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문화재자료 504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70호_충절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70호 _ 충절사 (忠節祠)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장기면 월성리 239번지 시 대 : 2년(1851) 이명성과 이명덕(1373∼1444) 형제의 학행을 기념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곳이다. 이명성은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끝까지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절개를 지킨 고려 유신인 두문동 72현 중 한 사람이다. 이명덕은 고려말∼조선초 문신으로 호는 사봉이다. 예문춘추관, 좌부대언 등을 지냈고 세종이 즉위하자 이조참판, 병조참판 등 많은 벼슬을 지냈다. 70세에 벼슬에서 물러났으며 후에 우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원래는 성종 때 충남 연기군 명탄에 세웠던 충절사라는 사당인데, 명탄서원이라고도 불렸다. 선조 18년(1585)에 서원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18호_홍진도선생영정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18호 _ 홍진도선생영정 (洪振道先生影幀) 수 량 : 2점 지정일 : 1990.12.31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429-13 (삼룡동, 천안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 조선 중기의 문신인 홍진도(1584∼1647) 선생의 초상화 2폭으로, 전신상 1폭과 얼굴초상 1폭이다. 홍진도는 조선 인조의 외종 사촌으로, 공조좌랑 ·공주목사 ·판중추부사 등을 지내었다. 전신상은 오른쪽을 바라보며 호랑이 가죽이 깔린 의자에 앉은 모습으로, 머리에는 사모를 쓰고 자주색 비단의 관복을 입고 있다. 가슴에는 두 마리의 학과 구름무늬를 둔 흉배가 표현되어 있고, 관대를 둘렀다. 얼굴 초상은 전신상 중에서 얼굴 부분만 따로 옮겨 그린 것으로 보인다. 전형적인 조선 중기의 공신도 모습이..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호_평택향교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호 _ 평택향교 (平澤鄕校) 수량/면적 : 일곽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평택시 팽성읍 부용로17번길 40 (객사리) 향교(鄕校)는 조선 시대 지방에 세운 공립 교육 기관으로, 중국 춘추 시대의 학자인 공자(孔子, B.C.551년-B.C.479년)와 여러 성현(聖賢)들의 제사를 지내고, 지방 사람들을 교육하는 곳이다. 향교는 공자를 모시는 대성전(大成展)과 선현을 모시는 동무ㆍ서무(東廡ㆍ西廡), 학생들의 강학소인 명륜당(明倫堂)과 그들이 기숙하는 동재ㆍ서재(東齋ㆍ西齋)로 구성되어있다. 그 이외에도 재사(齋祠)를 관장하는 전사청 등이 있다. ‘평택 향교’는 1413년에 지었고, 1445년에 증설되었다.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년-1637년에 일어난 조선과 청나..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호_홍학사비각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호 _ 홍학사비각 (洪學士碑閣) 수 량 : 1동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평택시 팽성읍 본정리 322번지 홍학사 비각은 조선 인조 때의 문신인 홍익한(洪翼漢, 1586년-1637년)과 병자호란[丙子胡亂 ; 1636년-1637년에 일어난 조선과 청나라의 싸움] 때 정절을 지켜 죽은 그의 가족들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내려진 비석을 보호하고 있는 건물이다. 홍익한은 ‘삼학사’[三學士 ; 홍익한·윤집(尹集)·오달제(吳達濟)]의 한 사람으로 중국 청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하여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인물이다. 흥학사 비각에는 ‘褒義閣(포의각)’이라 쓰인 현판이 걸려있는데, 이는 "의를 기리고 칭찬한다"는 뜻이다. 비각은 4면이 모두 홍살[(紅살) ; 대문이나 문위에 만들어 ..

성리학의 대가인 조익선생묘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84호 _ 조익선생묘 (趙翼先生墓) 면 적 : 97,887㎡ 지정일 : 1987.12.3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양면 신양리 산33-1번지 조선 후기의 문신인 포저(浦渚) 조익(1579∼1655) 선생의 묘이다. 선조 35년(1602)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을 지냈으며 광해군 3년(1611)에는 이언적·이황 등을 문묘에 배향할 것을 주장하다가 고산도찰방으로 좌천되었고, 이어 웅천 현감이 되었다. 1613년 인목대비가 폐비가 되자 벼슬을 그만두고 충청도 신창 도고산 아래 초가를 짓고 학문연구에 몰두하였다. 그로 인하여 예산과 인연이 맺어진 것으로 묘소가 예산 신양면에 있다. 1623년 인조가 즉위하자 맨 먼저 기용되어 이조좌랑이 되었고, 김육과 함께 대동법을 확대·시행하는데..

