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문화재자료 503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72호_보령경찰서 망루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72호 _ 보령경찰서 망루 (保寧警察署 望樓) 수 량 : 1개 지정일 : 1985.07.19 소재지 : 충남 보령시 대천로 33 (대천동) ◦ 1950년 6.25동란 당시 대천경찰서가 남으로 후퇴하였다가, 9.28서울 수복 후 돌아왔으나 지방의 불순분자와 공산군의 잔당들이 성주산 일대에 웅거하면서 치안질서를 위협하였으므로 경찰서를 방호하기 위하여 1950년 10월초 당시 경찰서장이던 김선호가 지역주민의 협조와 노력지원을 받아 성주산 일대의 자연석을 운반해 다가 1951년 2월에 완공한 건물로 야간 경계근무는 물론 관내 치안유지에 활용하던 전적물(戰蹟物)임. ◦ 자연석과 시멘트를 섞어 높이 10m, 둘레15m의 규모로 쌓았으며, 안에는 밖으로 사격할 수 있도록 총안(銃眼) 22개를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8호_화암서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8호 _ 화암서원 (花巖書院)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죽성로 411 (청라면, 화암서원) 시 대 : 조선시대 ◦ 화암서원은 1610년(광해군2)에 충청관찰사 정엽(鄭曄)과 이지함의 문인인 구계우(具繼禹)가 주도하여 건립하였으며, 1686년(숙종12)에 화암서원으로 사액(賜額)되었음. 흥성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5) 철폐되었다가 1922년 다시 복설되었고, 청천저수지 축조로 1959년에 현 위치로 옮겨 세워졌음. ◦ 처음에는 토정 이지함(土亭 李之菡)과 명곡 이산보(鳴谷 李山甫)를 모셨고, 이어서 1723년에는 천휴당 이몽규(天休堂 李夢奎), 고종조에는 퇴우당 이정암(退優堂 李廷馣), 1971년에는 수암 구계우 등 5..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6호_보령 성곽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6호 _ 보령 성곽 (保寧 城郭)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 261-1 ◦ 보령읍성은 1400년가지 처음에는 현 위치의 1km 남쪽 구성재 부근에 있다가 옮겨져서 서쪽 2km지점의 봉당성에 있었음. 국방 강화 차원에서 읍성의 신축이 이루어지던 때인 1430년(세종12)에 순찰사 최윤덕이 현재의 위치에 터를 잡고, 서산군수 박눌생, 보령현감 박효성 등이 힘을 합하여 완성한 석성(石城)임. ◦ 1431년 부임한 현감 정대(鄭帶)가 이듬해부터 객관(客館)을 비롯 성내 140칸의 건물을 완성하였음. ◦ 성의 둘레는 약630m에 달하고, 높이 약3.5m, 적대 8개소, 성문 3개소, 옹성 2개소, 여장 412타, 성내 우물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9호_보령리 오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9호 _ 보령리 오층석탑 (保寧里 五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 266번지 ◦ 진당산 서쪽 기슭 폐사지에 매몰 방치되었던 석탑을 1974년 발굴하여 현재의 위치에 이전하고 복원하였음. ◦ 화강암으로 되었으며, 높이는 350cm이고, 건립연대는 알 수 없음. 다면 이 탑은 체감율이 거의 없어 두중한 느낌을 주고, 형식이 간략화되는 것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양식으로 보임. ◦ 거칠게 다듬은 기단부에는 우주나 탱주의 모각(模刻)은 없고, 받침돌만 모각이 있으며, 탑신석에는 우주와 3단의 받침돌 모각이 있음. 맨 꼭대기 5층의 탑신석과 옥개석이 없어 현재는 4층만 남아있음 보령리 오층석탑 표지판 보령리 오층석탑 (保寧里 ..

