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리여원 4696

보물 제97호_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보물 제97호 _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槐山 院豊里 磨崖二佛並坐像) 수 량 : 2구 지정일 : 1963.01.21 시 대 : 고려시대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산124-2번지 높이가 12m나 되는 큰 암석을 우묵하게 파고, 두 불상을 나란히 배치한 마애불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예이다. 둥근 얼굴에 가늘고 긴 눈, 넓적한 입 등 얼굴 전반에 미소가 번지고 있어 완강하면서도 한결 자비로운 느낌을 준다. 반듯한 어깨, 평평한 가슴 등 신체의 표현은 몸의 굴곡이 거의 드러나지 않고 형식화되었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주름은 무딘 선으로 형식적으로 표현하였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에는 작은 부처가 새겨져 있으나, 세부수법은 닳아서 잘 알 수 없다. 두 불상을 나..

문화재/보물 2017.02.18

사적 제194호_헌릉과 인릉 , 보물 제1804호_서울 태종 헌릉 신도비

헌릉 · 인릉(獻陵 · 仁陵) 헌릉은 조선왕조 제3대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를 모신 능이다. 태종은 재위 18년간(1400~1418)여러 제도를 개혁하고 학문장려, 호폐법 실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조선왕조의 기초를 튼튼히 하였다. 인릉은 제23대 순조(재위 1800~1834)와 순원왕후 김씨를 모신 능이다 인릉 인릉(仁陵) 조선 23대 순조와 순원왕후의 능 순조(純祖, 1790~1834, 재위 1800~1834)는 제22대 정조의 둘째 아들로,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여 증조할아버지 영조의 제2계비인 대왕대비 정순왕후가 수렴청정하였다. 1803년(순조 3) 친정을 시작해 암행어사 파견, 편찬, 국왕친위부대 강화, 하급친위관료 육성 등 국정개혁과 왕권강화를 위해 노력했다. 순원왕후(純元王后, 1787~..

국보 제282호_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국보 제282호 _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표지판 국보 제282호 _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2020.11.29. 영주 흑석사 ▼ 2016. 12월 불교중앙박물관 전시입니다. 국보 제282호 _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榮州 黑石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수 량 : 일괄 지정일 : 1993.11.05 소재지 : 경북 영주시 이산면 이산로 390-40, 흑석사, 대구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석포리) 시 대 : 조선시대 흑석사는 삼국시대 석조마애여래상과 통일신라의 석조여래좌상(보물 제681호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절로, 늦어도 통일신라 때 창건된 절이라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폐사되었다가 194..

문화재/국보 2016.12.27

국보 제327호_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 (2016.12.04)

국보 제327호 _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 (扶餘 王興寺址 舍利器 一括) 수 량 : 3점 지정일 : 2019.06.25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충절로2316번길 34 (규암면,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시 대 : 백제시대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은 목탑지의 심초석 남쪽 중앙 끝단에 마련된 장방형 사리공 내부에서 발견되었다. 발견된 사리장엄구는 가장 바깥에 청동제의 원통형 사리합을 두고 그 안에 은으로 만든 사리호, 그리고 보다 작은 금제 사리병을 중첩하여 안치한 3중의 봉안 방식을 취하였다. 사리를 보호하기 위해 가장 귀한 재질인 금, 은, 동을 순서대로 사용한 백제 사리장엄의 면모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우선 청동제사리합은 바닥이 납작한 원통형 몸체의 위, 아래로 두 줄의 음각선을 둘렀고..

문화재/국보 2016.12.08

보물 제196호_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

보물 제196호 _ 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 (金銅鄭智遠銘釋迦如來三尊立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국립부여박물관) 시 대 : 삼국시대 하나의 광배에 불상·보살상을 함께 주조한 삼존불(三尊佛)로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광배(光背)의 뒷면에는 정지원이라는 사람이 죽은 아내를 위하여 금으로 불상을 만들어 저승길을 잘 가게 했다는 내용의 글이 적혀있다. 본존불의 얼굴은 갸름하면서 살이 오른 모습으로 눈·코·입의 윤곽이 큼직해서 시원해 보인다. 양 어깨를 감싼 옷은 U자형의 주름을 지으면서 묵중하게 흘러내렸는데, 양 팔에 걸친 옷자락은 새의 날개깃처럼 양 옆으로 길게 뻗쳐있다. 손은 손바닥이 정면을 향하고 손끝은 ..

