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물/충청남도 59

충청남도 기념물 제28호_홍성 지석묘

충청남도 기념물 제28호 _홍성지석묘 (洪城支石墓) 수량/면적 : 4기(60㎡) 지정일 : 1982.08.03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 태봉리 389 시 대 : 선사시대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홍성군 구항면·은하면에 분포하고 있는 이 고인돌은 탁자식으로 모두 4기이다. 구항면 태봉리에 있는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 중 1개가 빠져 나간 상태이고, 나머지 3개는 약간 무너졌으나 비교적 양호한 편..

은행나무와 느티나무가 어우러진 상생의 조화, 예산 대흥향교 은행나무

충청남도 기념물 제160호 _ 예산 대흥향교 은행나무 (禮山 大興鄕校 은행나무) 수량/면적 : 1주(3,463㎡) 지정일 : 2002.08.1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교촌향교길 88 (교촌리) 예산 대흥향교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수령 약 600여년의 은행나무로서 원줄기의 중앙 분지 위에 느티나무가 뿌리를 내려 성장, 공생하고 있는 특이한 경우이다. 수형이 장엄하며, 약 300여년 전부터 성황제를 거행하여 오는 등 민속적인 측면과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보존가치가 크다. 지상에서 3m지점에서 4개의 가지가 분지되었고, 수형이 평정형을 이루며 웅장하고 장엄하다. 분지된 곳의 중앙에 수령 약 100년 정도의 느티나무(직경 30㎝)가 뿌리를 내려 공생하고 있어 마치 한 그루처럼 보이는 특이한 형태를 이루고..

충청남도 기념물 제100호_청양 도림사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100호 _ 청양 도림사지 (靑陽 道林寺址) 면 적 : 12,545㎡ 지정일 : 1996.02.27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장평면 적곡리 667외 3필 칠갑산의 남향한 언덕 계곡 쪽으로 있는 도림사 터이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도림사는 고려시대의 사찰이었던 것으로 짐작되며, 주변에서 발견되는 기와조각으로 보아 조선시대까지는 맥을 이어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 내에는 도림사지삼층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7호)과 석불입상 1구가 상반신이 파손된채 남아있는데,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1973년 해체 수리시에 발견된 기와와 사리구는 국립부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청양 도림사지 표지판 이 곳에 주차를 하고 칠갑산 정상으로 가는 등산로로 600m 오르면 도림사지를 만날 수..

충청남도 기념물 제133호_청양 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33호 _ 청양향교 (靑陽鄕校) 면 적 : 10,830㎡ 지정일 : 1997.12.2 소재지 : 충남 청양군 청양읍 교월리 34-1번지 소유자(소유단체) : 충청남도향교재단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청양향교를 처음 지은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전기 이곳에 이미 향교와 문묘가 있었다고 전한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들은 조선 중기 이후의 것으로 고종 11년(1874)과 1904년 등 여러 차례 수리하였다. 경내에는 제사지내는 공간인 대성전,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명륜당,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관리사 등의 건물이 있다. 대성전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

충청북도 기념물 제149호_이시진 묘소, 이시진 효자각

충청북도 기념물 제149호 _ 충주 이시진 묘소 (忠州 李時振 墓所) 수량/면적 : 1원(묘역 3,200㎡) 지정일 : 2010.12.10 소 재 지 : 충주시 동량면 대전리 산17-1 이시진(1578∼1633)은 조선시대 「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 기록된 효자로서 국가로부터 정려를 받은 인물이다. 이시진 묘소(李時振 墓所)는 17세기 전반부터 20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전주이씨 임영대군 효자공파 6세손인 이시진 묘부터 13세손인 이명규 묘까지 조성되어 있다. 墓域은 구릉의 능선을 따라 李時振 墓, 李晩栽(이시진의 장자) 墓, 李世彦(이만재의 장자) 墓, 李億齡(이세언의 장자) 墓, 李顯昌(이억령의 장자) 墓, 5대에 걸친 직계 장손들의 묘소가 차례로 조성되어 있다. 李鶴齡(이세언의 차자) 墓, 李濟弘 墓,..

