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1626

보물 제1147-2호_묘법연화경 권1~2

보물 제1147-2호 _ 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一~二) 수 량 : 2권 2책 지정일 : 2008.03.12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번지 수덕사 성보박물관 시 대 : 1470년 이 책은 1470년(성종 원년) 4월에 세조의 왕비인 정희대왕대비가 발원하여 돌아가신 세조, 예종, 의경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묘법연화경 7권 가운데 권 1~2 이다. 이 책은 권돈일, 고말종, 장막동, 우인수, 최금동, 이영산, 최덕산 등 당대의 일류 각수(刻手)들에 의해 이루어져 새김이 매우 정교하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된 법화경은 대부분 계환의 해석이 붙어 있는 것을 사용하였는데, 이때 새긴 법화경은 천도의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원문만 새긴 것이다. 이와 같은 판본으로 기 지정되어 있는 중 ..

문화재/보물 2023.10.23

보물 제2123호_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

보물 제2123호 _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 (長城 白羊寺 阿彌陀如來說法圖 및 腹藏遺物) 수 량 : 불화 1폭, 복장유물 6건 10점 지정일 : 2021.04.21 소재지 :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사로 450 (불갑면, 불갑사성보박물관) 시 대 : 1775년(영조 51)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1775년(영조 51) 수화승 색민(嗇敏)을 비롯한 총 11명의 화승들이 참여해 제작한 불화로, 1775년 극락전 아미타불상을 중수하면서 새롭게 제작된 작품으로, 1994년 9월에 도난당했으나 2006년 9월 회수되었다. 대시주 겸 화주(化主)인 환월당 민숙(喚月堂 旻肅)이 외조모 유씨 부부와 어머니 봉씨 부부의 극락왕생을 기원할 목적으로 발원할 것으로, 복장발원문에 ‘불상개금 백월당개금..

문화재/보물 2023.10.14

보물 제2180호_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

보물 제2180호 _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 (咸安 末伊山 四十五號墳 出土 象形陶器 一括) 수 량 : 5점 지정일 : 2022.10.26 소재지 : 경상남도 함안군 고분길 153-31 (가야읍, 함안박물관) 시 대 : 5세기 전반 소유자 : 국유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은 집모양 도기 2점, 사슴모양 뿔잔 1점, 배모양 도기 1점, 등잔모양 도기 1점 등 총 5점으로 구성된 일괄 출토품이다. 삼국시대 고분에서 이렇게 여러 점의 상형도기가 세트를 이뤄 정식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고고학적 의의가 큰 유물이다. 각각의 도기는 형태와 제작 기법 등에서 가야인들의 독특한 문화를 보여준다. 집모양 도기와 배모양 도기의 경우 형태와 구조적 측면에서 ..

문화재/보물 2023.06.11

보물 제636호_도기 서수형 명기

보물 제636호 _ 도기 서수형 명기 (陶器 瑞獸形 明器) 수 량 : 1개 지정일 : 1978.12.07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 신라시대(5∼6세기) 도기 서수형 명기(陶器 瑞獸形 明器)는 경주 미추왕릉 앞에 있는 무덤들 중 C지구 제3호 무덤에서 출토된, 거북 모양의 몸을 하고 있는 높이 15.1㎝, 길이 17.5㎝, 밑지름 5.5㎝의 토기이다. 머리와 꼬리는 용 모양이고, 토기의 받침대 부분은 나팔형인데, 사각형으로 구멍을 뚫어 놓았다. 등뼈에는 2개의 뾰족한 뿔이 달려 있고, 몸체 부분에는 전후에 하나씩, 좌우에 2개씩의 장식을 길게 늘어뜨렸다. 머리는 S자형으로 높이 들고 있고 목덜미에는 등에서와 같은 뿔이 5개 붙어 있다. 눈은 크게..

문화재/보물 2023.06.10

보물 제2052호_경주 귀래정

보물 제2052호 _ 경주 귀래정 (慶州 歸來亭) 수 량 : 1동 지정일 : 2019.12.30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천서길 7 (강동면)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여주이씨 지헌공파 문회 「경주 귀래정」은 육각형 평면에 마루, 온돌방, 벽장 등이 교묘하게 분할 구성된 점, 원형과 방형의 기둥이 조화롭게 사용된 점, 마루의 바닥높이에 차이를 두어 외부공간과 자연스럽게 연결을 추구한 수법과 더불어 육각 평면위에 팔작지붕을 꾸미는 독특한 목구조결구방식 등 다양한 부분에서 전통건축의 구조기법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됨 글 사진 문화재청 경주 귀래정 표지판 귀래정은 조선 영조 31년(1755)에 여강 이씨(驪州 李氏) 천서 문중의 글방으로 건립한 정자이다. 원래 '육화정'으로 불..