문화재/보물 2016.12.08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53호_예천권씨 병암정 및 별묘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53호 _ 예천권씨병암정및별묘 (醴泉權氏屛巖亭및別廟) 지정일 : 2003.12.15 병암정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기와집으로 정자들 동쪽의 병풍처럼 생긴 큰 바위 위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 건물은 예천 지역의 대표적 독립운동가인 권원하(權元河)와 관련이 있는 건물로 알려져 있다. 정자의 우측에 있는 별묘(別廟)는 3칸 규모의 맞배기와집으로, 원래는 인산서원(仁山書院)의 사당이었으나 서원이 훼철(毁撤)되자 사당만 이곳으로 이건하여 권맹손(權孟孫), 권오기(權五紀), 권오복(權五福), 권용(權墉)을 봉사하는 별묘로 사용하고 있다. 예천권씨병암정및별묘 (醴泉權氏屛巖亭및別廟) 표지판 먼저 별묘로 올라갑니다. 별묘 별묘 예천권씨 병정암 예천권씨 병정암 편액 예천권씨 병정암 편액 ..

예천 명봉사 , 보물 제1648호_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소백산 명봉사 일주문 소백산 명봉사 일주문 편액 예천 명봉사 무량수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7호 _ 명봉사문종대왕태실비 (鳴鳳寺文宗大王胎室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12.29 소재지 : 경북 예천군 효자면 명봉사길 62 , 명봉사 시 대 : 1735년 (영조11) 태실이란 왕이나 왕실 자손의 태를 모셔두는 돌로 만든 방으로, 태실비는 태실에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는 비이다. 이 비는 문종대왕의 태를 모신 후 세운 비로, 명봉사 절내에 사적비와 나란히 서 있다. 원래는 절 뒤편 산기슭에 있었으나 일제 때 태실을 발굴해간 뒤, 명봉사의 스님들에 의해 이 자리로 옮겨온 것이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거북받침은 머리가 용머리화 되어 입에 여의주를 물고..

문화재/사찰 2016.07.28

의성 대곡사 , 보물 제1831호_ 의성 대곡사 대웅전

비봉산 대곡사(飛鳳山 大谷寺) 일주문 비봉산 대곡사(飛鳳山 大谷寺) 일주문 편액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1호 _ 대곡사 범종각 (大谷寺 梵鐘閣)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1호 _ 대곡사 범종각 (大谷寺 梵鐘閣) 대곡사는 고려 공민왕 17년(1368) 인도승 지공선사가 세웠다고 한다. 그 뒤 정유재란 때 불에 타버렸던 것을 다시 세운 절로 1978년 보수하였다. 범종각은 종을 봉안했던 곳인데 지금은 종이 없다. 앞면·옆면 모두 3칸 규모를 가진 2층 누각이며, 지붕은 겹처마의 팔작지붕이고, 바닥은 우물마루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윗부분에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다. 이를 다포양식이라 하는데 밖으로 뻗쳐 나온 앙서의 윗몸에 연꽃을 조각하여 조선 후기의 조각수법을..

문화재/사찰 2016.06.11

보물 제325호_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보물 제325호 _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 수 량 : 일괄 지정일 : 1963.01.21 시 대 : 통일신라시대 소재지 : 대구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황금동,국립대구박물관) 송림사는 진흥왕 5년(544) 명관(明觀)이 중국에서 가져온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운 절로, 여기에는 우리 나라에 몇 개밖에 남아 있지 않은 벽돌로 만든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제189호)이 있다. 1959년 이 탑을 수리하기 위해 해체하면서 탑 안에 있던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그 중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는 2층 탑신(塔身) 구형(龜形) 석함(石函)(현재 송림사에 보관) 속에서 발견되었다. ㅇ 1층 탑신에서는 나무와 돌 그리..

문화재/보물 2016.06.11

영월 보덕사 , 문화재자료 제23호_보덕사 극락보전, 문화재자료 132호_영월보덕사해우소,

영월 보덕사에 있는 문화재 1.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8호 _ 영월 보덕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2.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3호 _ 보덕사 극락보전 3.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32호 _ 영월 보덕사해우소 태백산 보덕사 일주문 태백산 보덕사 일주문 태백산 보덕사 일주문 편액 600년 된 느티나무 2그루 수령 450년 된 느티나무 7그루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32호 _ 영월보덕사해우소 (寧越報德寺解憂所) 시대 ; 조선시대 해우소(解憂所)는 ‘근심을 해결하는 장소’ 라는 뜻의 사찰에서 화장실을 이르는 말이다. 전통적 형식을 지닌 보덕사 해우소는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2층 누각식 건물이다. 앞뒤 2열로 나누어 각각 6칸씩의 대변소를 배치하여 남녀의 사용을 구분하면서 12명을 동시에..

문화재/사찰 2016.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