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물 283

충청남도 기념물 제17호_이광륜묘

충청남도 기념물 제17호 _ 이광륜묘 (李光輪墓) 수량/면적 : 1기(1,650㎡) 지정일 : 1977.07.04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옥계리 산 77-2 시 대 : 조선시대 이광윤은 고려 문절공 이행(李行)의 6대손으로, 호는 중임(仲任)이며 명종2년(1546) 충청남도 청양에서 태어났다. 천성이 인자하고 의리를 존중하며 효로서 부모를 봉양하더니 33세가 되던 해 효행으로 추천을 받아 생원시에 응시하여 문소전참봉이 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적이 부산과 동래를 함락하고 북쪽으로 쳐들어오자 친척과 친구, 동네의 장정들 300여 명을 모아 청주 작전에 참가하였다. 청주성 탈환작전에서 승려인 영규대사와 합세하여 성을 포위하고 격전을 벌여 마침내 청주성을 탈환하였다. 승전의 기세로 ..

눈 오는 날, 예산 대흥향교 및 은행나무

충청남도 기념물 제136호 _ 대흥향교 (大興鄕校) 면 적 : 3,464㎡ 지정일 : 1997.12.23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교촌향교길 88 (교촌리)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대흥향교는 조선 태종 5년(1405)에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건물 배치는 앞쪽에 교육 공간으로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어 전학후묘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짠 익공 양식으로 꾸몄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학생들이 ..

충청남도 기념물 제28호_홍성 지석묘

충청남도 기념물 제28호 _홍성지석묘 (洪城支石墓) 수량/면적 : 4기(60㎡) 지정일 : 1982.08.03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 태봉리 389 시 대 : 선사시대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홍성군 구항면·은하면에 분포하고 있는 이 고인돌은 탁자식으로 모두 4기이다. 구항면 태봉리에 있는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 중 1개가 빠져 나간 상태이고, 나머지 3개는 약간 무너졌으나 비교적 양호한 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2호_선운사 백파율사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2호 _ 선운사 백파율사비 (禪雲寺 白坡律師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6.09.09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삼인리) 시 대 : 조선시대 철종9(1858 백파율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한 이 비석은 선운사 입구로 들어서서 오른쪽 숲 속의 부도 밭에 세워져 있다. 조선 철종 9년(1858)에 건립한 것으로 비명(碑銘)은 조선시대의 대명필가인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필적이다. 조선조의 억불정책에도 불구하고 오랜 침체기를 헤치며 조선후기 불교의 참신한 종풍(宗風)을 일으킨 화엄종주(華嚴宗主) 백파율사의 업적이 적혀 있는 이 비석은, 네모난 받침 위에 몸통을 세우고 지붕돌을 씌운 모습으로 되어 있다. 선운사 백파율사비 표지판 선운사 백파율사비..

은행나무와 느티나무가 어우러진 상생의 조화, 예산 대흥향교 은행나무

충청남도 기념물 제160호 _ 예산 대흥향교 은행나무 (禮山 大興鄕校 은행나무) 수량/면적 : 1주(3,463㎡) 지정일 : 2002.08.1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교촌향교길 88 (교촌리) 예산 대흥향교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수령 약 600여년의 은행나무로서 원줄기의 중앙 분지 위에 느티나무가 뿌리를 내려 성장, 공생하고 있는 특이한 경우이다. 수형이 장엄하며, 약 300여년 전부터 성황제를 거행하여 오는 등 민속적인 측면과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보존가치가 크다. 지상에서 3m지점에서 4개의 가지가 분지되었고, 수형이 평정형을 이루며 웅장하고 장엄하다. 분지된 곳의 중앙에 수령 약 100년 정도의 느티나무(직경 30㎝)가 뿌리를 내려 공생하고 있어 마치 한 그루처럼 보이는 특이한 형태를 이루고..

