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문화재자료 제85호 _ 정창손 묘역 석물 (鄭昌孫 墓域 石物)
수 량 : 일괄(7점)
지정일 : 1994.04.20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양서면 부용리 산37-1번지
조선 세조와 성종간의 문신인 정창손(鄭昌孫, 1402∼1487) 선생의 묘역이다. 정창손은 1455년(세조 1)에 좌익공신에 올랐다. 봉분은 부인 청주 정씨(淸州鄭氏)와 합장한 하나의 봉분이고 둘레석은 현대의 것이다. 봉분의 정면 오른쪽에 묘표가 2기 있는데, 1기는 정창손, 다른 1기는 청주 정씨의 묘표이다. 청주 정씨의 묘표는 하엽수방부형(荷葉首方趺形; 뒤집은 연잎을 장식한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으로 연엽의 조각이 깊고 명확한 15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형식이다. 정창손 묘표는 원수방부형(圓首方趺形; 둥근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으로 16세기 전반기의 형태이다. 문석인은 총 2쌍인데, 모두 복두공복형(幞頭公服形; 머리에는 복두를 쓰고, 공복을 입은 문신의 형태)이다. 모두 기둥형의 단순한 신체에 평면적인 조각을 보인다. 묘역 입구에는 신도비가 있는데, 원래 있던 것은 서거정이 찬한 것으로 1504년에 파손되었고, 그후 1623년에 다시 건립하였다. 비문은 한준겸이 서거정의 비문에 추서하여 찬술하고, 심열이 썼다. 그 외 장명등, 석양 등은 현대에 추가한 것이다.
이 묘역은 사육신과 단종복위, 갑자사화 등 여러 역사적 사실과 연관되어 있는 의미 깊은 무덤이다. 역사적 사건으로 말미암아 묘역의 석물이 철거되고 개장되면서 다시 세워진 사연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크다
정창손 묘역 석물 표지판
정창손 묘역 사당 겸 재실인 충정사(忠貞祠)
충정사(忠貞祠)
정창손 新 신도비
정창손 묘역 전경
정창손 묘역 전경
정창손 신도비각
정창손 舊 신도비
묘역 입구에는 신도비가 있는데, 원래 있던 것은 서거정이 찬한 것으로 1504년에 파손되었고, 그후 1623년에 다시 건립하였다. 비문은 한준겸이 서거정의 비문에 추서하여 찬술하고, 심열이 썼다
정창손 묘역으로 올라가는 나무계단
정창손 묘역 석물
조선 전기의 문신인 정창손 선생의 묘역에 있는 석물이다
정창손의 묘는 부인 청주 정씨(淸州鄭氏)와 합장된 단분(單墳)이다
정창손의 묘 앞에는 묘표 2기, 혼유석 · 상석(床石) · 향로석, 장명등이 있으며, 상석좌우에는 문인석 2쌍, 망주석(望柱石) 1쌍, 동물석(양) 1쌍이 세워져 있다.
정창손 묘역 석물
동산(東山)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효중(孝仲). 호는 동산(東山),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정양생(鄭良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성부윤 정부(鄭符)이고, 아버지는 중추원사(中樞院使) 정흠지(鄭欽之)이며, 어머니는 최병례(崔丙禮)의 딸이다. 좌참찬 정갑손(鄭甲孫)의 아우이다.
정창손(1402∼1487)은 세종 8년(1426) 문과에 급제하여, 세조 때부터 성종에 이르는 15년간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좌익공신·익재공신·좌리공신 등 여러 공신에 책봉되었으며, 중종 때에는 청백리에 선정되었었고,『고려사』, 『세종실록』 등 각종 편찬사업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정창손 묘역 석물
봉분의 정면 오른쪽에 묘표가 2기 있는데, 1기는 정창손, 다른 1기는 청주 정씨의 묘표이다.
정창손 묘역 신묘표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봉(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蓬)
원부원군겸령경연증시충정공지묘(原府院君兼領經筵贈諡忠貞公之墓)
배군부인정경부인청주정씨부우(配郡夫人貞敬夫人淸州鄭氏祔右)
정창손 묘역 묘표
정창손 묘표는 원수방부형(圓首方趺形; 둥근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으로 16세기 전반기의 형태이다. 문석인은 총 2쌍인데, 모두 복두공복형(幞頭公服形; 머리에는 복두를 쓰고, 공복을 입은 문신의 형태)이다.
정찬손 부인 청주 정씨 묘표
청주 정씨의 묘표는 하엽수방부형(荷葉首方趺形; 뒤집은 연잎을 장식한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으로 연엽의 조각이 깊고 명확한 15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형식이다.
정창손 묘역
정창손 묘역 혼유석 · 상석 · 향로석
정찬손 묘역 앞 장명등
정창손 묘역 우측의 문인석(大)
문석인은 총 2쌍인데, 모두 복두공복형(幞頭公服形; 머리에는 복두를 쓰고, 공복을 입은 문신의 형태)이다.
정창손 묘역 우측의 문인석(小)
정창손 묘역 우측의 동물석(양)
정창손 묘역 좌측의 문인석(大)
정창손 묘역 좌측의 문인석(小)
정창손 묘역 좌측의 동물석(양)
정창손 묘역 전경
2022.01.02.일요일, 양평군 양서면 부용리, 정창손 묘역
글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문화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5호_김취려 묘 (0) | 2022.01.26 |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_철종외가 (0) | 2022.01.20 |
조선 개국공신 김사형선생,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7호_익원공 김사형묘역 (0) | 2022.01.06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호_양근향교 (0) | 2022.01.02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2호_이천향교 (0) | 2021.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