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 55

소호(小湖) 김응원(金應元)의 <석란도>

_ 소호(小湖) 김응원(金應元. 1855~1921년), 조선 19세기 후반~20세기 초, 종이에 먹, 28×103cm, 청허(淸虛) 소장 김응원은 1911년 근대적 미술학원인 서화미술관(書畵美術館) 강습소가 개설되면서 조석진(趙錫晉, 1853~1920) · 안중식(安中植, 1861~1919)과 함께 지도 교사진으로 묵란법(墨蘭法)을 가르쳤다. 또한 서화협회(書畵協會)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측근에서 대필화가로도 활동하였으며, 조선 말기를 풍미했던 흥선대원군의 석파란법을 직접 계승한 묵란 화가이기도 도 한다. 이 작품은 바위 사이에 피어난 난초를 그린 것으로 김응원은 이와 같은 석란도를 즐겨 그렸다. 난잎의 유연한 운동감과 파격적인 꺽임, 먹을 덧칠하여 변화를 주는 방식과 먹물이 번지게 하는..

카테고리 없음 2024.04.08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3호_간재선생 유지, 계양서원 향사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3호 _ 간재선생 유지 (艮齋先生 遺址)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74.09.27 소재지 : 전북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 8번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전우(1841∼1922)선생이 학문을 연구하던 곳이다. 선생은 임헌회 문하에서 20년간 학문을 배웠으며, 고종 19년(1882) 벼슬에 올랐으나 곧 사임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1910년 국권이 일제에 강탈되자 선생은 통분해하며 스스로 귀향하여 도학으로 국권을 회복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의병을 일으키지 않고 도학만을 이야기한다고 하여 지탄을 받기도 하였다. 1922년까지 이곳에서 도학을 가르치며 항일정신을 고취하여 민족정기를 진작하는데 일생을 바쳤다. 전우 선생의 성리학적 연구 업적은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유..

개양할머니의 마을 공동 신앙소 부안 수성당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58호 _ 수성당 (水聖堂 / 水城堂) 수 량 : 1동 지정일 : 1974.09.27 소재지 : 전북 부안군 변산면 적벽강길 54 (격포리) 서해를 다스리는 바다의 여신과 그의 딸 8자매를 함께 모신 제당이다. 전설에 따르면 바다의 여신은 우리나라의 각 도에 한 명씩 딸을 시집보내고 막내딸만을 데리고 살면서, 서해의 깊이를 재어 어부들의 생명을 보호해 준다고 한다. 조선 순조 4년(1804)에 지어진 것으로 알려진 이 건물은 수백 년을 이어온 제당으로 1칸 규모의 기와집이다. 해마다 정월 대보름에 격포 마을에서는 3가지 색깔의 과실과 술·과일·포 등의 간단한 제물을 차려놓고 풍어(豊漁)와 무사고를 비는 제사를 정성껏 올린다. 수성당 표지판 수성당 표지석 수성당 (水聖堂) 전면 ..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17호_쌍조석간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17호 _ 쌍조석간 (雙鳥石竿) 수 량 : 1기 지정일 : 1983.08.24 소재지 : 전북 부안군 계화면 대벌리 413번지 시 대 : 조선 영조 25년(1749) 대벌 마을 입구에 서 있는 높이 360㎝의 돌기둥으로, 이 마을의 당산이다. 당산은 신이 있다고 믿는 민간신앙의 대상물로, 이 지방에서는 마을의 평안과 풍농·풍어 등을 기원하고, 병과 재앙을 막아주며, 자손의 번창을 도와주는 마을 공동신이 되고 있다. 굵직한 돌기둥 위로는 두 마리의 새를 조각하여 올려놓았다. 새를 얹어 두는 것은 새의 활동영역이 하늘·땅· 물 등으로 광범위하여 신과 인간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 믿는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 마을의 당산제는 정월 초사흗날 밤에 성대하게 거행되는데, 당산에 멍석으..

부안 실상사지, 실상사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77호 _ 부안 실상사지 (扶安實相寺址) 면 적 : 1,696㎡ 지정일 : 1986.09.09 소재지 : 전북 부안군 변산면 실상길 122 (중계리) 내변산 천왕봉 아래 있었던 실상사터이다. 실상사는 통일신라 신문왕 9년(689)에 초의선사가 세운 절로 조선시대에 양녕대군이 고쳐지었다고 전하나 한국전쟁으로 불타버렸다. 내변산의 4대 사찰 중의 하나였고, 현재는 절터 내에서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기와조각이 출토되고 있으며, 고승의 사리나 유골을 넣어두던 둥근 돌탑의 석조부도가 3기 남아있다. 3기의 부도 중 2기는 종 모양으로 비교적 양호한 상태이다. 부안 실상사지 표지판 부안 실상사지 표지판 변산반도국립공원 내변산 분소 여기에서 10분만 직진해서 가면 실상사지가 나옵니다. 예전..

기념물 2024.04.05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1호_용화사 미륵불입상, 용화사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71호 _ 용화사 미륵불입상 (용화사미륵불입상) 수 량 : 1구 지정일 : 1999.07.09 소재지 : 전북 부안군 행안면 역리 336-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전라북도 부안군 용화사 뒷편 야산에 있는 높이 4.5m 정도의 석불입상으로, 미래세계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부처를 표현한 작품이다. 백제 의자왕 2년에 묘련선사가 미륵사를 창건하고 미륵석불입상을 만들었다고 하나 불상의 양식을 볼 때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불상은 전체적으로 머리 부분을 크게 하고 하체를 빈약하게 처리하였다.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는 잔잔한 미소를 머금고 있으며, 귀가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는 모습이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쳐 입고 있으며, 두 손이 모아지는 가슴 아래부분까지 V자형의..

천연기념물 제122호_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 군락

천연기념물 제122호 _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 군락 (扶安 道淸里 호랑가시나무 群落) 면 적 : 2,414㎡ 지정일 : 1962.12.07 소재지 : 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산16번지 호랑가시나무는 감탕나무과에 속하며 사시사철 잎이 푸른 나무로 변산반도가 북쪽 한계선이다. 주로 전남 남해안과 제주 서해안에서 자라고 있다. 잎 끝이 가시처럼 되어 있어서 호랑이의 등을 긁는데 쓸만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호랑이등긁기나무, 묘아자나무라고도 한다. 열매는 9·10월에 빨갛게 익는데, 겨울철에 눈속에서도 붉은 빛을 띠어 관상수로서 제격이며, 성탄절 장식으로도 많이 사용한다. 부안 도청리의 호랑가시나무 군락은 도청리의 남쪽 해안가 산에 50여 그루가 듬성듬성 집단을 이루어 자라고 있다. 나무들의 높이는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