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리여원 4696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호_자정국사사리함.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호 _ 자정국사사리함 (慈精國師舍利函) 수 량 : 1개 지정일 : 1972.01.29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신평리) 자정국사의 사리를 담았던 그릇으로,지름 15.2㎝, 높이 7.7㎝, 뚜껑 높이 3.1㎝, 몸체 높이 5.3㎝인 청자상감국화문 항아리이다. 자정국사는 송광사 16국사 가운데 하나로,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지만 고려 충렬왕 19년(1293)∼27년(1301)까지 주지승으로 있었다. 뚜껑은 윗면에 백상감으로 큰 원을 돌리고, 주변에 4개의 작은 원을 새겼다. 원 안에는 흑백상감으로 국화무늬를 새겼고, 원 사이에는 구름과 학무늬를 조각하였다. 옆면은 백상감으로 번개무늬와 연속된 작은점을 돌렸다. 몸체는 중앙에 위아래가 구분되는 면이 있으며,..

보물 제1660호_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보물 제1660호 _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順天 松廣寺 木造觀音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수 량 : 불상1구, 복장유물11건35점 지정일 : 2010.08.25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시 대 : 조선시대 송광사 관음전의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복장되어 있던 저고리와 별도의 백색비단에 적은 발원문을 통해 1662년 궁중나인(宮中內人) 노예성(盧禮成)이 경안군(慶安君) 내외의 수명장원(壽命長遠)을 위해 발원하고, 경안군 내외와 나인 노예성, 박씨, 당대의 고승(高僧) 취미수초(翠微守初) 등이 시주하여 17세기 중엽을 대표하는 조각승 혜희(慧熙)와 금문(金文)이 조각하여 조성한 관음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이 불상은 발원문을 통해 경안군과 직․간접적으로..

문화재/보물 2017.04.29

보물 제1549호_순천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16나한상 일괄

보물 제1549호 _ 순천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16나한상 일괄 수 량 : 26구 지정일 : 2008.03.12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시 대 : 1624년 송광사 응진당에는 석가여래삼존상을 비롯하여, 아난·가섭존자 그리고 16나한, 제석천, 범천, 인왕, 사자를 모두를 갖춘 27구의 상들이 봉안되어 있다. 미륵보살입상을 제외한 26구의 상들은 17세기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하던 응원(應元)을 비롯한 조각승들이 조성한 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자상(使者像) 대좌의 명문을 통해서 1624년(인조 2)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삼존상은 석가와 미륵, 제화갈라보살로 구성된 수기삼존형식으로 조선시대 삼세불상의 대표적인 도상이다. 본존상은 수종사 불감에서 ..

문화재/보물 2017.04.29

보물 제831호_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 사리장엄구

보물 제831호 _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順天 桐華寺 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5.01.08 소재지 : 전남 순천시 별량면 동화사길 208, 동화사 (대룡리) 시 대 : 고려시대 동화사의 법당 앞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밑부분인 기단(基壇)이 땅속에 거의 파묻힌 채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쌓아 올렸다. 땅위로 드러난 기단의 맨윗돌은 4장의 돌로 짜여져 있으며 경사져 있다. 탑신은 모두 지붕돌과 몸돌이 각각 한돌로 이루어져 있고,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수는 모두 3단씩이나, 높이의 차가 심해서 형식화된 느낌을 준다. 또한, 지붕돌 네 귀퉁이의 옆면을 급하게 깍아 지붕돌 전체가 무거워 보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 복발, 앙화, 보..

문화재/보물 2017.04.26

전라북도 기념물 제9호_남원 교룡산성

전라북도 기념물 제9호 _ 남원교룡산성 (南原蛟龍山城) 면적/수량 : 일원 지정일 : 1973.06.23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곡동 16-1번지 남원 교룡산성은 해발 518m의 교룡산의 천연적인 지형지세를 이용하여 돌로 쌓은 산성으로, 둘레는 3120m이다. 현재 무지개 모양으로 입구가 표현된 동문과 성문을 보호하기 위하여 만든 작은 성인 옹성, 그리고 군데군데 성벽이 남아 있다. 온전하게 남은 동문터와 수문에 보이는 성벽의 구조는 우리나라 성곽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성안에는 우물 99개와 계곡이 있어서 산성 주변의 주민들이 유사시에 대피나 전투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좋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조선 전기에는 군대의 식량을 저정하는 창고가 있었다. 산성을 언제 쌓았는지는 기록이 없어서 정확하게 알 ..

