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의 <묵국도>

기리여원 2023. 2. 9. 14:46
반응형

<묵국도(墨菊圖) _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19세기, 종이에 수묵,

 

먹으로 그린 국화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 특유의 빠르고 거친 필치로 그려진 <묵국도(墨菊圖)>이다. 자유분망한 붓의 놀림으로 그려진 잎사귀로 인해 마치 바람에 휘날리는 국화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화면 좌측의 두 인장은 모두 장승업의 것이다.

한편 화면 왼쪽 국화를 그린 먹보다 더 진한 먹으로 쓰여 있는 글은 정대유(丁大有, 1852~1927)의 것이다. 정대유는 서화가 정학교(丁學敎, 1832~1914)의 아들이다. 정학교는 장승업의 그림에 제발을 가장 많이 쓴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장승업은 글에 능하지 못하여 대게 다른 서예가들이 그림에 글을 남겼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버지 정학교의 영향을 받은 정대유도 장승업의 국화도에 제시를 남긴 것으로 생각된다.

 

<묵국도(墨菊圖) _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

 

2023.02.08, 서울대학교박물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