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물/경기도

경기도 기념물 제26호_이덕남장군묘

기리여원 2022. 8. 27. 11:16

경기도 기념물 제26호 _ 이덕남장군묘 (李德南將軍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75.09.05

소재지 : 경기 안성시 미양면 구수리 85번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이덕남(李德南, ~1592) 장군의 묘이다. 이덕남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인 안성에서 외삼촌 홍자수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북진하는 왜적을 수차례 격퇴하였다. 그 뒤 용인·죽산·양지에 진을 구축하는 동시에 서운산성에 토성을 쌓아 경기·충청 지방의 의병들과 합세하여 왜적을 무찌르다 전사하였다. 1718년(숙종 44)에는 묘소에서 1㎞ 떨어진 장군의 생가에 정문(旌門; 충신, 효자, 열녀 등을 표창하고자 그 집 앞에 세우던 붉은 문)이 세워지고 병조참의의 벼슬이 내려졌다.

 

묘역은 부인과 함께 매장된 쌍분(雙墳 ; 두개의 봉분)의 형태이다. 원래 묘표(墓表 ; 무덤 주인공의 이름 등을 새긴 비석) 이외의 석물은 모두 없었으나, 1975년에 묘표·상석·향로석·장명등·무석인·망주석 등 새로운 석물들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옛 묘표는 묘역 입구 정문(旌門) 앞으로 옮겨졌다. 옛 묘표는 옥개방부형(屋蓋方趺形 : 지붕모양의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으로 작고 소박한 모습이다. 머릿돌의 용마루와 내림마루가 두껍게 돌출되었으며, 받침돌이 유난히 작아 다소 불안정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묘표의 글은 윤봉구가 짓고, 홍봉조가 쓴 것으로 18세기의 시대성을 보인다.

 

이덕남장군묘 표지판

 

 

이덕남장군묘 표지석

 

 

도로 바로 옆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덕남장군묘 전경

 

 

정려각(旌閭閣) 및 구묘비

 

 

구묘비

 

묘역에서 80m앞에 세운 묘비는 옥개방부형(屋蓋方趺形 : 지붕모양의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으로 작고 소박한 모습이다. 팔작지붕형 가첨석(加檐石)에 비신(碑身)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구조이다.

비문은 영조대 학자인 윤봉구(尹鳳九)가 지었고, 홍봉조(洪鳳祚)의 글을 김진상(金鎭商)이 새긴 것이다

 

구묘비

 

 

1687(숙종 13)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하면서 세운 정려각(旌閭閣)

 

 

이덕남장군 (李德南將軍) 정려(旌閭)

충신어모장군행훈련원정 (忠臣禦侮將軍行訓鍊院正)
증통종대부병조참의효덕남지려(贈通政大夫兵曺慘議李德男之閭)

 

이덕남장군묘 

 

 

이덕남장군묘 (李德南將軍墓)

 

이덕남(李德男, 1546~1592)

 

이덕남(李德男, 1546년 ~ 1592년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이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으로 본관은 영천 이씨(永川)이고, 자는 윤보(潤甫), 중윤(仲潤)이다.

충청남도 직산 출신이다. 본관은 영천으로, 자는 윤보(潤甫) 또는 중윤(仲潤)이다. 아버지는 참봉 이수인(李守認)이고 어머니는 남양홍씨로 증 좌윤(贈左尹) 홍청(洪淸)의 딸이다.

군관이 되어 정로위(定虜衛)에 복무하던 중 1583년(선조 16년) 계미 별시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선전관이 되고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훈련원부정이 되었으며 이순신 등과 함께 유성룡(柳成龍)의 추천으로 훈련원정(訓鍊院正)에 천거받았지만 임진왜란 직전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1592년(선조 25) 4월 고향에 있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외삼촌 홍자수(洪自修)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교전하였다. 무기가 없던 그는 당장 농가에 있는 농구를 녹여서 무기로 만들어 왜군과 교전하였다. 그뒤 왜군이 한성으로 올라가는 길목인 모령(毛嶺)에 병사들과 매복하고 있다가, 왜군이 지나가자 사촌인 의병장 홍계남(洪季男)과 함께 교전했고, 이후 진천과의 경계지인 엽둔령(葉屯嶺) 전투에서 왜군을 크게 무찔러 격파하였다. 이후 기호 지방의 의병 및 호서 지방의 의병들과 합세하여 용인·죽산 등지에서 활약하다가 안성 서운산성(瑞雲山城)에서 왜적의 기습공격으로 전사하였다. 사후 숙종 때인 1713년(숙종 39) 정려되고, 1717년(숙종 43) 증 병조참의(贈兵曹參議)에 추증되고,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이덕남장군묘는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구수리 산85-1에 위치하며, 1975년 9월 5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이덕남장군묘 

 

봉분은 쌍분(雙墳)이며 부인과의 합장묘이다. 묘비 이외에는 일체의 석물이 없었으나, 1975년에 후손들이 상석(床石), 향로석, 장명등, 망주석과 무인석 각 1, 오석제(烏石制) 묘비를 다시 세웠다.

 

이덕남장군묘 앞 상석, 향로석

 

 

이덕남장군묘  신묘비

 

임란충신이덕형장군지묘(壬亂忠臣李德南將軍之墓)

 

이덕남장군묘 앞 우측에 위치한 장명등

 

 

이덕남장군묘 앞 좌·우측 한쌍의 문인석

 

 

이덕남장군묘 앞 좌·우측 한쌍의 망주석

 

 

진양사(陳陽祠) 전경

 

 

진양사(陳陽祠) 외삼문(外三門)

 

 

이덕남장군의 사당인 진양사(陳陽祠)

 

 

진양사(陳陽祠) 우측면

 

 

진양사(陳陽祠) 좌측면

 

2022.08.21.안성시 미양면 구수리, 이덕남장군묘

글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