토정비결의 저자 이지함 선생 묘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0호 _ 이지함 선생 묘 (李之函 先生 墓) 수 량 : 1기 지정일 : 1992.08.17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주교면 고정리 산27-3번지 소유자(소유단체) : 한산이씨토정공파 ◦ 이지함(李之菡) 선생의 본관은 한산(韓山)이고 호는 토정(土亭)임. 보령시 청라면 장산리에서 출생하였으며, 맏형 지번(之蕃)과 화담 서경덕(徐敬德) 문하에서 공부하였음. ◦ 천문(天文)․지리(地理)․의약(醫藥) 등에 능통하였으며, 토정비결의 저자로도 널리 알려져 있고, 벼슬하기 전 한때 마포강변의 흙집 위에 정자를 짓고 살면서 스스로 호를 토정(土亭)이라 하였고, 어염상고(魚鹽商賈)로 많은 곡식을 마련하여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기도 하였음. ◦ 평생 벼슬을 사양하다가 1573년(선조6)도덕과 학문이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7호_오천향교 대성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37호 _ 오천향교 대성전 (鰲川鄕校 大成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향교길 45-26 (오천면) 시 대 : 조선 ◦ 이곳 오천은 조선시대 충청도수군절도사영이 설치된 곳이었으나 1895년 폐영되었다가 1901년에 오천군이 신설된 곳임. ◦ 오천군 신설과 동시에 이곳 유림들은 고을에 향교를 갖추려 하였으나 여의치 못하여 간단한 제향을 할 정도의 기물과 시설을 갖춘 재 향교의 터전을 잡았음. ◦ 그 후 1905년에 이르러 토지 기증․헌납 등을 통한 유림들의 노력과, 군수의 조력으로 대성전 건물을 완성하여 향교의 모습을 갖추고 이 고을 유교문풍을 진작하면서 오늘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음. ◦ 그리하여 오천향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짧은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04호_편무성가옥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04호 _ 편무성가옥 (片戊成家屋) 수 량 : 1동 지정일 : 1988.08.30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천북면 삼산농현길 80 (신죽리) ◦ 조선후기 팔작지붕으로 된 ㅡ자형의 고택으로, 왼쪽에 부엌을 설치하고, 앞에는 마루를 설치하였는데, 마루 앞에는 분합문(分閤門)을 달았으며, 지붕이 기와에는 옹정8년(擁正八年)이라는 글씨가 발견되어 1730년에 지어진 건축물로 짐작할 수 있음. 편무성가옥 표지판 편무성가옥 대문채 편무성가옥 대문 대문에서 본 정원 안채앞 마당에서 본 대문채 편무성가옥 안채 편무성 가옥 안채는 정면 7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의 목조건축물이다. 안채 좌측은 부엌을 설치하였고 마루를 놓아 앞에는 대청 양쪽 전체에 드리는 긴 창살문인 분합문(分閤門)을 달았다. 편무성..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3호_광성부원군 사우, 김극성의 신도비와 묘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3호 _ 광성부원군 사우 (光城府院君 祠宇) 수 량 : 1동 지정일 : 1984.05.17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송덕신송길 457-24 (청소면)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광산김씨종종 ◦ 보령출신의 조선전기 문신인 김극성(金克成, 1474~1540)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으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처음에는 청라면 장산리에 세웠던 것을 청천저수지의 조성으로 수몰지구가 되자 1960년 후손들이 그의 묘소가 있는 이곳에 옮겼음. ◦ 보령지역에는 김극성의 후손인 광산 김씨들이 유력 성씨를 이루며 오랫동안 세거해 오고 있음. ◦ 사우는 목조 기와집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출입문은 하나이고 토석 혼축으로 담장을 만들었음. ◦ 김극성은 일찍이 사마시(..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0호_공주 이유태유허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0호 _ 공주이유태유허지 (公州李惟泰遺虛地) 수량/면적 : 4588 지정일 : 2004.10.30 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시 중등골길 54-7 (상왕동, 외 9필지) 조선중기에 송준길, 송시열, 윤선거, 유계와 함께 소위 충청도 산림오현(山林五賢)으로 손꼽혔으며, 호서예학(湖西禮學)의 큰 맥을 이은 巨儒이자 經濟思想家인 초려 이유태 선생이 말년을 보낸 곳으로, 선생의 사상과 정신을 계승·교육하는 전통서원의 면모를 유지하여 오고 있으며 고택과 용문서원이 자리하고 있다. 용문서원의 유래는 이유태선생이 저술하고 제자를 가르쳤던 중동서재와 용문서재에서 비롯되었는데 중동서재는 선생이 거주하던 집이 있던 것이고, 용문서재는 현재 용문서원과 종가가 있는 자리에 있던 것으로 문하생들이 거주하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10호_서산 김적 및 김홍욱묘역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10호 _ 서산 김적 및 김홍욱묘역 (瑞山 金積 및 金弘郁墓域) 수 량 : 무덤 2기, 신도비 1기 지정일 : 2010.12.30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대로화곡길 50-13 (대산읍) 김적묘는 언덕 경사면에 자연 석축으로 기단을 마련하고, 장대석으로 구획한 계체석 위쪽에 혼유석, 상석, 향로석이 있음. 향하여 오른쪽에 묘표석이 있으며 그 아래쪽 양쪽에 망주석과 동자석, 문인석이 서 있고 묘표석의 머리는 용조각과 구름무늬가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는데 아들 홍욱이 주관하여 세웠으며 포저 조익이 찬하였음. 문인석은 화려한 금관조복형으로, 조각솜씨가 뚜렷하며 석물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음. 김홍욱묘는 자연석축을 쌓아 묘역을 만들고, 위에서부터 날개가 달린 봉분 앞에 상석, 그 아래로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