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문화재자료

조선 개국공신 김사형선생,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7호_익원공 김사형묘역

기리여원 2022. 1. 6. 10:31
반응형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7호 _ 익원공 김사형묘역 (翼元公 金士衡墓域)

 

수  량 : 1基

지정일 : 2001.09.17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49번지

시  대 : 조선 전기

 

김사형(金士衡, 1341~1407)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관으로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장상들과 함께 이성계를 추대해 개국공신(開國功臣) 1등에 봉해졌으며, 상락백(上洛伯)의 작위를 받았다.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 때, 백관을 거느리고 대궐에 가 적장(嫡長)을 후사로 세울 것을 요청해 정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개국공신 중에서는 배극렴(裵克廉) 다음으로 지위가 높았던 고려의 원로 구신(舊臣)이며, 가문이 귀하고 높아 마음이 청고해 이성계가 아꼈다고 한다.

김사형의 묘는 부인 죽산 박씨(竹山朴氏)와 합장된 단분(單墳)이다. 봉분은 6각형으로 호석(護石)을 둘렀으며, 호석은 3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봉분 앞에는 석상, 향로석, 장명등과 문인석 1쌍이 건립되어 있다. 장명등과 문인석은 조선 초기의 양식이며, 6각 호석의 봉분은 특수한 사례이다.

 

 

익원공 김사형묘역 표지판

 

 

익원공 김사형 사당인 낙포재(洛圃齋) 전경

 

 

익원공 김사형 사적비

 

조선개국공신상락부원군(朝鮮開國功臣上洛府院君)

대광보국숭록대부좌정승(大匡輔國崇祿大夫左政丞)

시익원낙포김선생사적비(諡翼元洛圃金先生事績碑)

 

낙포재 출입문인 솟을삼문 청계문(靑鷄門)

 

 

익원공 김사형 영정을 모신 낙포재

 

 

익원공 김사형 영정

 

 

익원공 김사형이 만든 세계지도

 

김사형은 명나라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중국에서 만든 세계지도를 가지고 와서 이무, 이회 등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 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1402년 제작)"를 만들었다.

 

낙포재 답사를 마치고 익원공 김사형 묘역으로 갑니다.

화살표방향으로 가면 만날수 있습니다.

우측에 개한마리가 세상이 떠나가도록 짖어댑니다.(개 조심)

 

이 곳에서 좌측 나무계단으로 올라갑니다.

 

 

익원공 김사형묘역

 

김사형의 묘는 부인 죽산 박씨(竹山朴氏)와 합장된 단분(單墳)이다

김사형의 묘 앞에는 묘표, 신도비, 장명등, 상석(床石) · 향로석이 있으며, 상석좌우에는 문인석 1쌍이 배치되어 있다. 망주석(望柱石)은 보이지 않는다

 

익원공 김사형묘역

 

낙포(洛圃) 김사형(金士衡, 1341~1407)

 

김사형(金士衡, 1341~1407)은 고려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구 안돟(購 安東)이며, 자(字)는 평보(平甫), 호(號) 는낙포(洛圃), 시호는 익원(翼元)이다

 

김방경(金方慶)의 현손으로 대광 김순(金恂)의 증손이자 상락후(上洛后) 김영후(金永煦)의 손자이며 부밀직사사(副密直司事)로 보국숭록대부 영삼사사에 추서된 김천(金蕆)의 아들로서 문하시랑찬성사로 판상서사사와 병조전서를 겸임하였으며 1등 개국공신에 책록되고 이어 문하우시중에 상락백(上洛伯)으로 봉해졌디, 구 안동 김씨(舊 安東 金氏) 익원공파(翼元公派)의 파조(派祖)이다.

 

 

익원공 김사형묘역 묘표

 

상낙부원군익원김공지묘(上洛府院君翼元金公之墓)

마한국대부인죽산박씨부(馬韓國大夫人竹山朴氏祔)

 

익원공 김사형묘역 신도비

 

상낙부원군익원김공지묘(上洛府院君翼元金公之墓)

마한국대부인죽산박씨부(馬韓國大夫人竹山朴氏祔)

 

익원공 김사형묘역 구 묘표

 

 

익원공 김사형묘역 장명등

 

 

익원공 김사형묘역 우측 문인석

 

관복을 입고 홀(笏 : 관리가 임금을 만날 때 손에 쥐던 상아, 나무로 만든막대)을 들고 있는 문인석

 

익원공 김사형묘역 좌측 문인석

 

 

6각형으로 호석(護石)을 둘른 익원공 김사형묘역 

 

 

익원공 김사형묘역 앞 상석 · 향로석

 

 

김사형묘역 아래 묘역

 

2022.01.02.일요일,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익원공 김사형묘역

글 문화재청, 위키백과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