보물 제11-7호_사인구비 제작 동종-의왕 청계사 동종

보물 제11-7호 _ 사인비구 제작 동종-의왕 청계사 동종 (思印比丘製作 銅鍾-儀旺 淸溪寺 銅鍾) 수 량 : 1구 지정일 : 2000.02.15 소재지 : 경기 의왕시 청계동 산11번지 청계사 시 대 : 조선숙종27년(1701)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에 의해서 1701년에 만들어진 조선시대 종이다.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현재 그의 작품 8구가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종의 높이는 115㎝, 입지름 71㎝이며, 무게가 700근이나 나가는 큰 종이다. 종의 꼭대기에는 두마리의 용이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고 있고, 어깨와 종 입구부분에는 꽃과 덩굴을 새긴 넓은 띠가 ..

문화재/보물 2017.03.26

보물 제1830호_분청사기 상감'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

보물 제1830호 _ 분청사기 상감‘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 (粉靑沙器 象嵌‘正統四年銘’ 金明理墓誌) 지정일 : 2014.07.02 시 대 : 조선시대 “분청사기 상감‘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는 조선시대 성천도호부 부사(成川都護府副使)였던 김명리(金明理, 1368~1438년)의 묘지이다. 종모양 묘지석은 제작사례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희귀한 사례이다. 전체 모양은 상부에서 저부로 내려오면서 직경이 약간 좁아지는 비대칭의 원통형이고 상면 중앙에 높이 4.0cm의 연봉형(蓮峰形) 꼭지가 부착되었다. 묘지문은 동체 외면 전면에 걸쳐 백상감기법으로 각서(刻書)하였다. 지문(誌文)은 김명리의 가계·부모·이력 등을 적은 행장(行狀)으로 지은이는 유의손(柳義孫, 1398~1450년)이다. 행장을 지은 시기는 김..

문화재/보물 2017.03.20

보물 제1728호_허전 초상

보물 제1728호 _ 허전 초상 (許傳 肖像) 수 량 : 1폭 지정일 : 2011.12.23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0 (상갈동, 경기도박물관 ) 시 대 : 19세기 후반 허전(1797~1886)은 조선조 말의 문신으로,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이로(而老)이고 호는 성재(性齋)이다. 1828년(순조28) 상시(庠試)에 합격하고, 1835년(헌종1) 39세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숭릉별감(崇陵別監)이 되었다. 전적, 지평, 이조좌랑을 거쳐 1847년 함평현감(咸平縣監)으로 나갔는데, 형률로써 백성들을 다스리지 않겠다고 하면서 형벌 기구를 모두 없앴으며, 효도, 공경, 친목의 도리로 깨우쳤다고 한다. 그러나 안찰사와의 불화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1850년에는 교리를 거쳐 수찬이..

문화재/보물 2017.03.20

보물 제1579호_초조본 성지세다라니경

보물 제1579호 _ 초조본 성지세다라니경 (初雕本 聖持世陀羅尼經) 수 량 : 1권 1축 지정일 : 2008.12.22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갈동, 경기도박물관) 시 대 : 11세기 이 불경은 10세기 말에 인도 출신의 학승 시호(施護)가 번역한 초조대장경 가운데 하나이다. ‘성지세다라니(聖持世陀羅尼)’라는 이름은 ‘덕망이 높은 지세보살(持世菩薩)의 주문’이라는 뜻이며, 수지(受持) 독송(讀誦)하면 무거운 죄도 소멸시킬 수 있으며, 소원을 성취할 수 있다고 설하고 있다. 각자(刻字)가 정교하고, 글자의 먹색 및 지질 등으로 보아 11세기 인출의 정각본으로서 초조판(初雕板)의 원형을 살필 수 있어 역사적 의미가 깊다. 권말에는 신역(新譯)할 때의 증의자(證義者), 철문(綴文), 필..

문화재/보물 2017.03.20

보물 제1174-2호_이중로 정시공신교서 및 초상-이중로초상

보물 제1174-2호 _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이중로초상 (李重老 靖社功臣敎書 및 肖像-李重老 肖像) 수 량 : 1폭 지정일 : 2004.05.07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갈동, 경기도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17세기 초) 은 오사모에 단령을 입고 의자에 앉은 전신좌상이다. 흉배는 모란 및 해태문양이 수놓인 것을 착용하고 있으며, 학정금대(鶴頂金帶)를 두르고 있어 이 초상화가 무관 종2품 때의 도상임을 말해준다. 이 상의 특징을 들자면, 사모의 높이가 상당히 낮으며, 양쪽으로 뻗친 사모의 각(角, 뿔)은 넓적하고 둥글며 발색효과 없이 테두리를 굵게 둘렀다. 또한 7분면으로 인한 자세를 강조하기 위해 양 어깨의 형태 및 경사의 차이를 심하게 나타내었으니, 즉 왼편 어깨는 ..

문화재/보물 2017.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