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2호 _ 이천향교 (利川鄕校)
수량/면적 : 일곽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이천시 창전동 336번지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이천향교는 조선 태종 원년(1401)에 처음 지었으나, 지금 있는 건물들은 조선 후기에 수리한 것이다.특히 동무는 1967년, 서무는 1980년에 새로 지었고 1991년과 1993년에는 명륜당과 담장을 수리하였다.
지대가 높은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서무가 있고,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어 전학후묘의 배치를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반의 규모로,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부리 모양으로 장식한 익공 양식이다. 대성전 내부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대성전 앞쪽 좌우에 있는 동무와 서무는 각각 앞면 3칸·옆면 1칸 크기의 맞배지붕으로, 형태와 구조가 서로 비슷하다.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주변 지형의 구조를 적절히 이용한 배치가 돋보이는 조선 후기 향교이다.
이천향교 (利川鄕校) 표지판
이천향교 (利川鄕校) 표지석
이천향교 (利川鄕校) 전경
이천향교의 배치는 경사진 구릉지에 자리 잡아 전면에 강학공간(講學空間)인 명륜당(明倫堂)을 두고, 후면 높은 곳에 배향공간(配享空間)인 대성전(大成殿)을 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를 하고 있다.
이천향교 (利川鄕校) 홍살문과 외삼문
이천향교 (利川鄕校) 외삼문(外三門)
이천향교 (利川鄕校) 명륜당(明倫堂)
강학공간인 명륜당의 건물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명륜당(明倫堂) 후면
명륜당(明倫堂) 내삼문(內三門)
대성전 앞 동무 서무 전경
동무(東廡)
서무(西廡)
배향공간(配香空間) 전경
이천향교 (利川鄕校)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에는 공자(孔子)를 비롯한 송조(宋朝) 2현(賢)과 아국(我國) 18현(賢) 등 25유현(儒賢)의 위패(位牌)를 모시고 있다.
이천향교 (利川鄕校)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반의 규모로,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부리 모양으로 장식한 익공 양식이다.
이천향교 (利川鄕校) 재실
2012.12.19. 이천향교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문화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개국공신 김사형선생,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7호_익원공 김사형묘역 (0) | 2022.01.06 |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호_양근향교 (0) | 2022.01.02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1호_이천 자석리 석불입상 (0) | 2021.12.21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0호_이평리 석불입상 (0) | 2021.12.20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3호_양평 불곡리 석조여래좌상 (0) | 202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