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충청북도 109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08호_증평 남하리 석조보살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08호 _ 증평 남하리 석조보살입상 (曾坪 南下里 石造菩薩立像) 수 량 : 1軀 지정일 : 2001.07.13 소재지 : 충북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133-2번지 증평읍 남하리 마을 논밭 사이에 북쪽을 향하여 서 있는 불상으로, 작은 2구의 불상과 함께 주변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49년 마을 뒷산에 성주사를 세운 윤월인 스님이 이 불상들을 모아 다시 세웠다가 한국전쟁 후 마을의 수호부처로서 주민들이 보호하고 있다. 발 아래부분이 땅에 묻혀 있는 이 불상은 머리에 높은 보관을 쓰고 왼손을 가슴부분에 들어 연꽃송이를 받치고 있는 보살상이다. 보관을 써서 머리부분이 상당히 큰 편이고, 어깨가 좁으며 몸의 양감은 편평하여 전체적으로 길쭉한 사각형의 형태를 보인다. 미소짓는 얼굴의 표정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1호_영동 영국사 대웅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1호 _ 영동 영국사 대웅전 (永同 寧國寺 大雄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80.01.09 소재지 :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산139-1번지 천태산에 위치한 이 사찰(寺刹)은 통일신라 후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명종때인 12세기에 원각국사에 의해 중창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高麗) 고종(高宗)때에는 금당(金堂)을 건립하고 국청사(國淸寺)라 하였다고 전한다. 그 후 공민왕(재위1351∼1374) 때 홍건적의 침략을 피하여 이곳에서 나라의 안정과 국민의 평안을 기원하였으므로 이름을 영국사라 고쳤다고 한다.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상을 모시는 법당으로,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5호_쌍수정사적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5호 _ 쌍수정 사적비 (雙樹亭 史蹟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01.08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금성동 14-4번지 조선시대 인조임금이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머물렀던 일을 기록하고 있는 비다. 비는 거북모양의 받침 위에 비몸을 세우고, 목조 건축의 지붕을 모방한 머릿돌을 갖춘 조선시대 일반적인 양식이다. 비문에는 이괄의 반란, 인조가 난을 피하게 된 사실, 공산성에 머물렀던 10일 동안의 행적, 왕이 머물렀던 공산성에 대한 내용 등이 적혀 있다. 숙종 34년(1708)에 세운 비로, 인조 때 영의정을 지낸 신흠이 비문을 짓고,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남구만이 글씨를 썼다. 쌍수정 사적비 표지판 쌍수정 사적비 표지석 쌍수정 사적비 쌍수정 사적비 쌍수정 사적비 쌍..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호_괴산 봉학사지 석조여래좌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호 _ 괴산 봉학사지 석조여래좌상 (槐山 鳳鶴寺址 石造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2-30번지 불신만 남아 있는 이 불상은 왼쪽 팔목의 보수를 제외하면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신체에 비해서 큰 얼굴은 앞으로 숙여져 있으며 옷은 왼쪽 어깨만을 감싸고 있다. 손은 오른손 바닥을 무릎에 대고 손끝이 아래를 가리키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꼽 앞에 놓은 모습이다.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얹어 놓은 앉은 자세는 그 예가 드문 편이다. 평판적이고 굴곡이 없는 네모진 상체, 목에 있는 3개의 주름, 둔감한 옷주름선 등에서 도식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조선시대 불상으로 추정된다. 괴산 봉학사지 석조여래좌상 표..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_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_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槐山 鳳鶴寺址 五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76.12.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추정 이 석탑은 기단(基壇)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평평한 돌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1층 몸돌은 2개의 돌로 이루어졌고, 나머지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1층 몸돌은 큰편이고, 2층 몸돌에서 급격히 낮아지다가 5층까지는 비슷한 크기를 유지한다. 각 층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좋지 않고, 지붕돌이 두꺼워진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작품으로 짐작된다. 