은 1등에 이항복(李恒福) 등 2인, 2등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9호_만력기축 사마박몽

경기도 유형문화재 _ 만력기축 사마방목 (萬曆己丑 司馬榜目) 수 량 : 1책 지정일 : 2011.03.08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조선시대 사마방목은 조선시대 과거시험에 합격한 생원과 진사의 명부로, 문과 방목과 동일한 형식으로 편찬되었다. 만력 기축년에 실시된 과거시험은 조선 건국 이후 태조 이성계의 가계에 대한 명나라 측의 오류를 바로잡은 이른바 ‘종계변무(宗系辨誣)’에 관한 문제가 1588년(선조 21)에 이르러 원만히 해결되자, 이를 기념하기 위해 그 이듬해 시행되었다. 이때 과거에 응시하여 합격한 호성공신 박동량에게 반사한 방목이다. 이 방목은 박동량에게 반사한 원본이 망실되어 후대에 다시 정서(淨書)하여 만든 전사본 1책이다. 1..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7호_하석 박정 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_ 하석 박정 영정 (瑕石朴正影幀) 수 량 : 2幅 지정일 : 2001.09.17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조선후기 박정(朴炡)의 본관은 반남, 호는 하석(霞石)이다.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에 녹훈되었다. 현재 박정의 초상화는 2점이 전한다. 한 점은 사모에 청색 단령(團領)을 입은 전신의좌상이고, 나머지 한 점은 구름무늬가 들어간 녹색 단령을 입고 의자에 앉은 모습이다. 먼저 청색 단령본은 훼손이 심해 얼굴과 흉배 부분만이 원본에 해당하며, 나머지 부분은 비단을 덧댄 뒤 채색을 다시 입힌 상태이다. 녹색 단령본은 청색 단령본의 얼굴을 모방하여 그린 뒤 관복인 단령을 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7호_송암 이충원 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7호 _ 송암 이충원 영정 (松菴 李忠元 影幀) 수 량 : 1폭 지정일 : 1998.04.13 소재지 : 경기도 여주시 백자2길 7-4 (산북면)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된 이충원(李忠元, 1537~1605)의 공신도상이다. 이충원은 정종(定宗)의 10번째 아들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의 현손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 선조(宣祖)를 의주까지 호종한 공로로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 2등으로 녹훈되어 완양부원군(完陽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충원 호성공신도상은 17세기 초반기에 제작된 공신도상 가운데 필치가 정밀하고 화격이 매우 높다. 공신도상의 기본 형태인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에 공수(拱手) 자세를 취하였다. 이충원 공신도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