충청남도 기념물 제90호_도응선생묘일원

충청남도 기념물 제90호 _ 도응선생묘일원 (都膺先生墓一圓) 수량/면적 : 15,188㎡(2필) 지정일 : 1993.11.12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응봉면 계정길 9-20, 외 2필 (지석리) 소유자 : 성주도씨청송당종중 고려 후기의 충신 청송당 도응 선생과 그의 손자인 순손(順孫)의 묘이다. 고려 우왕 때의 문인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문하찬성사에 올랐다. 태조가 조선을 세우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의를 지켜 벼슬을 버리고 홍주(지금의 홍성)에 숨어살았다. 후에 태조가 옛 친구의 정을 생각하여 다섯 번이나 벼슬을 내리고 불렀으나 모두 거절하였다. 태조가 그의 충성과 절의를 아름답게 여겨 청송당이라는 호를 내렸다. 묘의 형태는 각각 원형으로 그 사이에 비석이 서 있다. 비석을 세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

충청남도 기념물 제177호_예산여사울이존창생가터, 여사울 성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177호 _ 예산여사울이존창생가터 (禮山여사울李存昌生家攄) 면 적 : 1213 지정일 : 2008.12.22 소 재 지 : 신암면 신종리 105-3외 2필지 초기 내포지역 천주교 전파의 거점이었던 여사울은 충청도 지역교회 창설의 요람으로 ‘충청도의 사도’라고 불린 이존창의 생가터가 있다. 이존창은 스스로 충청지방 천주교 신자들의 지도자임을 자인하고 내포지역에서 포교활동을 하였다 1795년 체포되어 정약종 등과 함께 사형선고를 받아 공주 황새바위에서 참수형을 당하는 등 초기 천주교 전파의 대표적 유적지로 알려져 있다. 여사울 성지 표지판 예산여사울이존창생가터 표지석 예산여사울이존창생가터 內浦의 使徒 이존창 遺蹟碑 예산여사울이존창생가터 예산여사울이존창생가터 예산여사울이존창생가터 예산여사울이..

충청남도 기념물 제137호_덕산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37호 _ 덕산향교 (德山鄕校) 면 적 : 2,110㎡ 지정일 : 1997.12.23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덕산향교길 88-34 (사동리)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덕산향교를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인조(재위 1623∼1649) 때 세운 것으로 전한다. 대성전은 숙종 8년(1682)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1987년에 다시 한번 보수했다. 건물 배치는 외삼문 없이 앞쪽에 바로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어 전학후묘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안쪽에는..

독립운동가 이종일선생 생가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85호 _ 이종일선생 생가지 (李鍾一先生 生家址) 면 적 : 3,183㎡ 지정일 : 1990.12.31 소재지 : 충청남도 태안군 옥파로 199-7 (원북면, 옥파이종일 생가지) 시 대 : 조선시대 일제시대 독립운동가였던 이종일(1858∼1925)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선생은 기미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의 한 분으로 박영효와 함께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오고, 광무2년(1898) 한국 최초의 한글신문을 창간하고 1908년 대한황성신문 사장에 취임하여 민중을 계몽하고 일본의 침략정책을 공격하였다. 1925년 3월에 6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떴는데 1962년 3월 1일 건국공로훈장 복장을 수여받았다. 생가는 ㄴ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는 초가로 1986년 복원하였다. 남쪽으로부터 건넌방·대청·윗방..

충청남도 기념물 제136호_대흥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36호 _ 대흥향교 (大興鄕校) 면 적 : 3,464㎡ 지정일 : 1997.12.23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대흥면 교촌향교길 88 (교촌리)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대흥향교는 조선 태종 5년(1405)에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건물 배치는 앞쪽에 교육 공간으로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어 전학후묘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짠 익공 양식으로 꾸몄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학생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