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문화재자료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0호_통진향교

기리여원 2022. 2. 22. 10:14
반응형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0호 _ 통진향교 (通津鄕校)

 

수    량 : 3동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김포시 월곶면 군하리 220번지

 

향교(鄕校)는 조선 시대 지방에 세운 공립 교육 기관으로, 중국 춘추 시대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여러 성현(聖賢)들의 제사를 지내고, 지방 사람들을 교육하는 곳이다. 향교는 공자를 모시는 대성전(大成展)과 선현을 모시는 동무ㆍ서무(東廡ㆍ西廡), 학생들의 강학소인 명륜당(明倫堂)과 그들이 기숙하는 동재ㆍ서재(東齋ㆍ西齋)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통진 향교는 고려 말인 1127년에 처음 지었다고 전해진다. 통진(通津)은 ‘나루를 통한다’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에 한강 입구를 지키는 중요한 장소였다고 한다. 현재의 향교는 대성전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근대에 지어진 건물로 구성되어있다. 명륜당은 한국 전쟁 이후 새로 지어졌는데, 1994년에 동재와 1995년에 2층 누각인 풍화루를 각각 복원하였다. 건물의 배치는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동재가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서무를 두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 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人(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명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八(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있다.

 

통진향교 표지판

 

 

통진향교 표지석

 

 

통진향교 홍살문

 

 

대소인계하마(大小人皆下馬)

 

벼슬을 하는 이나 아니하는 이나 모두 말에서 내리라고 새겨져 목사라 할지라도 말에서 내린다.

 

통진향교 (通津鄕校) 풍화루(風化樓)

 

 

통진향교 (通津鄕校) 풍화루(風化樓) 좌측면

 

 

통진향교 (通津鄕校) 풍화루(風化樓) 후면

 

 

통진향교의 전경

 

 

강학당 전경

 

 

강학당

 

 

통진향교의 강학공간인  명륜당(明倫堂)

 

명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八(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명륜당(明倫堂) 현판

 

 

명륜당(明倫堂) 후면

 

 

통진향교 (通津鄕校) 제향공간의 전경

 

 

통진향교 (通津鄕校) 묘정비(廟庭碑)

 

 

보호수인 400년 된 느티나무

 

 

통진향교 (通津鄕校) 내삼문(內三門)

 

 

통진향교 동무(東廡)

 

 

통진향교 서무(西廡)

 

 

통진향교 (通津鄕校)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에는 5(五聖), 송조4(宋朝四賢), 우리 나라 18(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통진향교 (通津鄕校)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의 건물규모는  앞면 3칸, 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人(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통진향교 강학공간 전경

 

2022.01.31, 김포시 월곶면 군하리, 통진향교

'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