예산이 낳은 독립운동가 김한종의사 생가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3호 _ 김한종의사 생가지 (金漢鍾義士生家址) 면 적 : 1,018㎡ 지정일 : 1996.11.30 소재지 : 충남 예산군 광시면 신흥리 70번지 독립운동가인 일우 김한종 의사가 태어났던 집이다. 김한종(1883∼1921) 의사는 의병장 민종식의 밑에서 의병을 모집하는 역할을 한 김재정의 큰아들이다. 1915년 박상진 등과 함께 대구에서 무장독립 비밀결사인 광복회를 조직하고, 충청도지부장으로 임명되어 총사령 박상진과 더불어 각지의 부자들에게서 국권회복운동의 자금을 거두는 등 독립운동에 크게 활약하였다. 1918년 광복회 조직이 발각되어 그해 1월 28일 일본경찰에 붙잡혔고, 1921년 8월 11일 박상진과 함께 처형되어 순국하였다. 김한종의사 생가지 표지판 김한종의사 생가지 (金..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9호_신천서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9호 _ 신천서원 (新川書院) 수 량 : 2동 지정일 : 1985.08.05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예천읍 왕신1리길 151 (왕신리) 맹암 김영렬(?∼1404)의 유지를 받들고 후손을 교육시키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김영렬은 조선 전기 무신이다. 정종 2년(1400)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태종을 왕위에 오르게 한 공으로 태종 1년(1401) 익대좌명공신 3등에 오른다. 태종 4년(1404) 참판승추부사로 있을 때 왜선 1척을 싸워 빼앗고 왜병을 포로로 잡은 공을 세웠다. 후에 우의정에 증직되었다. 신천서원은 1945년에 세운 건물로 왕신평야가 내려다 보이는 솔 숲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서원 안에는 제사 공간인 경훈사와 교육 공간인 강당, 남덕문(覽德門), 출입문 등..

진위향교,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0호_진위향교 대성전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0호 _ 진위향교 대성전 (振威鄕校 大成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83.09.19 소재지 : 경기 평택시 진위면 진위로 49 (봉남리) 향교(鄕校)는 조선 시대 지방에 세운 공립 교육 기관으로, 중국 춘추 시대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여러 성현(聖賢)들의 제사를 지내고, 지방 사람들을 교육하는 곳이다. 향교는 공자를 모시는 대성전(大成展)과 선현을 모시는 동무ㆍ서무(東廡ㆍ西廡), 학생들의 강학소인 명륜당(明倫堂)과 그들이 기숙하는 동재ㆍ서재(東齋ㆍ西齋)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진위 향교’는 조선 초기에 처음 지었다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년-1637년에 일어난 조선과 청나라의 싸움) 때 모든 건물이 불타 없어진 후, 여러 차례 보수되었고 19세..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1호_평택 서천사 석조여래좌상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1호 _ 평택 서천사석조여래좌상 (平澤暑天寺石造如來坐像) 수 량 : 1軀 지정일 : 2007.09.03 소재지 :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방축리 103-1 서천사 미륵전 내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말기의 불상이다. 불상은 얼굴과 신체 전면에 호분(胡粉)을 짙게 발라 원형을 알아보기 어렵다. 게다가 가슴 밑으로는 불단에 가려 상체만 확인할 수 있다. 판처럼 납작한 신체에는 볼륨감이 전혀 없으며 얼굴 역시 넓적하고 평면적이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매우 크다. 정수리에는 육계(肉髻;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가 크고, 육계 위의 원형 정상 계주(髻珠; 머리를 장식한 보석)와 머리 중앙의 반원형 계주가 있다. 이마가 좁은 얼굴에는 중앙에 기다란 삼각형의 코가 자리하고 코 중간 쯤에 가늘게 뜬 눈..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33호_예천 무이리 청원정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33호 _ 예천 무이리 청원정 (醴泉 武夷里 淸遠亭) 수량/면적 : 1동/300 지정일 : 2008.02.18 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군 외무길 30-21 (용궁면, 청원정) 소유자(소유단체) : 용궁전씨대종회 축산부원군 호 국파 전원발 성생은 고려 충숙왕 때인 1315년에 과거에 장원급제하였고 또 원나라에서 고려의 인재를 선발하는데에 발탁되어 벼슬이 금자광록대부, 병부상서 겸 집현전태학사에 이르렀다. 공께서 원나라 순제에게 상주한 혜택으로 원나라에 바치던 조공을 삭감하게 되었고 그 혜택은 조선조에까지 이어졌다. 청원정은 공이 만년에 건립하여 유유자적하던 곳인데 1918년 향의에 따라 다시 세웠다. 정내에는 퇴계선생시가 있고 정자 곁에 있는 석벽에는 공의 벗인 척약재 김구용 공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