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 125

정홍래(鄭弘來)의 <욱응도(旭鷹圖)>

_ 전 정홍래(傳 鄭弘來, 1720~?), 조선 18세기, 비단에 색,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떠오르는 해와 매 바다에 떠오르는 해를 배경으로 바위에 앉은 매를 그렸다. '매 응(鷹, ying)'과 '꽃 부리 영(永, ying)'의 중국 발음이 같아 매[鷹]는 영웅(英雄)을 상징하며, 요사스러운 귀신을 물리친다고도 여겨졌다. 이 그림은 세화(歲畵)로서 양기(陽氣)로 충만한 아침 해와 매를 함께 그려 강한 벽사(辟邪, 귀신과 재앙을 물리침)의 의미를 담았다. 정홍래는 18세기 중반에 활동한 도화서 화원으로, 이러한 매 그림이 그의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 _ 전 정홍래(傳 鄭弘來, 1720~?) 2022.04.14. 국립중앙박물관-서화실 개편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국가등록문화재 제354호_괴산중학교 구 본관

국가등록문화재 제354호 _ 괴산중학교 구 본관 (槐山中學校 舊 本館) 수량/면적 : 1동 1층 건축면적/연면적 725.06㎡ 지정일 : 2007.09.2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괴산읍 괴산로 3527 (대사리) 시 대 : 1949년 1949년 건립 이 건물은 1946년에 개교한 괴산중학교의 본관으로 광복 직후 우리나라 기술진이 건축한 충북 도내 유일의 석조 교사이다. 길이가 77m에 이르며, 이 지역에서 채석한 화강석으로 외벽을 마감하여 교육 시설로서의 장중함을 보여주고 있다 괴산중학교 구 본관 표지판 괴산군에 있는 등록문화재 1. 국가등록문화재 제144호 _ 괴산군수 막사 2. 국가등록문화재 제354호 _ 괴산중학교 구 본관 이상 2곳 괴산중학교 구 본관 주출입구 전경 괴산중학교 구 본관 주출입구 ..

국가등록문화재 제144호_괴산군수 관사

국가등록문화재 제144호 _ 괴산군수 관사 (槐山郡守 官舍) 수량/면적 : 동, 1층, 연면적 : 안채(85㎡), 사랑채(39㎡), 행랑채 및 부속채(49㎡) 지정일 : 2004.12.3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 551번지 시 대 : 1914 또는 1918추정 1919년 무렵 건립 이 건물은 이 지역 유지인 최부자가 1950년에 기증한 것으로, 현재에도 괴산 군수 관사로 사용되고 있다. 근대기에 세워진 현존하는 관사들은 대부분 외래 양식 건축물이지만, 괴산 군수 관사는 전통 한옥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중앙에 솟을대문을 두고 있는 대문간채, ‘ㅡ’자형의 사랑채, ‘ㄱ’자형의 안채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평면의 실 구성 및 배치는 변화하는 생활 방식에 따라 많은 부분이 ..

괴산 최형철(崔衡哲) 효자문

최형철(崔衡哲) 효자문 소재지 : 괴산군 괴산읍 사찰리 54 이 효자문(孝子門)은 최형철(崔衡哲)의 효행(孝行)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이는 천성(天性)이 효(孝)를 근본(根本)으로 어버이를 섬기고 산(山)에서 나무를 하여 방을 따듯하게 하고 고기를 잡아 맛있게 공양하는등 정성을 다하여 부모 모시기를 다했다. 그 후 부모가 병이 들어 하늘을 향하여 내 몸으로 대신할것을 빌었더니 부모의 병이 낳았다. 한해의 부모의 상을 당하여 매일 성묘하고 아무리 춥고 더워도 한번도 거르지 않았고 종신토록 예를 다하였다 한다. 최형철(崔衡哲) 효자문 최형철(崔衡哲) 효자비(孝子碑) 앞면 비문의 앞면에는 대명조선통훈대부행충무위부사용겸도사경주최공휘형철지비 배숙부인진주정씨(大明朝鮮通訓大夫行忠武衛副司勇兼都事慶州崔公諱衡哲之..