문화재/보물 2023.05.15

보물 제2097호_경주향교 명륜당

보물 제2097호 _ 경주향교 명륜당 (慶州鄕校 明倫堂) 수 량 : 1동 지정일 : 2020.12.28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20 (교동, 경주향교) 시 대 : 조선시대(1614년 중건) 경주향교 명륜당은 1614년 중건 이래 18세기와 19세기에 중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 오래된 건축물로서, 정면 5칸, 측면 3칸의 2고주 5량가의 맞배집으로 우리나라 현존하는 향교 명륜당 가운데 객사형(성균관, 나주향교 명륜당)을 제외한 단일 건물로는 가장 규모가 큰 사례이다. 중수기 등의 문헌 기록이 풍부하게 남아 있어 건축 연혁을 자세히 알 수 있고, 기단과 초석에 사용된 석재의 가공, 익공의 초각, 지붕가구의 구성에서 17세기 건축의 면모를 볼 수 있으며, 같은 시설 내 보물 경주향교 대..

문화재/보물 2023.05.14

보물 제2098호_경주향교 동무 · 서무 · 신삼문

보물 제2098호 _ 경주향교 동무‧서무‧신삼문 (慶州鄕校 東廡‧西廡‧神三門) 수 량 : 3동 지정일 : 2020.12.28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20 (교동, 경주향교) 시 대 : 조선시대(동무‧서무 1604년 중건/신삼문 1602년 중건) 경주향교 동․서무는 1604년 중건 이래 1829년, 1995년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며, 대성전과 함께 경주 향교의 제향공간을 구성하는 건축물임. 정면 12칸으로 우리나라 현존하는 향교의 무 건축물 가운데 가장 길며, 큰 도리칸의 규모를 갖고 있고, 장식을 지극히 억제하고 있음. 신삼문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3량가 맞배집으로 평삼문의 형식과 문짝, 문얼굴, 홍살 등의 세부 형식에서 향교 제향 공간의 신문으로서의 역사적 모범이 될 만하며,..

문화재/보물 2023.05.14

보물 제2071호_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보물 제2071호 _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慶州 南山 長倉谷 石造彌勒如來三尊像) 수 량 : 3구 지정일 : 2020.08.27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시 대 : 신라 7세기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은 삼국 시대 미륵신앙과 신앙행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의좌상(倚坐像, 의자에 앉은 자세)을 취한 본존 미륵불과 입상의 좌ㆍ우 협시보살로 총3구로 구성되었다. 우리나라 의좌상 불상 중 시기가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서, 원만하고 자비로운 얼굴에 오른손은 손가락을 구부린 채 들고 있고 왼손은 주먹을 쥔 시무외ㆍ여원인(施無畏ㆍ與願印)의 변형 수인(手印)을 하고 있다. 두 협시보살은 1미터 남짓의 아담한 체구에 머리에는..

문화재/보물 2023.05.13

보물 제142호_서울 동관왕묘

보물 제142호 - 서울 동관왕묘 (서울 東關王廟) 수량/면적 : 일곽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서울 종로구 난계로27길 84 (숭인동) / (지번)서울 종로구 숭인2동 238-1 시 대 : 조선 선조 34년(1601) 서울 흥인지문(보물) 밖에 있는 동관왕묘(東關王廟)는 중국 촉한의 유명한 장군인 관우에게 제사지내는 묘이다. 동관왕묘를 짓게 된 이유는 임진왜란 때 조선과 명나라가 왜군을 물리치게 된 까닭이 성스러운 관우 장군께 덕을 입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서 인데, 명나라의 왕이 직접 액자를 써서 보내와 공사가 이루어졌다. 동관왕묘는 선조 32년(1599)에 짓기 시작하여 2년 뒤인 1601년에 완성되었다. 현재 건물 안에는 관우의 목조상과 그의 친족인 관평, 주창 등 4명의 상을 모시고..

문화재/보물 2023.03.22

보물 제1391호_백자 상감투각모란문 병

보물 제1391호 _ 백자 상감투각모란문 병 (白磁 象嵌透刻牡丹文 甁) 수 량 : 1점 지정일 : 2003.12.30 소재지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시 대 : 조선시대(15세기) 백자상감투각모란문병은 조선시대 전기에 제작된 상감장식이 있는 병으로 당시 백자병의 전형적인 형태와 장식소재, 유약의 색깔, 굽의 특징 등을 갖추고 있다. 특히 전형적이면서도 당당하고 우아한 형태와 독특한 이중의 제작기법, 투각과 상감기법을 혼용한 특이한 장식기법은 현재까지 알려진 예가 없는 희귀한 사례이다. 이 병은 주둥이가 나팔처럼 벌어져 있고 목은 가늘고 길며, 몸체는 저부에서 펑퍼짐하게 벌어진 형태이다. 굽의 높이가 비교적 높고 크기도 큰 편으로 조선시대 전기에 제작된 백자병의..

문화재/보물 202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