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조 78-7> _ 송수련(宋秀璉, 1945 ~ , 서울), 1978, 종이에 색,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1970년대 초부터 반추상적 작품을 시도하던 송수련( 宋秀璉, 1945 ~ )은 1974년 안상철의 제자들이 '새로운 감각의 현대 동양화'를 내세우고 결성한 '현대화회'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재료 실험을 통한 추상적인 동양화를 선보였다. 1970년대 중반 황톳빛이 주조를 이루며 종이 보풀의 거친 질감이 도드라졌던 송수련의 작품은 "향토가 경험해 온 기억의 표정"내지는 "태고의 정적이 배어 있는 희붉은 무기질과의 대화"에 빠져들게 한다는 평을 받았다. <관조 78-7> 는 송수련에게 1978년 제27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비구상부분 문화공보부장관상을 안겨 준 작품이다. 작품의 주된 요소인 반복되는 가로줄에 대해 작가는 아파트 창문에 쳐 놓은 발 사이로 새어 들어온 빛이 널어놓은 아이의 하얀 기저귀에 비친 광경을 보고 솟아난 정감을 표현하기 위해 도입하였다고 말한다. 추상의 조형 언어를 탐구하는 바탕에는 이 같은 일상적 삶과 결합한 이미지가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관조 78-7> _ 송수련(宋秀璉, 1945 ~ , 서울)
2025.02.01,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_수묵별미 : 한 · 중 근현대 회화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고(乃古) 박생광(朴生光)의 <제왕> (1) | 2025.02.21 |
---|---|
오당(吾堂) 안동숙(安東淑)의 <태고의 정 Ⅰ> (1) | 2025.02.19 |
정종미(鄭鐘美)의 <보자기 부인> (1) | 2025.02.16 |
고암(顧菴) 이응노(李應魯)의 <구성> (1) | 2025.02.14 |
석철주(石鐵周)의 <외곽지대> (2)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