최영림(崔英林)의 <여름날>

_ 최영림(崔榮林, 1916~1985, 평양), 1981, 캔버스에 혼합재료, 38×45.5cm, 서울미술관 최영림(崔榮林, 1916~1985, 평남 평양) 향토적이고 민속적인 정감을 구현하는 최영림은 1935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유화로 첫 입선을 하고 1938년 동경 다이헤이요(太平洋)미술학교에서 수학했다. 평양 태생이었던 그는 한국전쟁 때 월남한 후 1957년 창작미술협회, 1967년 구상전 창립에 참여했다. 최영림의 작품 시기는 크게 두 개로 나뉘는데, 1950년대 '흑색시대'에는 추상과 반추상형식의 작품을 제작했고, 1960년대 이후 '황색시대.에는 민담이나 설화를 기반으로 구상적인 작업을 선보였다. 최영림은 화면 자체에 황토색의 흙모래를 도입하여 고구려 고분벽화와 같은 자연스러운 색감과 질박한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7호_괴산 평강전씨 효열각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7호 _ 괴산 평강전씨 효열각 (槐山 平康全氏 孝烈閣) 수량/면적 : 1棟 /17.28㎡ 지정일 : 2007.03.09 소재지 : 충청북도 괴산군 정용월곡길 2 (소수면) 시 대 : 1773년(영조49) 평강전씨 효열각은 1773년(영조 49년)에 전우 , 전강, 전현 3형제와 전우의 손자인 전이근, 전이환 형제의 정려를 세우고 후에 전광필, 전상익과 전의천의 처 안동권씨를 합설한 효열각이다. 이 효열각 안에는 편액 8매가 있으며 정면 6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중부지방의 대표적 건축물이다. 이들에게 정려를 내렸다는 기록은 《대한충의효열록 권지상》(대한충의효열록편찬위원회 편, 관문사간)에 수록되어 있다. 이 효열각은 괴산읍을 막 벗어난 37번 국도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0..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4호_괴산 수월정

충청북도 기념물 제74호 _ 괴산 수월정 (槐山 水月亭) 수량/면적 : 일원 지정일 : 1987.03.31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칠성면 산막이옛길 315-20 (사은리) 노수신 적소는 조선 중기의 유명한 신하인 노수신(1515∼1590)이 귀양살이를 하던 곳으로, 후에 건물명을 수월정(水月亭)이라 하였다. 노수신은 중종 38년(1543)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이황과 같이 학문을 연구하다가 정권다툼으로 관직에서 물러나고 순천, 괴산 등지에서 귀양살이를 하다가 선조 즉위 후 다시 관직에 올라 영의정에까지 오른 인물이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괴산 수월정 표지판 이 곳에서 산막이마을까지는 4km입니다만, 구간 구간이 비포장 ..

최영림(崔英林)의 <봄동산>

_ 최영림(崔榮林, 1916~1985, 평양), 1982, 캔버스에 유채, 127×191cm, 서울미술관 최영림(崔榮林, 1916~1985, 평남 평양) 향토적이고 민속적인 정감을 구현하는 최영림은 1935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유화로 첫 입선을 하고 1938년 동경 다이헤이요(太平洋)미술학교에서 수학했다. 평양 태생이었던 그는 한국전쟁 때 월남한 후 1957년 창작미술협회, 1967년 구상전 창립에 참여했다. 최영림의 작품 시기는 크게 두 개로 나뉘는데, 1950년대 '흑색시대'에는 추상과 반추상형식의 작품을 제작했고, 1960년대 이후 '황색시대.에는 민담이나 설화를 기반으로 구상적인 작업을 선보였다. 최영림은 화면 자체에 황토색의 흙모래를 도입하여 고구려 고분벽화와 같은 자연스러운 색감과 질박한 마치..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73호_괴산 장담 충신각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73호 _ 괴산 장담 충신각 (槐山 張潭 忠臣閣) 수 량 : 1동 지정일 : 2010.03.12 소재지 :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읍내로 151 (청안면, 주택) 張潭 忠臣閣은 인동장씨 집성촌에 세운 忠臣門으로 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張潭의 정려이다. 1729년(영조 5년) 청안면 청룡리의 논으로 경작되는 들판에 세웠던 것을 조천리로 이건한 것이다. 장담 충신각은 약 40년 전(1969년대 후반)에 이곳으로 이전하였다고 하나 높은 석주형 주초 위에 짧은 원주를 세운 맞배 목조와가로 전통적인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높은 석주형 주초 위에 짧은 원주를 세운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이다. 석주형 주초나 이익공계통의 공포 등은 정려로서의 격식을 갖추고 잇는 ..