전라북도 기념물 제117호_고창 하고리 왕버들나무숲

전라북도 기념물 제117호 _ 고창 하고리 왕버들나무숲 (高敞 하고리 왕버들나무숲) 수량/면적 : 88주(53,314㎡) 지정일 : 2002.08.02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성송면 하고리 123번지 외 37필지 성송면 하고리 삼태마을 앞 천변 양옆으로 하천뚝을 따라 수령2~3백년이 됨직한 귀목나무와 은행나무, 소나무, 벚나무, 왕버들 나무등 12종에 90여 그루의 나무숲이 있다. 마을사람들이 전하는 말에 의하면 앞산에 올라가 마을 형국을 보니 마을이 배 형상인데 마을앞에 거친 대산천이 흐르고 있어 배를 단단히 매 놓지 않으면 냇물에 떠 내려갈 형국이라서 그때부터 마을 사람들이 배를 매어둘 말뚝으로 사용할 나무를 심기 시작한 것이라 한다. 마을사람들은 그때부터 지금까지 마을앞 하천 뚝에 심어져 잇는 나무..

전라북도 기념물 제111호_산수리 지석묘

전라북도 기념물 제111호 _ 산수리지석묘 (山水里支石墓) 수 량 : 1기 지정일 : 2001.09.21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성송면 산수리 544번지 시 대 : 청동기시대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는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산수리 지석묘는 고창군 산수리 방축마을 도로 건너 동쪽 100여m 지점 밭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다. 네모난 모양의 넓고 큰 덮개돌을 5개의 굄돌로 받치고 있는 형태이다. 남북 방향으로 된 화강암의 덮개돌을 받치는 굄돌은 북쪽에 3개, 남쪽에 2개가 있는데, 땅에서 70∼1..

충청남도 기념물 제100호_청양 도림사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100호 _ 청양 도림사지 (靑陽 道林寺址) 면 적 : 12,545㎡ 지정일 : 1996.02.2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장평면 적곡리 667외 3필 칠갑산의 남향한 언덕 계곡 쪽으로 있는 도림사 터이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도림사는 고려시대의 사찰이었던 것으로 짐작되며, 주변에서 발견되는 기와조각으로 보아 조선시대까지는 맥을 이어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 내에는 도림사지삼층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7호)과 석불입상 1구가 상반신이 파손된채 남아있는데,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1973년 해체 수리시에 발견된 기와와 사리구는 국립부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청양 도림사지 표지판 이 곳에 주차를 하고 칠갑산 정상으로 가는 등산로로 600m 오르면 도림사지를 만날 수..

충청남도 기념물 제133호_청양 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33호 _ 청양향교 (靑陽鄕校) 면 적 : 10,830㎡ 지정일 : 1997.12.2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청양읍 교월리 34-1번지 소유자(소유단체) : 충청남도향교재단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청양향교를 처음 지은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전기 이곳에 이미 향교와 문묘가 있었다고 전한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들은 조선 중기 이후의 것으로 고종 11년(1874)과 1904년 등 여러 차례 수리하였다. 경내에는 제사지내는 공간인 대성전,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명륜당,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관리사 등의 건물이 있다. 대성전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

경기도 기념물 제163호_청주한씨문익공파묘역

경기도 기념물 제163호 _ 청주한씨문익공파묘역 (淸州韓氏文翼公派墓域)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97.05.16 소재지 : 경기 시흥시 거모동 산62번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인조의 장인인 한준겸(韓浚謙, 1557∼1627) 선생과 후손들의 가족 묘역이다. 묘역은 한준겸 묘를 중심으로 좌측에 아들 한회일(韓會一) 묘역과 우측에 손자 한이성(韓以成) 묘역, 그리고 앞쪽에 증손 한두상(韓斗相) 묘역이 4대에 걸쳐 조성되어 있다. 한준겸 묘역은 부인 황씨(黃氏)와 합장한 단분(單墳 ; 하나의 봉분)의 형태이다. 17세기 전반기의 묘제를 잘 보여주는 곳으로 묘표에서부터 동자석인과 장명등까지 골고루 갖춘 표준이 되는 묘역이다. 묘표는 1628년(인조 5)에 제작한 것으로 대리석 재질의 정갈한 비석이다. ..

기념물/경기도 202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