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문화재자료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7호_화도돈대

기리여원 2022. 2. 1. 14:29
반응형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7호 _ 화도돈대 (花島墩臺)

수량/면적 : 1곽/1,263㎡
지정일 : 1999.03.29
소재지 : 인천 강화군 선원면 연리 54번지

 

돈대는 해안가나 접경 지역에 쌓은 소규모 관측·방어시설이다.
병사들이 돈대 안에서 경계근무를 서며 외적의 척후 활동을 비롯한 각종 수상한 정황을 살피고 대처한다. 적이 침략할 때는 돈대 안에 비치된 무기로 방어전을 펼친다. 1679년(숙종 5) 5월에 완성된 48돈대에 이후 5개 돈대가 추가로 지어졌다. 48돈대는 황해도·강원도·함경도 승군 8,900명과 어영청 소속 어영군 4,262명이 80일 정도 걸려서 쌓았다. 돈대 축조를 기획하고 감독한 이는 병조판서 김석주였고 실무 총괄은 강화유수 윤이제였다. 화도돈대는 1679년(숙종 5)에 쌓은 48돈대 가운데 하나로 오두돈대·광성돈대와 함께 광성보에 속했다. 원래는 화도보 소속이었으나, 1710년(숙종 36)에 화도보가 폐지되면서 광성보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방형 구조로 둘레가 129m이다

 

 

 화도돈대 표지판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화도돈대

 

2022.01.31.월요일, 강화군 선원면 연리, 화도 돈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