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문화재자료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호_양근향교

기리여원 2022. 1. 2. 19:47
반응형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호 _ 양근향교 (楊根鄕校)

 

수량/면적 : 일곽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옥천면 옥천리 817-1번지

 

향교(鄕校)는 조선 시대 지방에 세운 공립 교육 기관으로, 중국 춘추 시대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여러 성현(聖賢)들의 제사를 지내고, 지방 사람들을 교육하는 곳이다.

향교는 공자를 모시는 대성전(大成展)과 선현을 모시는 동무ㆍ서무(東廡ㆍ西廡), 학생들의 강학소인 명륜당(明倫堂)과 그들이 기숙하는 동재ㆍ서재(東齋ㆍ西齋)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양근 향교’는 중종 때 지었으나, 새로 고쳐, 세우거나 보수하여 그 형태가 많이 바뀌어 있다.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를 배치하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두어, 앞에는 학문하는 공간, 뒤에는 제사하는 공간을 두고 있다. 이 지역 대부분의 향교가 동재·서재를 명륜당 앞으로 배치하는 것과 달리, 양근향교는 명륜당 뒤쪽으로 동재·서재를 두어 다른 향교들과 구별된다. 대성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人(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동무·서무는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에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되어있다. 명륜당은 앞면 4칸, 옆면 2칸으로, 동쪽 1칸은 온돌로 되어있다. 기숙사인 동재·서재는 각각 앞면 4칸, 옆면 1칸 규모에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되어있다.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있다.

 

 

양근향교 표지판

 

 

양근향교 표지석

 

 

양근향교 홍살문

 

 

양근향교 주 출입문

 

 

양근향교 기적비 (楊根鄕校 紀蹟碑)

 

 

명륜당 전경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를 배치하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두어, 앞에는 학문하는 공간, 뒤에는 제사하는 공간을 두고 있다.

건물형태는 앞쪽에 강학공간인 명륜당, 뒤쪽에 배향공간인 명륜당이 위치한 전학후묘(저前學後廟)의 형태이다.

 

유생들의 강학공간인 명륜당(明倫堂)

 

명륜당의 건물규모는  앞면 4칸, 옆면 2칸으로, 동쪽 1칸은 온돌로 되어있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목조건축물이다.

 

명륜당(明倫堂) 좌측면

 

 

명륜당 뒤에 배치한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

 

이 지역 대부분의 향교가 동재·서재를 명륜당 앞으로 배치하는 것과 달리, 양근향교는 명륜당 뒤쪽으로 동재·서재를 두어 다른 향교들과 구별된다

 

명륜당 뒤에 배치한 유생들의 기숙사인 서재

 

 

양근 향교 내삼문

 

 

양근향교 동무 · 서무

 

 

양근 향교 서무

 

 

양근향교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에는 5(五聖), 송조2(宋朝二賢), 우리 나라 18(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대성전 좌측면

 

대성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人(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대성전 우측면

 

 

대성전 후면

 

 

양근향교 전경

 

2022.01.01.토요일, 양평군 옥천면 옥천리, 양근 향교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