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강원도 81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86호_원주 구룡사 삼전패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86호 _ 원주 구룡사 삼전패 (原州 龜龍寺 三殿牌) 수 량 : 3점 지정일 : 2020.08.21 소재지 : 강원도 평창군 구룡사 전패는 주상(主上), 왕비(王碑), 세자(世子)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삼전패이며 원주 구룡사에서 이운된 것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구름을 도상화한 것으로 보이며 폭이 넓어 안정감 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부에는 운룡문(雲龍文), 전패(殿牌) 좌우에는 연화당초문(蓮花唐草文)을 음각으로 새기고 금니로 칠하였는데 필치가 매우 유려하다. 원주 구룡사 삼전패 원주 구룡사 삼전패 원주 구룡사 삼전패 2021.08.01. 월정사 성보박물관 월정사 성보박물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5호_강릉 백운사 소장 현왕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5호 _ 강릉 백운사 소장 현왕도 (江陵 白雲寺 所藏 現王圖) 수 량 : 1점 지정일 : 2015.11.06 소재지 : 강원도 평창군 시 대 : 1879년 현왕은 부처의 수기를 받은 불교 신중(神衆)으로 명부신앙(冥府信仰)과 결합된 염라대왕을 이른다. 조선시대 명부전에는 지장삼존상(지장보살·도명존자·무독귀왕) 좌우에 배치되는 시왕상(十王像)의 뒤에 시왕도를 걸게 되는데, 명부전 이외의 전각에 봉안될 때는 시왕도 가운데 제5왕인 염라대왕만을 1폭에 그린 현왕도를 봉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왕이 7일을 기준으로 재판하는 것에 비해 염라대왕은 3일 만에 재판을 하며, 다음 생에는 보현왕여래(普賢王如來)가 된다는 수기를 받았다고 한다. 도상은 보통은 일월관(日月冠)을 쓴 현왕이 판관(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1호_강릉 보현사 십육나한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1호 _ 강릉 보현사 십육나한도 (江陵 普賢寺 十六羅漢圖) 수 량 : 2점 지정일 : 2014.03.07 소재지 : 강릉 보현사 1882년에 강원도 강릉 보현사의 대웅전 석가삼존도, 현왕도 등과 더불어 영산전에 봉안할 목적으로 제작된 십육나한도 중 일부이다. 현재 두 폭만이 남아 있으며 제작 당시 총 몇 폭으로 구성되어 있었는지 명확히 알 수는 없지만 아마도 총 4폭으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엿보인다. 두 폭 중 한 폭(제 1폭으로 칭함)은 깊은 산 속, 폭포에서 흘러내린 물로 둘러싸인 암석 위에 5위의 나한이 서 있거나 앉아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이들은 모두 동일한 곳인 왼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그 곳에서는 물가에서 용이 솟아나오고 있으며, 이를 나한들이 호리병 안으로 불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9호_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9호 _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平昌 月精寺 北臺 孤雲庵 木造彌勒菩薩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1.08.12 소재지 : 평창 진부면 동산리 산63번지 월정사성보박물관 이 미륵보살좌상은 복장유물이 완전하게 보관되어 있어 1710년이라는 정확한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존상태도 양호하며 18세기 불교조각의 기준작으로 삼을 만 하다는 점이 가치가 있다.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2021.08.01. 월정사 성보박물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8호_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8호 _ 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 (平昌 月精寺 南臺 地藏庵 木造地藏三尊佛龕) 수 량 : 1구 지정일 : 2011.08.12 소재지 : 진부면 동산리 산63번지 월정사성보박물관 이 불감은 17~18세기 전형적인 불상조각의 특징을 잘 나타내 주며 그 예가 많지 않은 지장삼존불감일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불교조각 양식을 잘 갖추고 있어 불교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 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 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 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 2021.08.01, 월정사 성보박물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7호_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7호 _ 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平昌 月精寺 中臺 獅子庵 木造毘盧遮那佛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2011.08.12 소재지 : 평창 진부면 동산리 산63번지 월정사성보박물관 이 비로자나불좌상은 조각수법이 정교할 뿐만 아니라, 불상의 제작연대(1894년) 및 작자를 명확히 알려주는 복장유물을 동반한 조선 말기의 불상으로 불교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유물, 발원문 2021.08.01. 