일제시대에 쓰러졌던 것을 1967년 마을 주민들이 다시 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8호_괴산 삼방리 마애여래좌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_ 괴산 삼방리 마애여래좌상 (槐山 三訪里 磨崖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82.12.17 소재지 : 충북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산55번지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에 있는 불상으로 낮은 연꽃무늬 대좌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민머리 위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있으며, 목에는 3줄의 뚜렷한 삼도(三道)가 있다. 체구는 단아하며 굴곡이 없는 신체에는 양 어깨를 덮은 옷자락과 몇 가닥의 간략한 옷주름이 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리고 왼손은 가슴 앞에서 독특한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식적인 연꽃잎의 형태에서 기술의 한계가 보이지만 앞 시대의 특징이 엿보이는 고려시대의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된다. 괴산 삼방리 마애여래좌상 표지판 괴산..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_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_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槐山 三訪里 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95.06.30 소재지 : 충북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61번지 시 대 ; 고려 초기로 추정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석탑이다. 기단과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고, 특히 탑신의 1층 몸돌 네 면에는 약사여래, 아미타여래, 대일여래, 석가여래상 등의 불상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고, 윗면의 경사가 비교적 급하다.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표지판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남방에 대일여래(비로자나불) 서방에 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6호_제천 신륵사 극락전 현왕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6호 _ 제천 신륵사 극락전 현왕도 (堤川 神勒寺 極樂殿 現王圖) 수 량 : 1점 지정일 : 2020.11.06 소재지 : 충청남도 제천시 월악산로4길 480(덕산면) 시 대 : 1809 제천 신륵사 극락전 현왕도는 사람이 죽어서 3일 후에 받는 심판을 주재하는 현왕여래를 중심으로 묘사한 불화로 대부분의 현왕도가 손에 홀이나 붓을 들고 있는 형상이나 특이하게도 검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화기를 통해 제작년도(1809년)와 제작자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으로 신륵사 극락전 내부 벽화, 후불탱화인 '영산회상도'와 같은 시기에 사불산화파(四佛山畵派) 승려에 의해 제작된 불화이다. 2015.12.13. 제천 신륵사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1호_제천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보살입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1호 _ 제천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보살좌상 (堤川 神勒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과 菩薩坐像) 수 량 : 2구 지정일 : 2020.03.06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로4길 180(덕산면) 시 대 : 조선시대(1730) 도 유형문화재 제132호로 지정된 제천 신륵사 극락전에 모셔진 목불로 1730년에 정행(正幸)이 조성하였다. 전체적으로 좁은 어깨에 긴 허리, 높은 무릎이 날씬한 느낌을 주고 얼굴은 적당히 살이 오른 모습으로 밋밋한 얼굴에 코가 높고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발원문을 통해 제작연대와 작가가 명확하고, 1736년에 만들어진 유형 제217호 제천 백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제천 강천사 목조보살좌상이 동일한 작가의 작품으로서 18세기 제천의 지역의 불상조각의 기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5호_제천 신륵사 극락전 영산회상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5호 _ 제천 신륵사 극락전 영산회상도 (堤川 神勒寺 極樂殿 靈山會上圖) 수 량 : 1점 지정일 : 2020.11.06 소재지 : 충북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로4길 180 시 대 : 조선시대 제천 신륵사 극학전 영산회상도는 석가여래 영축산에서 설법한 장면을 그린 것으로 충북유형문화재 제132호로 지정된 제천 신륵사 극락전에 모셔진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뒤편을 장식한 불화이다. 19세기 초에 조성된 대형 후불도로는 제작 연대가 앞서고 사불산화파(四佛山畵派)의 화풍이 잘 반영되오 있을 뿐 아니라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넘어 활발하게 교류되었던 승려 장인들의 교류 양상을 보여준다. 제천 신륵사 극락전 영산회상도 (堤川 神勒寺 極樂殿 靈山會上圖) 2015.12.13. 제천 신륵사 글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