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리여원 4670

위봉사 태조암 구천오백불회도

_  조선 1879년, 비단에 채색, 완주 위봉사 태조암(금산사 성보박물관) 완주 위봉사 태조암 10폭 가운데 하나에 해당하는 이 불화는 극락정토에서 설법하는 아미타 부처님과 수많은 화불, 극락정토의 모습을 5가지의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한 불화이다. 오색구름을 탄 아미타삼존을 비롯해 여러 권속과 금색 보탑, 전각 등의 화려한 표현을 통해 극락정토의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2024.04.2, 불교중앙박물관 수교회향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용주사 탁의

_ 조선후기, 비단, 화성 용주사(용주사 효행박물관) 용주사는 용포(龍袍)를 만들고자 직조한 직성필료(織成匹料)를 재단한 것이다. 총 2점이 전하는데, 1점은 중앙에 오조룡(五爪龍)이 여의주를 몸에 풀고 앞을 바라보는 자세로 표현하였다. 또한, 바위를 중심으로 파도가 묘사된 해수강애문(海水江崖紋)을 가장자리에 장식하였고, 여백은 구름으로 메운 모습이다. 다른 1점은 화염보주를 잡으려고 하는 역동적인 모습의 용이 한쪽 방향을 바라보며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그 아래 가장자리에는 해수강애문과 운문(雲紋)을 표현하였다. 윗부분에는 남색 금단을 덧대었으며, 상단에는 굵게 짠 끈목을 건 점은 공통적이다.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아버지인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가 묻힌 현륭원(顯隆園)의..

해드린청허하우스 된장가르기

01.29일 된장을 담은 후 3개월이 지난 오늘 된장을 가릅니다. 장독 2개를 알코올(소주)로 깨끗히 닦은 후 햇빛에 2시간 말립니다. 메주 4덩어리를 장독에서 꺼내 흐깨기 시작합니다. 어느 정도 으깬후 메주가루 1kg을 넣고 섞습니다. 섞을 때는 장독에 있는 간장을 넣어 물게 합니다. 간장을 넣어 질벅하게 반죽을 합니다. 그리고 새 항아리에 담습니다. 가른 된장을 넣고 공기가 통하지 않게 얇은 비닐로 덮습니다.비닐을 덮은 후 손가락 한마디 높이만큼 소금을 부어 밀실하게 채웁니다. 소금을 채우고 장독커버를 덮습니다. 마지막으로 유리뚜껑을 덮어 된장가르기를 마무리 합니다. 개봉은 1년 후에 합니다.  ▼ 간장가르기된장을 걸러내고 남은 간장을 꺼냅니다.. 간장을 다 꺼냅니다. 새 항아리에 삼베보자기를 깔고 ..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부채그림 <나비>

_ 그림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이후), 글 강세황(姜世晃, 1713~1791),  조선 1782년 , 종이에 색(紙本彩色), 국립중앙박물관 흰 찔레꽃이 부채 오른편 밑에 그려져 있고, 그 옆으로 나비 세마리가 날고 있다. 날개를 접은 호랑나비, 푸른색 바탕의 형형색색 점을 가진 왕오색나비, 갈색 작은 멋쟁이 나비가 섬세한 붓질로 생동감 있게 표현되었다. 왕오색나비 옆에는 '장자 꿈속에 나비가 어찌하여 부채위에 떠올랐느냐 (栩栩然漆園春夢 胡爲乎幻出便圖) "는 글이 있는데, 이는 당시 문인들이 그림 속 나비를 보면서 장자의 나비 꿈 고사를 떠올렸음을 알려준다. _ 그림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이후), 글 강세황(姜世晃, 1713~1791)  _ 그림  단원(檀..

쌍계사 국사암 신중도

_ 조선 1781년, 비단에 채색, 하동 쌍계사 국사암(쌍계사 성보박물관) 하동 쌍계사 국사암는 제석천(帝釋天)과 위태천(韋駄天)을 중심으로 한 여러 신중을 표현한 불화이다. 전체적으로 섬세한 인물묘사 표현이 돋보이며 각종 문양 등에 고분(高粉) 기법을 사용하여 화려하게 장엄하였다. 쌍계사 국사암는 1790년(조선 정조 14)에 조성된 쌍계사 팔상전의 모본(模本)인 불화로, 조성을 주도한 평삼(評三) 스님의 화풍을 잘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2024.04.27, 불교중앙박물관_수보회향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2호_수덕사유물(거문고)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2호  _ 수덕사유물(거문고) (修德寺遺物(거문고)) 수    량 : 1점지정일 : 1984.05.17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번지 수덕사에 있는 거문고로 만공스님께서 고종의 둘째 아들인 의친왕 이강에게 받은 것이다.이조묵(李祖默)이 새긴 공민왕금(恭愍王琴) 이라는 글씨와 함께 만공 스님의 시가 새겨 있다.수덕사유물(거문고) 표지판 수덕사유물(거문고)  수덕사유물(거문고)  수덕사유물(거문고)  수덕사유물(거문고)  수덕사유물(거문고)  수덕사유물(거문고)  만공 스님의 게송 만공 스님의 게송 표지판 대감식안 이조묵의 찬문 대감식안 이조묵의 찬문 표지판 2023.10.22, 예산 수덕사 근역성보관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예천 용문사 목조지장보살좌상

용문사 목조지장보살좌상(龍門寺 木造地藏菩薩坐像) _ 조선 15세기, 나무, 예천 용문사(용문사성보박물관) 예천 용문사 은 본래 용문사 강원(講院)에 봉안하였던 보살상으로 조성 관련 기록이 발견되지 않아서, 조성 시기 등 연원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양식적인 특징에서 15세기의 작품을 확인하였으며, 과학적 조사 결과에서도 15세기에 조성하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하였을 떄, 용문사는 15세기 중후반 세조의 어머니인 소현왕후(昭獻王后)를 위한 원찰(願刹)이었기 때문에 용문사 은 당시 왕실에 의해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용문사 목조지장보살좌상(龍門寺 木造地藏菩薩坐像) 용문사 목조지장보살좌상(龍門寺 木造地藏菩薩坐像) 2024.04.27, 불교중앙박물관_수보회향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5호_하동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5호 _ 하동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  (河東 雙磎寺 八相殿 神衆幀) 수    량 : 1점지정일 : 2003.04.17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시   대 : 조선 정조 14년(1790)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은 쌍계사에 보관 중으로 ‘쌍계사 고법당 제석신중탱(雙磎寺 古法堂 帝釋神衆幀)’이라 명명되기도 한다. 이 탱화는 1781년에 제작된 쌍계사 국사암 신중도를 모본으로 하여 조선 정조 14년(1790) 4월에 제작되었는데, 금어(金魚) 평삼(評三), 홍원(弘愿), 지순(智淳), 극찬(極贊) 등을 비롯하여 찰민(察旻), 양수(揚修) 등 여러 사람들이 편수(片手)에 참여하였다. 이 탱화는 세로가 긴 직사각형(181.4cm×128cm)으로 1폭(4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