월정사 성보박물괸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1호_영은사 사명당대선사진영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_ 영은사 사명당대선사진영 (靈隱寺 四溟堂大禪師眞影) 수 량 : 1폭 지정일 : 2001.12.29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성보박물관 (동산리) 시 대 : 조선 정조(1788) 조선 중기의 고승이자 의병장인 사명당의 진영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전신교의 좌안칠분면상의 그림인데, 화기가 없어 제작시기와 작자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범일국사의 진영과 같은 시기(1788)에 같은 작자에 의해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며, 그림의 보존상태가 훼손이 없이 깨끗하고 조선후기 진영의 전형적인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므로 그 보존가치가 크다. 유정(惟政 ; 1544~1610)은 조선 중기의 고승(高僧)으로 풍천임씨(豊川林氏)이며 속명은 응규(應奎),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0호_영은사 범일국사진영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0호 _ 영은사 범일국사진영 (靈隱寺 梵日國師眞影) 수 량 : 1폭 지정일 : 2001.12.29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성보박물관 (동산리) 시 대 : 조선 영조(1788) 신라말 구산선문의 하나인 사굴산파의 개산조 범일의 진영으로서 의자에 앉아 있는 전신교의 좌안칠분면상으로 조선후기 진영의 전형적인 형태를 갖고 있는 작품이며, 범일국사의 진영은 현존하는 유례가 드물고 조사의 진영도로서는 드물게 화기를 남기고 있어 정확한 제작연대를 알 수 있어 보존가치가 크다. 이 진영은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영은사의 칠성각에 봉안되어 있던 것인데, 1999년 6월 18일 월정사성보박물관으로 옮겨 전시중에 있다. 그림 하단 중앙에 있는 화기(畵記)에 의해 178..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9호_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원도 유형문화재 제139호 _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報德寺 四聖殿 後佛幀畵 및 腹藏遺物) 수 량 : 1폭 지정일 : 2001.12.29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성보박물관 (동산리) 시 대 : 조선 후기 1868년(고종 5)에 제작되어 연대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필선과 구도, 본존과 보살상의 얼굴모습, 산처럼 높이 솟아 있는 육계와 계주의 표현, 전체의 색조가 붉은 색과 파란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는 점 등 19세기 중엽 이후 불화의 전형적인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작품으로 그 보존가치가 크다. 이 탱화는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보덕사의 사성전에 봉안되어 있던 것인데, 1998년 9월 2일 월정사 성보박물관으로 옮겨져 전시중에 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8호_운흥사 천룡탱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_ 운흥사 천룡탱화 (雲興寺 天龍幀畵) 수 량 : 1폭 지정일 : 2001.12.29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성보박물관 (동산리) 시 대 : 조선 영조 31년(1755) 이 그림은 화기에 천룡탱(天龍幀)이라 하였듯이 천룡팔부중(天龍八部衆)을 그린 불화이다. 천룡팔부중은 불법을 수호하는 8신중(神衆)으로 천(天)ㆍ용(龍)ㆍ야차(夜叉)ㆍ건달바(乾達婆)ㆍ아수라(阿修羅)ㆍ가루라(迦樓羅)ㆍ긴나라(緊那羅)ㆍ마후라가(摩㬋羅伽)를 말한다. 불화에서의 팔부중은 여러 형식의 신중탱화에 표현되거나 혹은 영산회상도 등과 같은 불화에 권속(眷屬)으로 등장된다. 신중탱화의 종류는 제석천(帝釋天)과 권속을 그린 제석도, 팔부중을 그린 천룡도, 제석ㆍ천룡도, 제석ㆍ범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