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화도(梅花圖)> _ 송은(松慇) 이병직(李秉直, 1896~1973), 20세기, 종이에 담채
매화나무 그림
흰 매화나무를 그린 후 시를 덧붙인 작품이다. 흰 매화의 꽃잎은 아주 엷은 묵으로 점을 찍듯 표현되었으며 수술은 꽃잎은 아주 가는 붓으로 세밀하게 표현되었다. 여백에는 겨울에 꽃을 피우는 매화나무를 노래하는 다음과 같은 시가 적혀 있다.
"늙은 나무가 저절로 강철과 같이 견고하게 되었는데 봄을 만나고 그 답을 보았네(老尌己成鐵 逢春又看答, 노수기성철 봉춘우간답)."
송은(松慇) 이병직(李秉直, 1896~1973)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내관이자 서화가, 수장가였다. 그는 해강(海岡) 김규진(金圭鎭, 1868~1933)이 설립한 서화연구회(書畵硏究會)의 첫 번째 졸업생이었으며 이후 1923년부터 1931년까지 조선미술전람회 사군지부(部)에 총 8차례 입선하였다.
<매화도(梅花圖)>
2023.02.08, 서울대박물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반응형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강(海岡) 김규진(金圭鎭)의 <노안도> (5) | 2023.02.17 |
---|---|
관재(貫齋) 이도영(李道榮)의 <관재필선면산수도> (1) | 2023.02.17 |
희원(希園) 이한철(李漢喆)의 <취태백도> (0) | 2023.02.15 |
소치(小癡) 허련(許鍊)의 <묵모란도> (2) | 2023.02.12 |
해강 (海岡) 김규진(金圭鎭)의 <죽석도> (3)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